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신인
d라이브러리
"
수신자
"(으)로 총 71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원격으로 조종하는 마스터키, 스파이앱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종단 간 암호화 방식은 일반 암호화 방식과 무엇이 다를까.앨리스(송신자)와 밥(
수신자
)이 카카오톡으로 메시지를 주고받는다고 해보자. 일반채팅도 메시지는 암호화돼 전달된다. 단, 중간에 카카오톡 서버를 거친다. 앨리스와 서버는 암호키를 교환한다. 서버는 암호화된 메시지를 풀어 메시지 ... ...
닥터 그랜마도 깜짝 놀란 사물인터넷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5호
기차를 타고 가까운 기지국으로 갔다가, 최종 도착지인
수신자
에게 도착해요. 그럼
수신자
는 전파를 타고 온 원래의 신호를 볼 수 있지요.그동안 통신사들은 데이터를 더 많이, 더 빨리 보낼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을 찾아서 이용했어요. 주파수 대역은 전파를 통해 데이터가 다니는 길인 ... ...
[Life & Tech] 영어 공부에서 해방되는 그 날 올까?
과학동아
l
2015년 05호
20여 년 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송신자가 한 말을 문자열로 바꾸는 음성인식, 이를
수신자
언어로 바꾸는 자동번역, 그리고 번역된 문장을 읽어주는 음성합성 등 세 가지 기술이 동원된다.중간 단계인 번역기술부터 살펴보자. 지난해 한국 전자통신연구원(ETRI) 자동통역연구실에서 발간한 ... ...
여치의 노래를 잘 들을 수 없는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0호
차이를 이용해 소리의 방향을 알 수 있는 거랍니다. 이 때 중요한 점은 소리를 듣는
수신자
의 몸 크기와 소리의 주파수예요.몸집이 작은 동물들은 소리가 오는 방향을 알기 어려워요. 몸집이 작은 만큼 양쪽 귀 사이 거리가 짧기 때문에 소리의 시간차와 세기의 차이가 별로 나지 않아요. 귀뚜라미는 ... ...
비트코인도 털린다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사이트에서 비트코인으로 모금해 논란이 됐다. 비트코인을 통한 모금은 송금자나
수신자
모두 익명으로 이루어져 법적인 제재가 힘들다는 점을 노린 것이다.이러한 비트코인에 대한 각국 정부의 반응은 다양하다. 2013년 8월 독일 재무부가 비트코인을 합법적인 화폐로 인정한 반면, 12월에는 중국 ... ...
전송 오류를 잡아라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일으킬 수도 있으므로 통신이론 연구자들은 메시지를 문자열로 바꾸는 방식을 개선해
수신자
가 스스로 전송 오류를 발견해내고 수정할 수 있는 방법을 발명해냈다. 이러한 방식을 오류 정정 부호화(Error correction coding)라고 부른다. (라) 4자리의 이진수 문자열 d=d1d2d3d4가 있을 때 여기에 대해 3자리의 ... ...
입만 뻥끗해도 척, 붕어 입 통화시대 온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원리다. 성대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사고로 목소리를 잃은 환자도 통화가 가능하다. 또
수신자
가 쓰는 언어로 바꿔 소리를 전송할 수 있어 외국인과 쉽게 통화할 수 있다. 영어나 프랑스어, 독일어는 입술만 움직여도 통화가 가능하다.미하엘 빈트 박사는 “아직까지 중국어처럼 소리의 높낮이 ... ...
국산 앱스토어 뜬다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복호화 키가 서로 다른 방식이다.
수신자
는 자신의 암호화 키를 공개하지만 복호화 키는
수신자
만 알고 있기 때문에 다른 사람들은 암호문을 해독할 수 없다. 예를 들어 A가 B에게 암호화된 정보를 전달할 때 A는 B가 공개한 암호화 키를 이용해 암호로 만든 메시지를 보낸다. B는 자신의 복호화 키로 ... ...
계륵(鷄肋)과 암호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절차의 반대로 해 복호할 수 있다. 어떤 정보를 암호화한 뒤에
수신자
에게 전송할 때
수신자
가 아닌 다른 사람이 중간에서 암호문을 가로챈다고 하더라도 그 내용이 무엇인지 알아내기가 매우 어렵다. 물론 암호화 규칙이 노출되면 소용없지만.이광연 교수는 성균관대 수학과를 졸업하고 ... ...
로지스틱 곡선으로 보는 성장모델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바이러스는 ‘I Love You’라는 제목의 전자메시지를 통해 전 세계로 전해졌다.
수신자
들이 바이러스가 포함된 메시지의 첨부 파일을 여는 순간 그들 모르게 바이러스가 컴퓨터에 침투했다. 러브버그는 컴퓨터 하드드라이브에 있는 정보와 파일을 공격하기 전에 자기복제를 해 자동으로 컴퓨터 e메일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