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수로
도랑
수로
항로
선로
물받이 도랑
암거
d라이브러리
"
배수구
"(으)로 총 31건 검색되었습니다.
[life & tech] 꽉 막힌
배수구
, 비켜!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누구나 한 번쯤 휴지조각이나 담배꽁초, 씹던 껌 같은 작은 쓰레기를 길가 빗물받이에 버려봤을 것이다. 빗물받이는 빗물이 도로에 고이지 않고 하수관으로 흘러가도록 도로에 뚫은 구멍이다. 바둑판 무늬의 철망 뚜껑으로 덮여 있다. 사람들은 훤히 보이는 길바닥 대신 캄캄한 구멍 속으로 쓰레기 ... ...
부력으로 둥둥 물로 가는 친환경 보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8호
방향으로 똑같은 크기의 힘을 가한다는 게 바로 작용반작용의 법칙이야. 여기선 보트
배수구
에서 물이 나오는 게 작용, 보트가 반대 방향으로 나아가는 건 반작용의 결과지!저는 기둥에 물을 가득 채워 볼래요! 그럼 보트도 빨리 가지 않을까요?음음~. 아까 부력이 물체의 무게에 반비례한다고 ... ...
시화호 조력발전소 건설현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스톱로그 12개로 양쪽 입구를 막으면 안에 물이 새지 않는 구조가 되고, 미리 만들어둔
배수구
로 물을 빼면 수차발전기가 드러납니다. 그 때 들어가서 발전기를 점검하거나 수리하지요. 이 구덩이는 스톱로그 저장고로, 모두 6개의 스톱로그가 저장돼 있습니다.”그러니까 기자가 보고 있는 곳의 ... ...
기상천외 드라큘라백작의 모기 퇴치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3호
유지하기 때문이랍니다.따라서 모기를 막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집안에 있는 각종
배수구
에서 모기가 빠져 나오지 못하도록 망을 설치하는 거예요. 집안에 있는 어항이나 화분에 있는 물도 자주 갈아 주는 것이 좋답니다. 모기가 알을 낳을 수 있기 때문이에요!모기! 냄새로 유혹하라!이거이거 ... ...
폭삭~! 정화조 폭발사건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8호
안 하는 게야. 쯧쯧….”“집에서 무심코 휘발유나 석유, 시너 등 가연성 물질을 그대로
배수구
에 버리는 것도 무척 위험한 일이에요. 그런 물질이 정화조에 모이면 쉽게 폭발할 수 있거든요.” 도시가스관을 제대로 관리하지 못해 일어난 사고 현장의 모습. 가스가 폭발하면 이처럼 큰피해를 입게 ... ...
석빙고 없이 여름을 어떻게 나?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2호
더운 공기는 위로 올라가는 성질을 현명하게 이용했던 것이지요. 석빙고 주위에
배수구
를 설치해 얼음을 녹이는 물과 습기를 재빨리 빼낼 수 있도록 했답니다. 그리고 얼음과 맞닿은 벽과 천장의 틈 사이에는 볏짚, 톱밥 등을 채워 넣어 외부의 열기가 들어오지 못하도록 했습니다. 볏짚은 안에 비어 ... ...
강철기둥 엘리베이터 타는 마징가Z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떨어지는 가운데 마징가Z가 올라오는 것은 불가능해 보인다. 물은 지붕을 열 때 다른
배수구
를 통해 빨리 빼내야 일부가 마징가Z 머리 위로 떨어지더라도 로봇이 안전하다.가장 큰 문제는 승강장치다. 받침대를 포함해 수십톤의 무게를 싣고 10초에 25m를 올라가야 한다. 판타지영업부는 영화처럼 ... ...
고양이들의 나이팅게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정말 소심하게 그지없대요. 삼양이비 오는 날 발견한 고양이래요. 누나의 친구 집 옥상
배수구
에 끼여 죽을 뻔 한 걸 구했다고 해요. 속눈썹이 눈을 파고드는 병이 있어 한쪽 눈을 제대로 뜨지 못한답니다. 하지만 성격은 누구보다 밝다고 해요. 고냥이현재 누나네 집에서 가장 아픈 고양이랍니다. ... ...
사스 정체 둘러싼 미스터리 3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아파트 주민 3백21명 집단감염사태 조사결과를 보고하는 기자회견에서 “욕실 바닥
배수구
와 연결된 U자 배수관을 통해 들어온 환자의 분뇨 방울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바퀴벌레가 바이러스에 오염된 배설물을 옮기는 역할을 했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독일 열대의학연구소도 환자의 배설물에서 ... ...
자연의 나선 모방한 수학적 디자인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있으나 결코 도달할 수 없다는 점에서 나선의 눈을 점근점(asymptoye)이라고 부른다. 욕조의
배수구
로 내려가는 물의 소용돌이와 같은 미시적 차원에서, 행성들이 태양(눈)을 중심으로 거대한 소용돌이 곡면을 따라 도는 태양계와 같은 거시적 차원까지 황금나선의 특징이 발견되는 것이다.그런데 ... ...
이전
1
2
3
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