d라이브러리
"시나리오"(으)로 총 514건 검색되었습니다.
- [논문탐독] 미래의 공항에도 관제탑이 존재할까?과학동아 l2023년 12호
- 구현됩니다. 다함께 해결하는 복잡한 미래 이번에 소개한 논문은 수많은 임의의 시나리오로 시뮬레이션을 실행해 그 성능을 통계적으로 검증했습니다. 각 개체들 간의 명시적 의사소통 없이도, 해결이 힘든 항공교통 상황에서 충돌 회피와 응급도 관리를 성공적으로 할 수 있음을 보였죠. 또한 이 ... ...
- [논문탐독] 확장현실 몰입감을 끌어올리다, 감각 증강 시스템과학동아 l2023년 10호
- 및 설문조사해 두 경우의 현실감, 향유도, 선호도를 알아봤습니다. 그 결과 EMS를 활용한 시나리오들에서 보다 더 현실감을 느꼈고, 콘텐츠도 더 재미있게 즐겼다는 결과를 얻었습니다. 인터뷰에서 더 자세한 평가를 들을 수 있었는데, EMS의 감각 증강으로 가상의 물체가 현실에 더 밀착된 감각을 ... ...
- Part5. 우주의 끝에서 빅뱅 직후를 목격하다과학동아 l2023년 09호
- 이미 제법 큰 은하가 만들어져 있었다는 것이다. 표준 우주 모형에서 예측한 은하 형성 시나리오와 10배 이상 차이가 나는 결과라 그 진위에 대한 여러 논쟁이 아직 계속되고 있다. 은하는 물론, 원시 은하단(은하단의 초기 모습)도 이론적 예측과는 달리 먼 우주에서 계속 발견되고 있어 우주론 ... ...
- 보이스피싱, 기술로 더 사악해졌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우리나라에서 전화한 것처럼 속였지요. 피해자의 인적 사항을 훔쳐 작성하는 맞춤 시나리오까지 등장했어요. 특정 앱을 깔도록 유도하는데, 악성 코드가 설치되면 보이스피싱 범죄자는 마음대로 피해자의 명의로 결제하거나, 금융 정보 등을 빼앗아 갈 수 있어요. 또 하이재킹 기능으로 모든 통화를 ... ...
- [지웅배의 최애은하] 암흑물질의 비밀을 관통한 총알 은하단과학동아 l2023년 07호
- 통해 양 끝의 두 은하가 암흑물질을 많이 품고있다는 사실이 확인되면, 이 흥미로운 시나리오는 멋지게 입증될 것이다. 암흑물질의 존재 자체를 몰랐던 시절엔, DF2나 DF4와 같은 왜소은하들은 지극히 정상적인 은하로 보였을 것이다. 하지만 빛을 발하지도 흡수하지도 않는 암흑물질이 우주에 있다는 ... ...
- [이달의 책] 사랑 없는 미래에서 상상한 인간의 조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플랫폼 러브온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 그는 러브온 속 인공지능들이 행동하는 시나리오를 쓰는 작가다. 그는 현실과 가상현실 사이에서 인간과 인간, 그리고 인간과 인공지능 사이의 감정 교류가 어떻게 같거나 다른지 잘 보여준다. 현실에서 해준은 뇌에 나노칩이 들어간 트랜스 휴먼 나미를 ... ...
- [지웅배의 최애 은하] 유령 은하의 심장이 감춘 비밀과학동아 l2023년 05호
- 현재의 관측 결과처럼 적외선 빛이 유독 강하게 나올 수 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이 시나리오도 완벽하진 않다. 최근의 시뮬레이션에 따르면 성단의 이런 유입은 겨우 100만 년 만에 아주 빨리(!) 끝나야하기 때문이다. M74 은하 중심에서 실제로 관측되는 성단의 평균 나이 80억 년에 비하면 턱없이 ... ...
- [특집] 만화가 AI로 영생!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3호
- 故데즈카 오사무 작가의 신작 은 AI가 만든 캐릭터와 이야기에 만화가들과 시나리오 작가의 손을 거쳐 30쪽 분량으로 만들어졌어요. 기술을 담당한 일본 게이오대학교 사토리 쿠리하라 교수는 “AI가 데즈카 오사무 작가의 작품을 학습해 새로운 캐릭터를 만들고, 130개의 줄거리를 ... ...
- [기획] 미래일기 60여 년 뒤, 한반도의 겨울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3호
- 미래에는 더 자주, 더 강하게 기상 이변이 찾아올 것으로 전망됩니다. 기후변화 시나리오 4종 중 최악의 시나리오(SSP5-8.5)에 따르면, 2081~2100년대 서울에서는 봄꽃이 2월에 피어나, 일최고기온이 33℃ 이상인 폭염은 109.8일, 혹한은 3.4일 나타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변영화(국립기상과학원 ... ...
- [People] 수학을 악보에 그리는 사람들 - 이지수 음악감독수학동아 l2023년 03호
- 수학자가 수학을 좋아하지 않는 학생들에게 노래를 통해 수학의 아름다움을 증명한다.’시나리오의 해당 장면을 백 번 넘게 읽으면서 머릿속에 장면을 계속 떠올렸어요. 인물의 머릿속, 마음속 그리고 처한 상황에 완전히 이입하기 위해서였어요. 그러다 보니 누구나 칠 수 있는 쉬운 곡이고 듣기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