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녹기"(으)로 총 175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한여름에도 얼음이 가득~ 얼음 공장 엿보기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7호
- 크기가 작으면 생선의 곳곳에 얼음이 닿아 온도를 빠르게 낮추기 때문이에요. 대신 금방 녹기 때문에 얼음을 사려는 사람이 오면 그때 잘라요. 5 얼음을 저장해요얼음 보관 창고 내부는 영하 5℃ 정도로 유지해요. 얼음을 찾는 사람이 많은 여름에는 창고에 800개 정도의 얼음을 보관해요. 그해의 ... ...
- [과학뉴스] 거대 빙산, 펭귄 떼 사는 섬과 들이받을 뻔?!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떨어져 나오며, 세계에서 가장 큰 빙산으로 기록됐어요. 이후 3년 동안 남극해를 떠돌며 녹기 시작했지요.작년 11월, 인공위성으로 빙하를 추적하던 유럽우주국(ESA)은 A-68A가 사우스조지아섬과 충돌할 수 있다고 경고했어요. 사우스조지아섬은 임금펭귄, 남방코끼리물범, 알바트로스 등 다양한 생물이 ... ...
- [신 기후체제] 기후 재앙 앞둔 인류세 해수면 상승을 막아라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산 정상의 빙설)가 녹아서(35%), 또는 남극 대륙빙하가 녹거나(16%) 그린란드 대륙빙하가 녹기(7%) 때문이다. 모두 기후변화와 직접 관련이 있다.관측자료와 관련 연구를 종합해 보면 전세계 해수면은 1970년대 이후 매년 약 3mm씩 상승하고 있다. 앞으로 상승 속도가 더 빨라지면 2100년까지 해수면이 약 1~2m ... ...
- 지구 반대편 남극, 매일 인공위성으로 봅니다과학동아 l2020년 09호
- 남극장보고과학기지에는 해빙 활주로가 있지만, 이는 남극의 여름인 10월부터 해빙이 녹기 전인 11월까지만 주로 사용된다. 암반 활주로를 건설한다면 사계절 내내 항공기로 보급품을 실어 나를 수 있다. 이런 활주로 후보지를 사람이 직접 돌아다니며 찾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남극 대륙은 ... ...
- 뒤죽박죽 실험실에서, 별난 원소 찾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5호
- 은 은빛 광택을 가진 금속 원소예요. 갈륨의 가장 큰 특징은 낮은 녹는점으로, 29.7℃에서 녹기 시작해요. 사람의 체온이 평균 36.8℃이니 손바닥에 올려놓으면 녹아서 액체가 되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지요. 그런데 끓는점은 무려 2204℃에 달해요. 액체인 온도 영역이 매우 넓다는 특징 덕분에 갈륨은 ... ...
- Part 1. WATER, TEA, SODA, MILK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바로 탄산음료의 ‘주인공’ 이산화탄소다. 이산화탄소는 약 4도의 낮은 온도에서 잘 녹기 때문에 시럽의 온도는 4~6도로 맞춰진다. 자동측정 설비로 모니터링해 원하는 수준만큼 이산화탄소가 녹아있는지 확인을 마치면, 이산화탄소까지 녹인 최종 시럽을 캔에 나눠 담는다. 이로써 탄산음료 캔 ... ...
- [이달의 PICK] 올해는 너로 정했어, ‘루비 초콜릿’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카카오버터 대신 팜유 등을 넣어 만든 초콜릿이 많다. 팜유가 들어간 경우 입 안에서 잘 녹기는 하지만 카카오버터를 넣은 것보다 식감이 뻑뻑하다. 또 이 경우 카카오 함량이 20% 이상이어야 한다는 초콜릿의 기준에 미달해 ‘준초콜릿’으로 불린다. 참고로 화이트 초콜릿도 처음 나왔을 때에는 ... ...
- [통합과학 교과서] 아저씨의 탈출을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레이더로 눈구름 속 눈의 상태까지 파악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만든 거죠. 눈송이는 녹기 시작하면서 작은 틈새를 메워나가요. 이후 눈송이 표면에 있는 작은 물방울들이 서로 합쳐지면서 눈송이를 둘러싼 물로 된 껍질을 만들지요. 그리고 마지막에는 모두 물방울로 변해요. 간단해 보이지만 사실 ... ...
- [Origin] 충치가 미생물 탓?! 충치에 관한 다섯 가지 오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내는데, 그 결과로 입안이 pH(산성도) 5.5 이하인 산성이 되면서 치아 표면의 칼슘과 인이 녹기 때문입니다. 부드러워진 치아 표면은 타액(침)에 의해 30~60분에 걸쳐 원래의 강도로 돌아갑니다.소위 말하는 ‘333 법칙’에서는 3분 이내에 양치질을 하라고 하죠. 그러나 식사 후 3분 이내에 치아를 칫솔로 ... ...
- Part 4. 빙하를 보존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빙하를 보호하기 위한 얼음 수송 대작전!기후의 비밀을 간직한 빙하가 빠른 속도로 녹기 시작하자, 과학자들은 새로운 프로젝트를 시작했어요. 미래의 과학자들이 계속 연구할 수 있도록 빙하를 보존하기로 한 거예요. 바로 프랑스, 이탈리아 등 국제 공동 연구팀이 2015년부터 시작한 ‘아이스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