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몬테비데오
비데오
비디오
monte
d라이브러리
"
몬테
"(으)로 총 26건 검색되었습니다.
[재미] 103년 전 발견한 보이니치 문서 외계인 문서의 미스터리
수학동아
l
2015년 06호
병을 고치는 효능에 대한 설명일 거라고 추측하기도 한다.영국 맨체스터대의 마르셀로
몬테
무로 박사팀은 글 전체에서 빈도수가 높을 뿐 아니라 골고루 퍼져 있는 ‘키워드’를 찾았다. 이런 방법으로 먼저 우리가 잘 알고 있는 글을 분석했다. 미국 소설가 허먼 멜빌이 쓴 ‘모비딕’을 분석하면 ... ...
지구 자전의 비밀 300년 만에 풀리다
과학동아
l
2013년 10호
동쪽에서 서쪽으로 돌고 있다는 점이다.리버모어 연구팀은 스위스에 있는 슈퍼컴퓨터 ‘
몬테
로사’를 사용해 지구핵의 움직임을 계산했다. 내핵의 움직임을 조절하는 자기장의 세기, 회전속도를 외핵의 흐름 속도, 맨틀과의 관계 등을 이용해 지구 자전 방향을 설명했다.연구 결과 내핵이 동쪽에서 ... ...
사진에 담은 대자연의 순간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3호
달하지요. 최고 45°나 되는 급경사도 특징 중 하나예요. 재미있게도 마테호른(독일어),
몬테
체르비노(이탈리아어), 몽세르뱅(프랑스어)처럼 나라마다 이름이 각각 다르답니다. 아슬아슬 균형 잡기바다 위로 떠오른 요정이 아닐까요? 독특한 ‘죽마 낚시’를 하고 있는 스리랑카 낚시꾼들의 ... ...
환상의 짝꿍 공생 없인 못살아!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비만에 영향을 준 거지.박테리아로 사람의 병을 치료한 연구 결과도 있어. 뉴욕
몬테
피오레병원은 *항생제를 너무 많이 먹어서 장 속에 사는 박테리아들의 균형이 무너진 환자의 장에 남편의 똥을 넣는 치료를 했단다. 남편의 똥 속에 있는 박테리아들이 균형을 되찾아 준 거야. 어때? 이만 하면 ... ...
심해에서 처음 발견된 털 게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새로운 종으로 인정됐다. 이 발견은 네이처 온라인판 3월 13일자에 게재됐다.캘리포니아
몬테
리베이 아쿠아리움연구소(MBARI)의 심해 유전학자인 조 존스는 프랑스 해양개발연구소의 마이클 세곤작박사와 잠수함으로 심해를 빠져나오다가 뜨거운 물이 분출되는 해저에서 흰 게를 낚았다.이 종은 ... ...
근육세포로 움직이는 1mm크기 초미니 로봇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발도 붙어 있다. 현미경으로 보면 두 발 달린 로봇이 기어 다니는 모양을 관찰할 수 있다.
몬테
마그노 교수는“이 근육세포는 장차 컴퓨터 칩에 동력을 공급하는 초소형 발전기로도 활용될 것”이라며“실리콘 로봇에 심은 세포들은 성장, 증식, 결합을 할 수 있는 살아있는 세포들”이라고 말했다. ... ...
마침내 모습 드러낸 파란장미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만드는 시도를 해왔다. 그러다 1850년 검은 튤립이 갑자기 세인들의 주목을 받았다. ‘
몬테
크리스토 백작’ ‘삼총사’ 로 유명한 프랑스의 작가 알렉상드르 뒤마가 소설 ‘검은 튤립’ 을 발표해 센세이션을 불러일으켰기 때문이다. 순수한 열정으로 검은 튤립을 창조하려는 주인공 코르넬리우스 반 ... ...
뉴기니와 아즈텍의 엽기적 식인 풍습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베이징 원인(일종의 직립 원인)의 두개골 하단부가 크게 손상을 입은 것이나, 이탈리아
몬테
칠체오에서 발견된 네안데르탈인의 두개골 하단부가 인위적으로 잘려나간 것은 식인 풍습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보여진다. 또한 아프리카 남단 클라지즈강 유역의 동굴에서 발견된 현생 인류의 골격 ... ...
플라스틱으로 만드는 옷과 꽃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옷이 제조되고 있다. 세계적인 패션 도시 밀라노의
몬테
나폴리오네 거리에 위치한‘
몬테
피브레’라는 의류매장에는 솜뭉치와 스웨터가 전시돼 있다. 이것이 바로 페트병을 재활용해 만든 실과 옷이다. 이 회사는 1997년 말 처음으로 페트병을 재활용한 옷을 선보였다. 페트병 재활용 옷은 가격이나 ... ...
세균 잡거나 약 전달하는 나노헬리콥터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작동할 수 있는 초소형 기계가 머지않아 만들어질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몬테
매그노 교수는“이 나노장치는 생명의 생체기능을 활용해서 조립되고, 유지되며, 보수되는 새로운 기술의 시작을 보여주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나노헬리콥터는 4백개의 바이오 모터 중 5개만이 작동될 정도로 ... ...
이전
1
2
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