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stern
sterne
배의 후미
선미
d라이브러리
"
스턴
"(으)로 총 45건 검색되었습니다.
[나의 미국 유학 일기] 기숙사 식당 밥에서 요리로 진화 삼시세끼 라이프
과학동아
l
2019년 02호
많다. 하지만 대개는 본인이 사는 기숙사 식당을 자주 가게 된다. 그래서 1학년 때
스턴
기숙사에 살았던 나는 1년 내내 부리토, 파히타 등 멕시코 음식을 질리도록 먹었다. 한국 음식이 그리울 때면 방에서 라면을 끓여 먹거나, 가끔은 다른 한국 유학생 친구들을 불러서 한국에서 가져온 실온 보관 ... ...
[과학뉴스] 공중
스턴
트 로봇 개발!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5호
이러한 능력을 바탕으로 공중에서 다양한 묘기를 선보일 수 있지요. 디즈니 측은
스턴
트로닉스를 영화 촬영 등 다양한 목적에 쓸 계획이에요. 로봇을 만든 디즈니의 연구자들은 “이 로봇이 디즈니랜드에서 열리는 쇼에 쓰일 수 있을 것”이라 밝혔어요 ... ...
[과학뉴스] 명왕성, 태양계 9번째 행성으로 복귀?
과학동아
l
2018년 10호
주인공은 필립 매츠거 미국 센트럴플로리다대 플로리다우주연구소 연구원과 앨런
스턴
사우스웨스트연구소 연구원이 이끄는 연구팀이다. 이들은 지난 200년 동안 발표된 학술문헌을 분석한 결과 IAU가 명왕성을 강등시킨 기준은 근거가 없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이카루스’ 8월 29일자 ... ...
[과학뉴스] 지구에서 가장 먼 거리에서 촬영한 사진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지구로부터 60억 6000만km 떨어진 거리에서 찍은 것이었다. 뉴호라이즌 탐사책임자인 앨런
스턴
사우스웨스트연구소 박사는 “뉴호라이즌은 명왕성과 카이퍼벨트 천체를 탐사한 최초의 탐사선인 동시에 가장 빠른 탐사선”이라며 “이제 역사에 기록된 어떤 우주선보다 먼 우주 공간에서 사진을 ... ...
Part 4. [움직임] 사람의 움직임을 따라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7호
것으로 기대되고 있어요. 네오 인터페이스 시대, 기계와 뇌를 연결하다?최근 M I T와 보
스턴
대 공 동 연 구팀은 머리에 전 극을 붙 여 생 각만으로 로 봇 을 조 종하는 데 성공했어요. 연구팀은 실수를 했을 때 100~600ms(ms=1/1000초) 뒤에 나타나는 뇌파(ErrPs)를 이용했어요. 로봇이 물건을 상자에 넣을 때 ... ...
Part 3, 기후변화 최대 피해지, 북극 스발바르는 지금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복원 연구를 하고 브레멘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3년 AWI 쇄빙연구선 ‘폴라
스턴
’에 승선해 북극해를 탐사한 이후 지금까지 모두 13번 북극을 탐사했다. 2015년 7월부터 미래창조과학부 지원으로 북극 스발바르 피오르드 지형변화 연구를 이끌고 있다. sinam@kopri.re.kr 2012년 9월(1) vs 2016년 8월(2 ... ...
Part3. 미래엔 소프트웨어가 사라질까
과학동아
l
2015년 12호
쇼어 알고리듬이다. 쇼어 알고리듬은 1994년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수학과 피터 윌리
스턴
쇼어 교수가 개발한 알고리듬으로 소인수분해를 푸는 알고리듬이다. 소인수분해는 기존의 컴퓨터에서 NP에 속하는 문제다. 13195와 6857이라는 두 소인수를 곱하면 90478115다. 두 소인수를 곱하는 건 쉽지만 90478 ... ...
[뉴스 포커스] 세계 융합수학의 달인들이 한국에 모인 이유는?
수학동아
l
2014년 09호
등 다양한 융합수학 행사가 펼쳐졌다. 특히 칼 샤퍼 미국 데안자대 수학과 교수와 에릭
스턴
웨버주립대 무용 강사는 수의 대칭성과 연속성을 춤으로 표현하는 ‘발견의 징조’를 선보여 국내외 참가자들에게 큰 호응을 얻었다. 또한 팀 샤르티에 미국 데이비슨대 수학및컴퓨터과학과 교수와 그의 ... ...
우리 삶이 춤이 된다면
수학동아
l
2013년 09호
!미국 캘리포니아 데안자대 수학과 칼 섀이퍼 교수와 유타 웨버주립대 무용학과 에릭
스턴
교수는 1991년 ‘수학 춤추는 두 남자’라는 공연을 시작으로 춤을 이용한 수학 교수법을 개발했다. 예를 들어, 대칭성을 다루는 ‘군론’을 가르칠 때 학생들 다 같이 군무를 추도록 한다. 학생들은 단체로 ... ...
함께 사는 지구, 그런데 왜 부자만 건강할까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아니었다. 2세에서 11세 사이의 어린이 시절이 위험했다. 데이비드 바커 영국 사우스햄
스턴
대 의대 교수팀이 핀란드 헬싱키에서 태어난 8760명의 남녀를 유아 때부터 11세까지 추적해 병 발생 여부를 기록해봤더니, 심장 질환이 특히 많이 나타난 어린이들은 이 시기에 몸무게를 급격히 늘린 경우가 ... ...
이전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