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병정"(으)로 총 35건 검색되었습니다.
- 개미도 직업을 바꾼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0호
- 한 집에서 사는 개미들은 보통 알을 낳는 여왕개미, 짝짓기만 하는 수개미, 집을 지키는 병정개미와 개미 사회를 유지하기 위한 갖가지 일을 도 맡는 일개미로 나뉘어 있지요. 하지만 일개미는 반드시 정해진 일만 하는 게 아니에요. 나이에 따라 역할을 계속 바꾼답니다.역할을 바꿔? 서로의 일을 ... ...
- 평범한 개미도 ‘골리앗 개미’로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3호
- 일반 애벌레보다 크기도 컸고, 가슴에는 날개 흔적이 두 개나 생겼답니다. 일 개미나 병정 개미는 날개 흔적이 없거나 하나만 있어요.그렇다면 나도 거인이 될 수 있을까?글쎄요. 우리처럼 하면 닥터 그랜마도 골리앗 개미가 돼서 더 작아질 것 같은데요? 그래도 거인이 되고 싶다면 저보다는 캐나다 ... ...
- 신화와 현대 화학을 넘나드는 12수학동아 l2011년 12호
- 바로 간지로, 간지는 고대부터 중국과 우리나라에서 사용되던 주기의 이름이다. ‘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의‘십간’과, ‘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의 ‘십이지’가 어우러져서 총60가지의 간지가 나오는데, 이는 10과 12의 최소공배수가 60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하나의 간지는 60년마다 다시 ... ...
- 흰개미도 깜짝 놀란 에코 빌딩 CH2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1호
- 사실 난…, 개미가 아니야! 놀랐지? 우리 흰개미들은 개미처럼 작고 여왕개미, 일개미, 병정개미가 있어. 또 개미처럼 무리를 지어 살지. 이렇게 비슷한 점 때문에 흰개미라고 불려.하지만 개미와 나는 무척 다르게 분류된단다. 개미는 곤충강 벌목에 속하지만 난 곤충강 흰개미목이야.6㎜ 흰개미가 ... ...
- 신령들의 병정놀이어린이과학동아 l2006년 02호
- 별이 모여 있는 것을‘성단’이라고 합니다. 이런 성단 중에서 별이 촘촘하고 둥글게 모인 것을 구상성단, 허술하게 모여 있는 것을 산개성단이라고 부른답니다. 산개성단 중에서 가장 유명한 것은 플레이아데스성단으로 맨눈으로도 작은 5~7개의 별이 모여 있는 모습이 뚜렷하게 보입니다. 우리말 ... ...
- 예쁜 수컷, 강한 암컷과학동아 l2005년 03호
- 내밀지 않는다. 여왕 뿐만이 아니다. 우리가 흔히 보는 일벌과 일개미는 모두 암컷이다. 병정개미, 집 지키는 개미 모두 암컷이다. 수컷 개미와 수컷 벌은 태어난 뒤 열심히 치장만 하다 여왕 개미와 짝짓기를 한 뒤 모두 죽는다.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소설 ‘개미’를 보면 수컷 개미가 짝짓기를 ... ...
- 세계 3번째로 큰 공룡 한국에 왔다과학동아 l2004년 11호
- 않았지만 발가락이 7개인 개구리와 올챙이를 엄마 배에서 키우는 개구리, 50만 마리의 병정 개미가 보여주는 놀라운 ‘집단 지능’, 다른 식물과 달리 밤에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선인장, 몸무게가 1.2g인 피그미두더지 등 재미있는 사실도 들었다.이기석 관장이 전시품을 수집한 것은 40여년 ... ...
- 곤충세계의 해커들과학동아 l2002년 07호
- 맵시벌은 깊은숨을 몰아 쉰 다음 한치의 주저도 없이 개미굴로 돌진한다. 여기저기서 병정개미들이 뛰쳐나왔지만 날렵한 날갯짓으로 일차 관문은 무사히 통과했다. 그러나 좁은 굴 속에서는 더 이상 날개가 쓸모 없다. 이제 진퇴양난의 신세가 돼버린 건 아닐까.개미들의 내전 일으키는 ... ...
- 제왕의 등장 알리는 징표 말과학동아 l2002년 01호
- 말띠에도 종류가 있는 것일까. 백마띠란 또 무엇을 말하는 것일까.해의 간지는 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로 이뤄진 10간과 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로 이뤄진 12지가 조합돼 만들어진다. 10간과 12지는 해마다 하나씩 뒤로 밀리는데, 올해의 경우에는 10간 중 임이 12지 중 말을 뜻하는 오와 만나 ... ...
- 동물들의 기발한 속임수과학동아 l2000년 01호
- 침노린재의 움직임이 병정개미의 주의를 끌기도 한다. 하지만 몸에 위장을 해둔 덕분에 병정개미들은 이 침노린재를 침입자로 인식하지 못하고 그대로 집안으로 철수하고 만다. 결국 이 화학적 위장 덕분에 침노린재는 개미집에 접근해 흰개미 가족의 일개미들을 잡아먹는다. 외골격은 남겨둔 채 그 ... ...
이전12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