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수"(으)로 총 101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마법사 0, 너의 정체를 밝혀라!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8호
- +놀이북 4쪽과 함께 보세요! “대체 어떻게 이런 일이?!”쇼핑을 즐기던 숫자들이 웅성거리고 있어요. 깜짝 놀란 숫자, 울음을 터뜨린 숫자, 그리고 킬킬 웃으며 마법 지팡이를 휘두르고 있는앗, 마법사 0?마법사 0이 뭔가 장난을 쳤나 봐요! 얼른 0을 쫓아가 마법을 풀어야겠어요.참, 조심해요! 마법 ... ...
- [특집 알쏭달쏭 마법사 0의 수수께끼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8호
- 앗, 이번엔 쇼핑몰 바깥의 게임장이에요. 혹시 저기에 서 있는 주인장,변장한 마법사 0 아닌가요? 그런데 수수께끼를 맞히면 엄청난 선물을 준다고요? 98763582846375라니, 정말 큰 수네요. 하지만 아무리 큰 수도 곱셈 한 번에 ‘아무것도 없는 상태’로 만들어 버릴 수 있는 수가 있어요. 뭘까요? 바 ... ...
- [킹앤포] 급한 과제도 함께하면 문제없지!수학동아 l2022년 11호
- 문제일수록 이 시간 내에 작동하는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이 어려워요. PPC의 문제는 이전 기수의 PPC 수상자가 출제하고, 컴퓨터공학과 교수님들이 검수해요. PPC에 참가한 학생들은 실시간으로 팀 순위를 볼 수 있어요. 올해는 학생들의 뛰어난 실력과 문제에 대한 집념이 더해져, 마지막까지 순위가 ... ...
- [수학체험실] 꼭꼭 숨어라, 곱셈 보일라! 문살 무드등 만들기수학동아 l2022년 11호
- 값이 정해지는 ‘위치적 기수법’ 때문이다. 각 문살끼리 만나는 점의 개수는 위치적 기수법에 따라 그 값이 정해진다. 예를 들어 23 × 12의 경우, 23의 2와 12의 1은 십의 자리 위치에 있으므로 20과 10을 의미한다. 문살 곱셈에서 문살 2개와 문살 1개가 만나면 2개의 점이 생기지만, 십의 자릿수 두 개가 ... ...
- [논문탐독] 서로의 몸을 이해하다 동물과 함께 살아가는 방법과학동아 l2022년 04호
- 잘 타는 기수는 말과 가장 비슷한 방식으로 몸을 움직일 줄 아는 인간입니다. 능숙한 기수가 되는 과정은 단지 말을 통제하는 일이 아닙니다. 말의 몸에 따라 인간의 몸도 말처럼 움직일 줄 알게 되는 과정입니다. 그러니까 승마 훈련은 일방적으로 이뤄지지 않습니다. 저자는 장 끌로드 베리의 ... ...
- [매스포터] 수를 나타내는 다양한 방법 '진법'수학동아 l2021년 04호
- > 개념수를 나타내는 다양한 방법 ‘진법’ 진법은 기호를 사용해 수를 표현하는 기수법의 한 종류입니다. 과거에는 나라마다 서로 다른 기호를 사용해 수를 나타냈지만, 현재는 전 세계에서 ‘아라비아 숫자’라고도 부르는 0부터 9까지의 숫자 10개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어떤 진법으로 ... ...
- [KAIST 50년] KAIST 탐구보고서, 괴짜라고 불린 최초의 시도들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말했다.양 교수는 KAIST의 전신인 한국과학원(KAIS)이 막 운영되기 시작하던 1973년 첫 번째 기수로 입학했다. KAIS는 고급 과학기술인력을 국내에서 직접 양성하기 위해 과학기술처(현재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도로 설립된 기관이다. 서울대 기계공학과를 졸업한 양 교수는 “학부생 때 시위로 휴교와 ... ...
- 당근 효과는 있어도 채찍 효과는 없다과학동아 l2021년 01호
- 피하는 데 도움을 주지 않았다. 톰슨 책임연구원은 “채찍 대신 고삐를 이용하거나, 기수의 체중을 이동시켜 방향 전환을 수월히 할 수 있다”며 “경주마가 빠르고 바르게 달리도록 채찍질하는 건 말에게 고통을 주는 행위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동물학 및 수의학 분야 학술지 ... ...
- 예술가가 알고리듬을 공부하는 이유는?수학동아 l2020년 08호
- 알고리듬이란 어떤 값을 입력했을 때 원하는 결괏값이 나오도록 만든 규칙의 집합으로, 기수법이나 셈법 등을 뜻하는 알고리즘과는 구분됩니다. 예를 들어 관객의 행동이나 표정을 인식해 스크린 속 영상이 바뀌는 작품을 만들고 싶다면, 관객의 행동이나 표정이 입력값이고 화면에 표시되는 ... ...
- [폴리매스] 여기선 우리도 출제자 매스펀수학동아 l2020년 05호
- 이론을 응용해 문제를 내요. 제 문제 중 ‘과연 돌아*에몽 선생님일까?’라는 문제는 기수법에 관한 책을 읽다가 만든 거예요.#돌아*에몽 친구가 낸 문제를 푸는 게 묘미! 폴리매스 문제는 아직 제게 조금 어려워서 함께 풀고 싶은 문제를 많이 풀게 돼요. 또 친구들이 낸 문제라 그런지 저희가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