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원
발상
근원
시발
착상
발원지
원천
d라이브러리
"
발원
"(으)로 총 61건 검색되었습니다.
초대륙 아마시아가 온다!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압축을 받아 폭넓은 산악지대가 될 것이다. 한강, 압록강을 비롯해 현재 존재하는 강의
발원
지와 지류, 강의 본류 등의 모습은 온데간데 없어지고 남쪽의 높은 산맥(서태평양산맥)으로부터 형성된 지류가 새롭게 나타날 것이다.[1억 년 뒤 한반도는?초대륙 ‘아마시아’가 형성되면 한반도는 어떻게 ... ...
삼한사온은 신기루?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공기는 큰 세력을 만들며 ‘기단’으로 성장한다.시베리아 기단을 정확하게 보려면
발원
지에 눈이 언제부터 내리느냐, 얼마나 쌓여 있느냐에 주목해야 한다. 바이칼 호수가 얼어붙고 수면 위와 호수 주변에 눈이 일찍 쌓이면 시베리아 기단은 더 차가워진다. 어마어마한 면적을 자랑하는 바이칼 ... ...
세상에서 가장 성스러운 강 2510km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거친 물살과 깊은 협곡을 이겨내지 못하고 포기해야만 했다.갠지스강은 히말라야에서
발원
해 엄청난 급류와 계곡을 지나 평원을 내달리고 모래밭을 헤치는 2510km를 흐르고서야 그 끝인 벵골만에 닿는다. 필자는 4월 6일부터 6월 21일까지 77일간 히말라야 강고트리에서 벵골만까지 갠지스강 전 구간을 ... ...
무한한 바닷물로 한반도 가뭄 해결!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망치는 일도 빈번해졌다. 지난겨울에는 지금껏 단 한 차례도 마르지 않았다는 한강
발원
지인 검룡소가 바닥을 드러냈고, 올봄 강원도 태백시는 수돗물 공급시간을 1일 3시간으로 제한해야 했다.국토해양부는 지구상에 존재하는 물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바닷물’에서 해결책을 찾으려고, ... ...
한반도 가뭄의 숨겨진 원인을 찾아라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공급시간은 ‘1일 3시간’으로 제한됐다. 지금껏 단 한 차례도 마르지 않았다는 한강
발원
지인 검룡소도 겨우내 말라 버렸다. 도롱뇽과 개구리들도 메마른 계곡 바닥에서 집단 폐사했다. ‘홍수 끝은 있지만 가뭄 끝은 없다’는 말이 실감난다.왜 이렇게 비가 안 온 걸까. 빈번한 가뭄 발생이 혹시 ... ...
백두대간 종단열차를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2호
가장 높은 산이자 시작점이며, 한반도를 중국 대륙과 구분해 주는 압록강과 두만강의
발원
지이기도 하니까요.백두대간은 강이나 바다에 의해 끊기지 않고 백두산에서 지리산까지 이어진 1400㎞의 산줄기입니다. 여기에 백두대간을 중심으로 뻗어 나온 14개의 작은 산줄기들이 모여 한반도의 산을 ... ...
일본 최초 우주실험실 '키보' 발사 성공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적도 부근을 동쪽으로 흐르는 적도 반류의 하나 즉, 적도를 중심으로 열대 대서양에서
발원
하는 해류는 북적도해류와 남적도해류로 나뉘어 각기 북쪽과 남쪽으로 흐르며 그 일부는 도중에서 적도쪽으로 되돌아가 이른바 적도반류가 된다북극해에서 아이슬란드를 거쳐 대서양 한가운데를 남쪽으로 ... ...
지구의 '속살' 맨틀을 파고드는 지큐호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지큐’호가 일본 오사카 남동쪽 신구항을 떠나 난카이 해구로 향했다. 유력한 지진
발원
지 중 하나로 추측되는 ‘메가스플레이’(megasplay) 단층에 지진관측장비를 설치하기 위해서였다. 지큐호는 57일 동안 바다 위에 머물며 6개 지점에 해저 바닥에서 2~4km깊이로 구멍(시추공)을 10개 정도 뚫어 ... ...
태양계 기원 밝힐 탐사선'돈'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적도 부근을 동쪽으로 흐르는 적도 반류의 하나 즉, 적도를 중심으로 열대 대서양에서
발원
하는 해류는 북적도해류와 남적도해류로 나뉘어 각기 북쪽과 남쪽으로 흐르며 그 일부는 도중에서 적도쪽으로 되돌아가 이른바 적도반류가 된다북극해에서 아이슬란드를 거쳐 대서양 한가운데를 남쪽으로 ... ...
까칠까칠 황사 탐험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6호
영향을 주기 때문에 큰 문제가 되고 있답니다. 황사가 더 심해지는 데는 중국의 황사
발원
지가 점점 넓어지는 것이 큰 이유예요. 마구잡이로 숲과 초원을 훼손하면서 사막화가 더욱 빨라지고 있거든요. 식물이 줄어들면 뿌리가 품고 있던 물이 없어지는 데다 비가 조금만 와도 홍수나 산사태가 나는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