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서민"(으)로 총 103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달의 PICK] 귤, 붕어빵, 군고구마...겨울 간식 3대 천왕의 비밀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밥 대신, 설탕 대신 다른 재료를 넣어 만들어 먹었던 붕어빵이 오늘날 대표적인 서민들의 겨울철 간식이 된 셈입니다. 군고구마, 사실은 다이어트의 적? 겨울 하면 빼놓을 수 없는 마지막 간식은 바로 군고구마입니다. 뻣뻣한 군고구마 껍질을 뚫고 흘러내리는 당분, 반을 가르면 샛노랗게 ... ...
- Part 1. ‘풍수’는 21세기 환경공학과학동아 l2018년 09호
- 이렇게 말한다. 고산자(古山子)는 김정호의 호다. 김정호가 만든 대동여지도는 조선시대 서민과 지배계층 모두의 삶에 큰 영향을 미친 풍수 사상이 투영된 한국 고지도의 대표작이다. 1861년 제작된 대동여지도는 16만분의 1 축척의 목판본 지도다. 실제 1만6000km를 1cm로 축소해 표시했다는 뜻이다. ... ...
- Part 4. 음악의 표준이 통치의 표준과학동아 l2018년 09호
- 보며 흥을 느끼는 왕과 불편해 하는 귀족들을 보면 음악을 중심으로 왕과 지배층, 그리고 서민 사이의 미묘한 권력관계 또한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조선시대까지 이어진 음악과 도량형의 관계는 현대에 들어서면서 관계가 끊어졌습니다. 길이와 무게, 부피 등을 정의하는 현재의 도량형은 모두 ... ...
- [Issue] 내 잉크가 너의 숨을 쉬게 하리라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역사 등 스토리가 담긴 공공미술의 영역인 경우가 많다. 경남 통영시 ‘동피랑 마을’은 서민들의 삶과 애환이 담긴 달동네가 지역 예술가들의 손을 거쳐 벽화마을로 재탄생한 경우다. 골목길을 따라가면 물고기, 동백꽃 등 아름다운 벽화가 펼쳐진다. 반면 미국이나 유럽에서는 대도시 ... ...
- [Origin] 미라가 알려주는 조선 양반 사망 사건의 전말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알을 퍼뜨리는 다른 기생충과 달리, 폐디스토마는 기침과 가래를 통해 알을 퍼뜨린다. 서민 교수는 “폐디스토마는 원래 폐에 기생하는 기생충”이라며 “그래서 폐디스토마 알은 미라의 분변보다는 폐 속 농양에서 찾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런데 연구팀이 미라에서 폐디스토마 알을 찾은 ... ...
- 서민 교수님이 들려주는 기생충 이야기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6호
- 교수님은 한 명 한 명 모두 사인해 주셨어요. 이날 강연을 들었던 유다은 친구는 “서민 교수님 덕분에 기생충은 나쁘기만 할 거란 선입견이 사라졌다”고 말했답니다.특별 인터뷰“기생충과 사랑에 빠졌어요.” 서민(단국대 의과대학 기생충학과 교수)Q 가장 좋아하는 기생충과 가장 싫어하는 ... ...
- PART1. 공포의 대상을 찾아라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아마 앞으로의 공포영화도 현 시대의 문제점을 안고 가게 될 거예요. 2013년, 집 없는 서민들의 불안함이 그대로 드러난 영화 ‘숨바꼭질’처럼요. 사람들을 더 무섭게 할 공포영화를 만들고 싶다면 바로 지금 사람들이 불안해 하는 요소를 찾아야 해요. 시대를 읽을 줄 아는 사람이 결국은 더 ... ...
- 전통놀이 연구 동아리 ‘한·설·사’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8호
- 경기죠.”고구려 고분벽화에도 씨름과 비슷한 그림이 있고, 조선시대에는 왕실부터 서민들에 이르기까지 즐기는 아주 대중적인 놀이였다.“두 사람이 경기를 치러서 이긴 사람이 하나씩 올라갑니다. 마지막으로 이긴 한 사람이 우승을 하는 경기지요.”미션3 두 팀이 힘을 겨루는 줄다리기“세 번째 ... ...
- PART2 물 건너 온 한국 음식 김치과학동아 l2013년 12호
- 누구나 먹는 국민 음식이지만 배추김치의 재료를 면밀히 들여다보면 과거엔 결코 서민이 쉽게 즐길 수 있는 음식이 아니었다. 특히 소금은 국가가 관리할 정도로 귀한 물질이었다. 조상들은 이 단점을 고춧가루로 해결했다.고추의 효능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붉은 색소인 카로티노이드 ... ...
- 기생충은 억울하다과학동아 l2013년 08호
- 듣지 못했지만, 그래도 혹시…? 기생충은 ‘의외성’이 많다. ‘기생충 열정’의 저자 서민 단국대 의대 교수의 말마따나 우리나라는 기생충을 다룬 대중서가 많이 부족한데, 서 교수의 책이 나오기 전 가장 마지막으로 나온 기생충 책 제목은 정준호 작가의 ‘기생충, 우리들의 동반자’였다.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