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변칙
불연속
단절
연락 없음
절연
이상
d라이브러리
"
불규칙
"(으)로 총 683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마이크로바이옴, 천연기념물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4호
몸속에서 균형을 이루며 안정적으로 군집을 유지합니다. 하지만 상한 음식물을 먹거나
불규칙
적인 생활을 하다 보면 마이크로바이옴의 균형이 깨지기도 해요. 그 결과 장내 미생물의 수가 감소하고 면역이 약해지는 등 질병이 발생하거나 건강이 나빠질 수 있죠. 지난해 12월 네덜란드 로테르담 ... ...
[노벨상 2023] 화학상 - 양자점이 ‘빛’나기까지 끊임없는 질문이 있었다
과학동아
l
2023년 11호
그는 1981년 러시아 바빌로프 국립광학연구소에서 비정질(원자나 분자가
불규칙
하게 배열된 고체) 유리 안에서 구리와 염소를 반응시켜 수 나노미터 크기의 염화구리 입자를 합성했다. 그리고 염화구리 나노입자가 첨가된 비정질 유리가 그 입자의 크기에 따라 다른 색을 나타낸다는 사실을 ... ...
죽은 거미로 만든 로봇, 전기 충격 젓가락..., 이 과학자들, 왜 이랬을까?
과학동아
l
2023년 11호
주사기를 통해 공기를 넣었다 빼며 실험했다. 이렇게 만들어진 네크로봇은 8개의 다리로
불규칙
하게 생긴 물건(다른 거미)을 들어올릴 수 있었고, 심지어 자기 체중의 1.3배 까지도 들어올렸다. 그런데 생김새를 보면이 그리퍼를 누가 쓰려 할까? 활용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프레스턴 교수는 “위장 ... ...
말랑말랑 두뇌퍼즐
어린이수학동아
l
2023년 11호
...
[과학뉴스] 인공눈물 만들기 위해 눈물을 굴리다
과학동아
l
2023년 09호
동적광산란(DLS) 기술을 사용해 분석했다. DLS 기술은 액체나 기체 속 미세한 입자들이
불규칙
하게 운동하는 현상인 브라운 운동을 활용한다. 액체에 빛을 쏴 운동하는 입자가 어떻게 레이저 광을 산란하는지 분석한다. 분석 결과 사람의 눈물은 보습 작용을 하는 다당류인 히알루론산이 0.1% 함유된 ... ...
Part1. 별 탄생의 순간을 엿보다
과학동아
l
2023년 09호
탄생은 이전의 추측보다 훨씬 역동적인 과정이었던 것이다. 원시별의 변광은 대부분
불규칙
적으로 일어난다. 그런데 EC 53은 지금까지 발견된 원시별 중 유일하게 1.5년을 주기로 변광이 일어난다. 이 교수팀이 EC 53을 주목하는 이유도 가장 어두울 때와 밝을 때를 비교해서 원시별을 둘러싼 강착 ... ...
[4컷 만화] 아미노산으로 생분해성 유리개발!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8호
그리고 유리를 만드는 기존 방법을 그대로 적용해 일반 유리처럼 투명하고 입자가
불규칙
적으로 배열된 고체가 만들어지는 것을 확인했어요. 아미노산과 펩타이드는 자연에서 완전히 분해되어 생태계에서 다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중국과학원 얀 셰하이 연구원은 “아세틸아미노산으로 만든 ... ...
[논문탐독] 생명의 숲 속에서 세포라는 나무를 보다, 초고해상도 추적 이미징
과학동아
l
2023년 08호
이미징으로 세포 하나하나를 직접 들여다보면, 세포 각각의 접힘 구조가 서로 달라져
불규칙
해졌을 뿐이지 구조가 사라진 것은 아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초고해상도 염색질 추적 이미징 기술은 염색질 구조 연구에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발생 과정에서 배아가 ... ...
[통합과학 교과서] 웬디, 비행기에서 난기류를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8호
외에도 폭풍이나 뇌우(천둥 번개와 함께 내리는 비)처럼 궂은 날씨로 인해 공기의 흐름이
불규칙
해져 생기는 난기류가 있습니다. 그런데 구름 한 점 없이 맑은 하늘에도 난기류가 생길 수 있어요. 이를 ‘청천 난기류’라고 하는데, 예측하기가 어려워요. 청천 난기류는 주로 지구 위를 서쪽에서 ... ...
[뉴스&인터뷰] 올해 엘니뇨? 전기요금 폭탄? 당신의 여름은 안녕하십니까
과학동아
l
2023년 07호
동태평양과 중태평양의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높아지는 현상. 보통 2~7년 간격으로
불규칙
하게 발생하고 약 1년 정도 지속된다. 한국은 엘니뇨 감시구역에서의 3개월 평균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0.5℃ 이상 높은 상태로 5개월 이상 지속되면 엘니뇨가 발생했다고 정의한다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