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막
모래벌판
d라이브러리
"
모래땅
"(으)로 총 16건 검색되었습니다.
곤충들의 집짓기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모양의 접을 만들고 거기에 떨어지는 개미 등을 잡아먹는다. 처음에는 오른쪽으로 2~3회
모래땅
을 파고 돈 후 다시 왼쪽으로 2번정도 돌고는 다시 오른쪽으로 2번, 또다시 왼쪽으로 2번 돌면서 구멍은 점점 깊어지고 집은 완성된다. 그런 다음 몸을 뒤로 젖히고 가슴을 늘려 입구 가까이에 온 개미를 ... ...
코브라의 새사냥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할까?① 모래밭에서 뒹굴어 몸에 묻어 있는 벌레를 털어 버린다.② 모래를 먹는다.③
모래땅
근처에서 자라는 유칼리나무의 새순을 먹는다.(5) 원숭이류는 보통 30~40마리가 무리를 이루어 단체생활을 한다. 동물원에서 원숭이를 관찰하면 이들은 서로 상대방의 털을 뒤져 무엇인가 먹는 듯한 행동을 ... ...
무사개미와 개미귀신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②개미가 제일 무서워하는 천적은 구멍파기 선수인 개미귀신(개미지옥)이다. 개미귀신은
모래땅
에서 몸을 나선형으로 움직여 깔때기 모양의 구멍을 판다. 그들은 털이 많은 복부로 흙을 파고 쟁기모양의 머리로 모래알들을 주위로 던져 올린다. 이렇게 구멍을 판 뒤 명주잠자리 유충(개미귀신)은 그 ... ...
뭘 먹느냐가 성격을 결정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항해와 조선의 기술을 발달시켰다.중부유럽의 경우도 마찬가지였다. 안개가 짙고 땅은
모래땅
으로 메마르며 수리가 좋지 않아 겨우 밀 보리가 자랄 정도였다. 자연히 밀과 보리가 주식이 되고 그러다 보니 밀가루와 보릿가루를 발효시켜 찐 빵을 주식으로 삼게 되었다.이런 지역에서 농사를 짓기 ... ...
오스트레일리아 특별동물구(區)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가린다.6 오스트레일리아나 남태평양의 섬에 살고 있는 무덤새는 알을 부화시키기 위해
모래땅
에 무덤을 만들고 그 속에다 알을 낳는다. 무덤새의 알이 부화하기에 가장 적당한 온도는 33.5℃다. 이들이 무덤의 온도를 높이기 위해 이용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① 온천물을 깃털에 묻힌 뒤 무덤을 품어 ... ...
'겨울속의 봄'남해안의 꽃재배단지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바꾸는 윤작을 해야 한다. 카네이션의 재배과정을 보면 보통 4월초까지 곁가지를 꺾어서
모래땅
에 삽목한 뒤 가식을 거쳐 5~6월초에 정식을 하면 9월초부터 꽃이 피기 시작해 이듬해 5~6월까지 계속된다. 꽃은 한번 줄기를 자르면 3개월 후에나 다시 꽃봉오리가 피어나게 되는데, 난방을 가해주면 7 ... ...
이전
1
2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