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원지"(으)로 총 33건 검색되었습니다.
- 백두대간 종단열차를타다!어린이과학동아 l2008년 22호
- 가장 높은 산이자 시작점이며, 한반도를 중국 대륙과 구분해 주는 압록강과 두만강의 발원지이기도 하니까요.백두대간은 강이나 바다에 의해 끊기지 않고 백두산에서 지리산까지 이어진 1400㎞의 산줄기입니다. 여기에 백두대간을 중심으로 뻗어 나온 14개의 작은 산줄기들이 모여 한반도의 산을 ... ...
- 지구의 '속살' 맨틀을 파고드는 지큐호과학동아 l2007년 10호
- ‘지큐’호가 일본 오사카 남동쪽 신구항을 떠나 난카이 해구로 향했다. 유력한 지진 발원지 중 하나로 추측되는 ‘메가스플레이’(megasplay) 단층에 지진관측장비를 설치하기 위해서였다. 지큐호는 57일 동안 바다 위에 머물며 6개 지점에 해저 바닥에서 2~4km깊이로 구멍(시추공)을 10개 정도 뚫어 ... ...
- 까칠까칠 황사 탐험어린이과학동아 l2007년 06호
- 영향을 주기 때문에 큰 문제가 되고 있답니다. 황사가 더 심해지는 데는 중국의 황사 발원지가 점점 넓어지는 것이 큰 이유예요. 마구잡이로 숲과 초원을 훼손하면서 사막화가 더욱 빨라지고 있거든요. 식물이 줄어들면 뿌리가 품고 있던 물이 없어지는 데다 비가 조금만 와도 홍수나 산사태가 나는 ... ...
- 하늘을 둘로 가른 번개과학동아 l2007년 04호
- 이번 사진전에서는 서릿발, 용오름, 쌍무지개 같은 다양한 기상현상, 폭설 현장과 황사 발원지 같은 자연재해를 담은 작품이 출품돼 기상현상에 대한 이해뿐만 아니라 자연재해에 대한 경각심도 일깨워줬다.응모한 536점 가운데 총 26점이 입상했으며, 수상작은 순회전시회를 통해 전국에 선보일 ... ...
- 청계천(淸溪川)과학동아 l2005년 10호
- 흐르다가 왕십리 밖 살곶이 다리 근처에서 중랑천과 합쳐진 뒤 한강으로 빠진다. 발원지에서 중랑천과 합류 지점까지의 길이는 13.7km, 광통교에서 오간수문에 이르는 본류의 하폭은 10~30m였다. 이런 청계천이 역사에 처음 모습을 드러낸 것은 1411년(태종 11년) 개천 사업 때다.하지만 600여년간 청계천은 ... ...
- 고지도로 다시 보는 한국사과학동아 l2004년 10호
- 두만강을 관찰한 뒤 세운 비문에서 양국의 국경선이 두 강의 본류가 아니라 북쪽에 있는 발원지임을 명확히 했다.1860년 중국은 그러한 사실을 부인하면서 조선인을 간도 지방으로 쫓아냈고 조선의 대표였던 이중하는 1863년 당빌의 지도를 바탕으로 제작된 일통여도를 증거로 제시했으나 중국은 이를 ... ...
- 황사박사 전영신과학동아 l2004년 05호
- 전기는 끊어지고 아무리 창을 꼭꼭 닫아도 흙이 집안으로 마구 밀려 들어와요.황사발원지를 돌아보셨을 거 같은데요. 2-3년 전에야 처음 가봤어요. 그때 화장실 문제로 고생 좀 했죠. 우리나라를 찾아오는 흙먼지의 고향 사막들은 주로 평지예요. 사방이 뻥 뚫린 곳에서 일을 봐야 하는데 정말 ... ...
- 회의주의자들의 사전과학동아 l2004년 04호
- 달하는 경제적인 손실을 입힌다. 기상연구소에서 운영하는 황사 사이트에 오면 황사 발원지, 이동경로, 황사 관측, 황사자료와 연구, 동영상 등 황사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만날 수 있다 ... ...
- 에이즈 범인 잡은 계통유전학과학동아 l2003년 03호
- 관리함으로써 에이즈 확산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또 생물 테러가 발생했을 때도 발원지가 어디인지, 무기로 사용된 병원체가 어디서 왔는지를 알아낼 수 있다. 미국 라파에트시의 에이즈 사건은 이러한 계통유전학 분석의 효과를 공식적으로 인정한 계기가 된 셈이다.그러나 한편에서는 ... ...
- 봄하늘 뒤덮은 노란 흙먼지 황사과학동아 l2002년 04호
- 물론 황사에 대한 지속적인 검사가 이뤄져야 한다. 2천2백만년 전부터 나타난 황사황사발원지인 중국 내륙 지역은 강수량이 적고 증발이 잘 되는 지역이다. 물론 이곳이 원래 이런 지역은 아니었다. 오래 전 인도판이 아시아대륙판에 충돌할 때 히말라야산맥과 티벳고원이 치솟으면서 중국 내륙 ... ...
이전12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