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소비"(으)로 총 1,926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도파민 중독, 오해와 진실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자신을 돌아보는 사회적 분위기가 조성된다면, 무의식적인 소셜 미디어 접속 및 콘텐츠 소비에 제동을 걸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도파민 중독이 본인 상태를 인정한 뒤 사용하는 표현이라면, 이는 인스턴트 도파민에서부터 멀어지려는 실천으로도 이어질 수 있다는 뜻이다. “우울증의 ... ...
- [기획] 소리보다 빠른 초음속 여객기 돌아올까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좁은 형태로 만들어진다. 그러다 보니 승객을 적게 실을 수밖에 없고, 승객 당 연료 소비량도 훨씬 많아진다. 연료 많이 먹는 비행기는 자연스레 환경 문제도 불러온다. 연료를 많이 먹는 만큼 뱉어내는 온실가스도 많을 수밖에 없다. 이 또한 콩코드가 하늘을 날던 시절부터 꾸준히 제기되던 문제다. ... ...
- 식품 속 발암물질 제대로 알기과학동아 l2024년 03호
- 단계라는 뜻이죠. 그런데도 ‘발암물질’로 낙인을 찍는 건 정보 전달의 비약으로 소비자들의 불안감을 증폭시키고, 관련 업계에도 타격을 줄 수 있습니다. 물론 IARC의 리스트에 올랐다는 건 그 자체로 유해성이 입증된 것이기에 조심해야 합니다. 하지만 극소량의 유해 물질에 가슴 졸이기보단 ... ...
- Part1. 휴머노이드 로봇 AI로 ‘퀀텀점프’할까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장덕현 삼성전기 사장은 2024년 1월 10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소비자 가전 전시회(CES) 2024에서 “휴머노이드 로봇이 5~10년 뒤 전자 부품의 메인 시장이 될 것”이라며 “인공지능(AI)을 접목한 휴머노이드가 일상 생활과 산업에 적용되는 시대가 빠르게 도래할 전망”이라고 했다. ... ...
- [칼럼] AI 판사에게 꼭 필요한 능력은?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민사 재판을 위한 대국민 재판 도우미다. 예를 들면 세탁기를 구입한 후 제품의 하자로 소비자와 기업 간에 분쟁이 발생한 경우, AI 판사의 도움을 받아 재판을 진행할 수 있다. 이 AI 판사는 재판 절차, 법적 권리, 받을 수 있는 배상 혹은 보상 금액 등을 자세히 설명해주고 서류 작성까지 도와준다 ... ...
- [데이터로 지구 지킨다] 우리나라 교사들, 두바이로 향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점심 메뉴의 탄소 배출량을 살펴보는 거죠. 에너지 소비량을 직접 눈으로 확인한다면, 소비량을 줄이기 위해 구체적인 계획을 세울 수 있을 거예요. 내가 일상에서 하는 작은 실천이 어떤 변화를 일으키는지도 볼 수 있고요. 환경 데이터를 읽고 기후 위기에 똑똑하게 대처할 준비가 됐나요? 그럼, 다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가스 하이드레이트, 식량 자급률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비중을 뜻해요. 곡물자급률은 그중 사료용 곡물을 포함한 수치지요. 한국인이 가장 많이 소비하는 곡물인 쌀의 자급률은 80%를 웃돌지만, 다른 주요 곡물인 밀이나 옥수수는 1% 내외에 불과합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최하위에 머무는 수준이지요. 식량이 모자랄 때 외국에서 ... ...
- DVD 복제는 안 돼! 불법 소수수학동아 l2024년 02호
- 공개하는 기발한 아이디어를 냈다. 불법 복제에는 반대했지만, 현재의 저작권법이 소비자보다는 영상물을 만드는 기업에 유리하게 돼 있다고 생각해 항의하는 이유로 이런 코드를 만들었다. 특히 대중의 관심을 불러 모으기 위해 코드를 소수로 만들었다. 소송에 다뤄지는 숫자가 수학계에서 ... ...
- 식품 찌꺼기의 변신! 업사이클드 푸드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못하죠. 2021년 한국농촌연구원 홍연아 연구원팀 조사에 따르면, 국내 농식품 중 14%가 소비되지 못한 채 폐기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식품 부산물에는 밀기울이 있어요. 밀기울은 밀을 수확한 뒤 빵의 재료인 밀가루를 뽑아내고 나면 남는 찌꺼기예요. 밀의 약 15%를 차지하지요. 탄수화물과 단백질, ... ...
- 행복과 경제가 보인다! 냠냠 지수수학동아 l2024년 01호
- 경제 전문가 이시즈 켄타는 상대적으로 비싼 참치와 저렴한 고등어의 소비량을 비교해 소비 심리를 비교하는 지표인 스시 지수를 만들었다. 사람들이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을 때는 스시 재료로 참치를 많이 사고, 여유가 없을 때는 고등어를 많이 산다는 것에서 착안한 것이다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