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수"(으)로 총 101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알쏭달쏭 마법사 0의 수수께끼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8호
- 앗, 이번엔 쇼핑몰 바깥의 게임장이에요. 혹시 저기에 서 있는 주인장,변장한 마법사 0 아닌가요? 그런데 수수께끼를 맞히면 엄청난 선물을 준다고요? 98763582846375라니, 정말 큰 수네요. 하지만 아무리 큰 수도 곱셈 한 번에 ‘아무것도 없는 상태’로 만들어 버릴 수 있는 수가 있어요. 뭘까요? 바 ... ...
- [특집] 마법사 0의 탄생 비밀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8호
- 마법사 0은 세상 곳곳을 돌아다니며 숫자 마법을 부려요. 0은 언제, 어디서 태어났을까요? 어떻게 그렇게 대단한 마법사가 된 거지요? 0의 고향은 아무도 몰라~제가 언제, 어디에서 태어났냐고요? 수많은 수학자가 그 비밀을 알아내려 했지만, 누구도 확실히 밝혀낼 순 없었죠. 다만, 아주 먼 옛날에 ... ...
- [수학체험실] 꼭꼭 숨어라, 곱셈 보일라! 문살 무드등 만들기수학동아 l2022년 11호
- 값이 정해지는 ‘위치적 기수법’ 때문이다. 각 문살끼리 만나는 점의 개수는 위치적 기수법에 따라 그 값이 정해진다. 예를 들어 23 × 12의 경우, 23의 2와 12의 1은 십의 자리 위치에 있으므로 20과 10을 의미한다. 문살 곱셈에서 문살 2개와 문살 1개가 만나면 2개의 점이 생기지만, 십의 자릿수 두 개가 ... ...
- [킹앤포] 급한 과제도 함께하면 문제없지!수학동아 l2022년 11호
- 문제일수록 이 시간 내에 작동하는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이 어려워요. PPC의 문제는 이전 기수의 PPC 수상자가 출제하고, 컴퓨터공학과 교수님들이 검수해요. PPC에 참가한 학생들은 실시간으로 팀 순위를 볼 수 있어요. 올해는 학생들의 뛰어난 실력과 문제에 대한 집념이 더해져, 마지막까지 순위가 ... ...
- [논문탐독] 서로의 몸을 이해하다 동물과 함께 살아가는 방법과학동아 l2022년 04호
- 잘 타는 기수는 말과 가장 비슷한 방식으로 몸을 움직일 줄 아는 인간입니다. 능숙한 기수가 되는 과정은 단지 말을 통제하는 일이 아닙니다. 말의 몸에 따라 인간의 몸도 말처럼 움직일 줄 알게 되는 과정입니다. 그러니까 승마 훈련은 일방적으로 이뤄지지 않습니다. 저자는 장 끌로드 베리의 ... ...
- [매스포터] 수를 나타내는 다양한 방법 '진법'수학동아 l2021년 04호
- > 개념수를 나타내는 다양한 방법 ‘진법’ 진법은 기호를 사용해 수를 표현하는 기수법의 한 종류입니다. 과거에는 나라마다 서로 다른 기호를 사용해 수를 나타냈지만, 현재는 전 세계에서 ‘아라비아 숫자’라고도 부르는 0부터 9까지의 숫자 10개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어떤 진법으로 ... ...
- [KAIST 50년] KAIST 탐구보고서, 괴짜라고 불린 최초의 시도들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말했다.양 교수는 KAIST의 전신인 한국과학원(KAIS)이 막 운영되기 시작하던 1973년 첫 번째 기수로 입학했다. KAIS는 고급 과학기술인력을 국내에서 직접 양성하기 위해 과학기술처(현재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도로 설립된 기관이다. 서울대 기계공학과를 졸업한 양 교수는 “학부생 때 시위로 휴교와 ... ...
- 당근 효과는 있어도 채찍 효과는 없다과학동아 l2021년 01호
- 피하는 데 도움을 주지 않았다. 톰슨 책임연구원은 “채찍 대신 고삐를 이용하거나, 기수의 체중을 이동시켜 방향 전환을 수월히 할 수 있다”며 “경주마가 빠르고 바르게 달리도록 채찍질하는 건 말에게 고통을 주는 행위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동물학 및 수의학 분야 학술지 ... ...
- 예술가가 알고리듬을 공부하는 이유는?수학동아 l2020년 08호
- 알고리듬이란 어떤 값을 입력했을 때 원하는 결괏값이 나오도록 만든 규칙의 집합으로, 기수법이나 셈법 등을 뜻하는 알고리즘과는 구분됩니다. 예를 들어 관객의 행동이나 표정을 인식해 스크린 속 영상이 바뀌는 작품을 만들고 싶다면, 관객의 행동이나 표정이 입력값이고 화면에 표시되는 ... ...
- [폴리매스] 여기선 우리도 출제자 매스펀수학동아 l2020년 05호
- 이론을 응용해 문제를 내요. 제 문제 중 ‘과연 돌아*에몽 선생님일까?’라는 문제는 기수법에 관한 책을 읽다가 만든 거예요.#돌아*에몽 친구가 낸 문제를 푸는 게 묘미! 폴리매스 문제는 아직 제게 조금 어려워서 함께 풀고 싶은 문제를 많이 풀게 돼요. 또 친구들이 낸 문제라 그런지 저희가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