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둥우리"(으)로 총 18건 검색되었습니다.
- 상처입고 돌아온 저어새과학동아 l1988년 07호
- 곳에 집단적으로 가서 자리를 본다음 마른 풀, 나뭇가지, 진흙을 섞어 접시 모양의 둥우리를 만든다.알이 놓일 자리에는 가슴팍의 깃털을 뽑아 깐다. 7월 초순경에 4~6개의 알을 산란한 뒤 암수교대로 알을 품는다. 하지만 알을 품고있는 중에 사람이나 짐승이 침입, 생명이 위험하다고 느끼면 ... ...
- 낙동강하구와 한강서울수역 철새는 보금자리를 잃었다과학동아 l1987년 12호
- 5월18일에는 갈매기등과 무지개등에서 번식중인 쇠제비갈매기 57둥우리와 흰물떼새 40둥우리를 확인할 수 있었다. 가을철의 조류 39종 5천3백여개체가 관찰되었다. 하구지역과 하구언 상류지역에서는 각기29종 3천2백개체와 5종 3백80개체가 관찰되었으며, 죽림강 지류에서는 16종 1천6백40여개체가 ... ...
- 전세계 350여마리뿐이라는 노랑부리 백로 1백여마리 서해 무인도에 숨어 살다과학동아 l1987년 09호
- 물고기 3, 4마리를 잡아 부리에 저장했다가 그중 절반이상은 잘게 요리, 잘 날지못해 둥우리에 남아있는 새끼들에게 먹인다.어미 노랑부리 백로가 먹이를 찾아 비행하는 거리는 보통 1~3km이나 어떤때는 둥지에서 20km이상 날아가 멸치떼등을 뒤쫓아 한꺼번에 수백마리의 고기를 잡을때도 있다.한편 ... ...
- 백두산-동북아 최상의 새들의 낙원과학동아 l1986년 10호
- 하순에 도래하여 9월 중순에 남하 이동하는 흔한 여름새이며 체류기간은 1백20일 내외. 둥우리는 20~30m 간격으로 틀며 1㎢당 0.76마리이다. 지상 0.3~1.5m 높이의 나무가지에 둥지를 틀고 한배에 5~6개의 알을 낳는다. 포란기간은 11~14일, 육추기간은 13~15일. 우리나라에서는 매우 희귀한 나그네새이다 ... ...
- PART ② 변화하는 조류 생태계과학동아 l1986년 10호
- 할 것이다. 이러한 식물들은 추운 겨울에 물새류의 좋은 잠자리가 되며, 또한 개개비의 둥우리로 이용되기도 하고 갯버들은 백로류의 휴식장소로도 이용될 수 있다. 또 이들 식물들을 여름의 홍수에 잠기게 되어도 생명력이 강하여 잘 자랄 뿐 아니라 강뚝의 파괴를 막아주는 역할도 할 수 있다 ... ...
- 즐거운 자연공부과학동아 l1986년 09호
- 산다. 산란수는 3~5개. 알을 품기 시작한지 25~28일만에 부화하고 그후 50일 정도가 지나면 둥우리를 떠날수 있을 만큼 성장한다. 산란기는 4월에서 6월사이, 철새의 일종으로 여름새에 속하는 이 새가 우리나라에 머무는 기간은 3월하순부터 10월사이이다. 그런데 이번에 탐조회가 열렸던 신접리의 ... ...
- 최루탄의 과학과학동아 l1986년 07호
- 2~3쌍만 남아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한다. 또 새들의 번식을 위해 만들어 놓은 새둥우리가 한결같이 텅 비어 있음도 확인됐다. 다만 소쩍새, 쏙독새 등 야행성 조류는 아직 남아 있다는 것인데, 이는 시위의 시간대와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최루개스는 식물도 시들게 하고 있다. ... ...
- 조류과학동아 l1986년 03호
- 수가 적은 것은 번식력이 약한 것도 큰 원인의 하나가 될 것이다. 특히 두루미는 둥우리 중심으로 2∼7㎞거리를 경계하므로 이 범위가 두루미의 행동권이라 할 수 있다. 단, 여름의 번식기에는 이 행동권이 극히 좁아져 산란 전의 20분의 1 정도로 줄어든다고 한다. 두루미는 20세기 초만 해도 소련의 ... ...
이전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