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말실수"(으)로 총 679건 검색되었습니다.
- [최애은하] 제임스 웹 설상가상 미스터리과학동아 l2023년 12호
- 현대 천문학에선 여전히 풀리지 않는 난제가 많다. 그중 개인적으로 가장 관심이 큰 이슈는 ‘허블 텐션’이다. 허블 텐션은 똑같은 우주를 관측하는 방식에 따라 우주의 팽창률이 다르게 측정되는 난제다. 허블 텐션은 각 관측 데이터가 정밀해질수록 문제가 오히려 더 심각해진다는 점도 매우 독 ... ...
- [Reth?nking] 제 10화. 수학적 대상이란 무엇인가?수학동아 l2023년 11호
- ‘수학이란 무엇인가’를 다루기에 앞서, 수학에서 어떤 대상을 연구하는지 이야기를 나눠보려고 한다. 수학의 연구 대상은 꾸준히 확장돼 지금은 다루지 않는 것이 없을 정도다. 그렇다면 수학적 대상은 발견한 것일까? 혹은 발명한 것일까? 이 논의는 단순히 수학적 대상뿐 아니라 수학의 전반 ... ...
- 허준이 교수도 깜짝! 이런 것도 물어봤다고?수학동아 l2023년 08호
- 김범준 /한성과고 2학년Q.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의 피에르 페르마처럼 ‘허준이의 추측’ 같은 300년 난제를 만들어볼 생각은 없나요? 아마 만들 일이 없을 거예요. 사실 없었으면 좋겠어요. 저는 거의 모든 연구를 공동연구로 하고 있어요. 그래서 저희 공동연구팀이 설사 유명한 문제를 만들더라도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염색체/폴리에틸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8호
- 할머니가 유전 정보가 담긴 실로 막대 모양 뭉치를 하나 만들었어. 이 실뭉치의 이름은 염색체라는데! 염색체가 뭘까?\ 염색체 (染色體, 물들 염, 빛 색, 몸 체, chromosome)염색체(chromosome)는 세포의 핵 안에 들어있는 막대 모양의 구조물이에요. 생명체의 유전 정보를 담고 있지요. 색깔(chroma)과 몸(soma) ... ...
- [정대호의 ‘2039: 화성 일 년 살기’] 케일이 가르쳐준 ‘관심’의 중요성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젠장, 하필이면!” 화성에서 생활할 때에는 지구와 다르게 자원이 매우 소중하다는 것을 수시로 깨닫는다. 화성에서 물은 매우 귀한 자원이기 때문에 한 사람에게 배정되는 양이 극히 작다. 정조 과학기지에서는 샤워할 때 쓸 수 있는 물의 양이 대원 한 명당 5L다. 지구에서 샤워할 때 쓰는 물의 ... ...
- [누리호] 누리호 발사, 3일간의 현장과학동아 l2023년 07호
- 5월 24일 수요일,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 입구에 마련된 프레스센터에는 이른 아침부터 전국에서 100명이 넘는 기자들이 모여 발 디딜 틈이 없었습니다. 서울역에서 순천역까지 고속철도로 3시간, 순천역에서 다시 버스로 1시간을 달려야만 도착할 수 있는 국토 남쪽 끝이지만, 다들 피곤한 기색 ... ...
- [Art Math] 수식과 그래프로 캔버스 채우는 화가 김현우수학동아 l2023년 05호
- 내용도 모르는 수식이 아름다울 수 있을까. 이번 인터뷰를 하며 기자 스스로에게 처음 건넨 질문이다. 당연히 내용을 알고 봐야 수식의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다운증후군을 앓는 화가 김현우 작가를 만나고서 그 생각에 의심의 싹이 돋았다. 학창시절 수업 내용을 거의 이 ... ...
- [수학상위1% 비밀무기] 의대 합격 비결은 친구와 함께 수학 공부수학동아 l2023년 04호
- 이렇게 사이좋은 전교 1, 2등은 처음 봤습니다. 치열한 대학 입시를 앞두면 둘 사이에 미묘한 경쟁 구도가 생기기 마련인데요. 이 친구들은 뭔가 다릅니다. 서로 모르는 수학 문제를 알려주고, 둘만의 수학 법칙도 만들었습니다. 심지어는 경쟁자가 될 수밖에 없는 같은 대학 같은 과 입시 면접을 함 ... ...
- [SF] 끝내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출발선_뒤_100m현재 시각 오전 6시 38분, 기온 26℃, 상대습도 87%, 불쾌지수는 76으로 경계단계. 정오가 되면 상대습도는 60% 대로 떨어지지만 기온이 약 4℃ 오를 확률이 90% 이상. 달리는 인간의 자율신경계가 체온을 내는 데 어려움을 겪고, 체내 수분은 걷잡을 수 없이 빠져나갈 것이다. 42.195km를 달리 ... ...
- 두 번째 질문 l 허수는 꼭 필요한 수인가?수학동아 l2023년 03호
- 두 번째 질문 I 허수는 꼭 필요한 수인가? 인문학자 학생들이 복소수를 처음 배울 때 허수의 기본 성질로 ‘허수 거듭제곱의 주기성’을 배우잖아요. 이처럼 수학자 입장에서 복소수와 관련한 재미있는 성질이나 수식이 있다면요? 수학자 저는 허수 하면 오일러 항등식 eiπ + 1 = 0이 떠올라요.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