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불변"(으)로 총 206건 검색되었습니다.
- 질서┃우주의 태초···우리는 어디서 왔는가과학동아 l2019년 07호
- 남을 수도 있다. 그러나 과학자들은 지식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탐구를 포기하지 않는다. 불변의 속도를 갖는 빛이 우리를 태초의 시점 가까이로 안내하기 때문이다. 우리은하가 우주의 전부라고 생각했던 1920년대, 미국 천문학자 에드윈 허블은 ‘우주에는 수많은 은하가 있다’는 사실을 밝힌 데 ... ...
- 우주의 특별한 공간, 블랙홀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조금 더 자세히 살펴보자. 이 수식은 시간 변화량(dt)과 공간 변화량(dx, dy, dz)이 각각 불변하는 것이 아니라, 시간 변화량의 제곱과 공간 변화량의 제곱의 차이가 어떤 관측자에게든 같은 양(ds2)을 가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곧 시간과 공간이 분리된 개념이 아니라 시공간이라는 동일한 변수로 ... ...
- 단위계 ‘프랑스 혁명’ 국제도량형총회 르포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않는 기본상수를 썼다는 점이다. 킬로그램은 양자역학에서 물질의 파동을 나타내는 불변의 상수인 플랑크 상수(6.626070150×10-34kgm2s-1)로 정의됐다. 이로써 물체의 질량은 입자의 고유 에너지와 파동으로 나타내게 됐다. 전류를 나타내는 단위인 암페어는 지금까지 ‘무한히 길고 무시할 수 있을 ... ...
- 100억 년 동안 1초도 안 틀리는 광시계로 더 정확해진 초과학동아 l2018년 09호
- 1/31556925.9747’로 정의했다. 역표초는 자전의 불규칙성으로 인한 불확도는 없었지만 불변의 값은 아니었다. 또 정확한 값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수년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1967년 제13차 국제도량형총회는 세슘원자의 고유 진동수를 기준 주파수로 시간을 재정의했다. 역사상 처음으로 천체의 ... ...
- [Origin] 이런, 다이아몬드 같지 않은 나노 다이아몬드과학동아 l2018년 08호
- 특징을 새롭게 규명하고,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4월 20일자에 그 결과를 발표했다. 불변의 상징인 다이아몬드가 나노 세계에서는 구부러지고, 심지어 그 변화의 정도가 어마어마하게(ultralarge) 크다는 것이다. doi:10.1126/science.aar4165 "힘을 가하면 구부러지고, 이후 다시 복원되는 나노 ... ...
- [ICHEP2018] 한 단계 도약할 韓 입자물리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안에서 운동하고 있을 때 그 운동 상태를 기술하는 방정식은 게이지(측도와 좌표) 변환에 불변이다 | 게이지 이론, 1972년, 제16회 # 지금까지 알려진 세 개의 쿼크(u, d, s) 이외에 질량이 훨씬 큰 네 번째 쿼크가 존재할 수 있다 | GIM 이론, 1974년, 제17회# 쿼크 사이의 강한 상호작용(강력)이 글루온이라는 ... ...
- [필즈상 미리보기] 휴고 듀밀-코핀수학동아 l2018년 05호
- 텃밭에서 성과어떤 곡선이 등각불변을 만족해야지만 SLE(k)로 표현이 가능한데요, 등각불변이면 물리현상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여러 구체적인 등식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수학은 물론 물리학에서까지 각광을 받습니다. 듀밀-코핀 교수는 2014년 ‘이징 모형’ 위에 그린 경계 곡선이 SLE(3)이 된다는 ... ...
- Part 2. 수학, 과학을 바꾸다!수학동아 l2018년 04호
- 이유를 이론적으로 설명했어요. 다른 건 신경 쓰지 않고 구멍의 개수 같은 ‘위상적불변량’에만 주목하는 위상수학을 잘 접목한 거지요. 물리학자가 위상수학을 수학자 뺨치게 잘 알아서 이런 업적을 세운 건 아니어요. 실제로는 ‘이 새로운 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수학 공식을 어떻게 찾지 ... ...
- [필즈상 미리보기] 게오르디 윌리엄슨, 치프리안 마놀레스쿠수학동아 l2018년 04호
- 저차원 위상수학 난제를 해결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며, “이미 여러 수학자가 이 불변량을 이용해 문제를 풀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한편 마놀레스쿠 교수는 스테판 알렉이라는 좋은 선생님을 만나 국제수학올림피아드에서 활약하며 수학자의 꿈을 키웠다고 합니다. ‘페르마의 마지막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타르스키 문제수학동아 l2018년 03호
- 풀었습니다. 덴은 다면체를 자르고 조립하는 과정에서 변하지 않는 도형의 성질에 ‘덴 불변량’이라는 이름을 붙이고 이 값을 살펴봤습니다. 그리고 이 값이 다른 다면체가 있다는 것을 보여 문제의 답이 ‘아니오’라는걸 밝혔지요. 이때까지는 도형을 잘라서 붙일 때 각 조각의 경계면에 있는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