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용
기교
기술
능력
재주
솜씨
구실
d라이브러리
"
기능
"(으)로 총 5,763건 검색되었습니다.
얼마나 행복할까? 행복 방정식
수학동아
l
2024년 04호
얼마나 행복감을 느끼는지’를 0~10 사이의 수로 답하도록 했다. 그리고 실험하는 동안
기능
성 자기 공명 영상(fMRI)으로 이들의 두뇌 활동 변화를 측정했다. 분석 결과, 사람들이 순간순간 느끼는 행복의 크기는 실제로 받는 돈의 액수가 아니라 자신의 기대치보다 얼마나 많은 보상을 받는지를 ... ...
“과학자가 긍지를 느끼는 연구 생태계 만들고파”_황정아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수 없습니다. 메르켈이 총리가 된 이후, 독일 정치는 정책 토론의 장으로써 더 나은
기능
을 하게 됐죠. 그런 정치를 하고 싶습니다. 여러 당적을 가진 다양한 과학계 출신 정치인들과 힘을 모아 협치하고 싶습니다.비례가 아닌 지역구 의원 후보로 나선 이유도 과학계의 목소리에 힘을 싣기 ... ...
[Level Up!디지털 바른생활] 인공지능에게 눈이 있다면? 컴퓨터 비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4호
어떨까요? 스마트폰에는 카메라에 비친 얼굴을 인식해 잠금을 풀어주는 얼굴 인식
기능
이 있어요. 얼굴을 비춘 사람이 누구인지 보고 스마트폰의 주인인지 판단하는 기술이지요. 화장하거나 머리 스타일을 바꾸어도, 안경을 쓰거나 표정을 다르게 해도 스마트폰은 순식간에 정확히 구별해냅니다 ... ...
[뉴럴링크] 뉴럴링크가 있기까지 BCI 50년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왔다. 그 덕분에 생각으로 사물을 움직이고, 말 없이도 생각을 나누는 이른바 ‘텔레파시’
기능
을현실에서 구현 할 수 있게 됐다. BCI기술이 어떤 흐름을 거쳐 뉴럴링크가 나올 수 있었는지, 반세기의 역사를 정리했다 ... ...
[인포그래픽] 도넛을 먹었을 때 우리 몸에선 무슨 일이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혈당 스파이크’를 겪을 수 있다. 다만 건강한 사람들은 치솟은 혈당을 빠르게 조절할 수 있는
기능
이 잘 작동한다. 몸무게가 70kg인 건강한 성인이 도넛을 먹고 혈당 스파이크를 겪을 때 우리 몸에서 어떻게 혈당을 조절하는지 자세히 알아보자 ... ...
[기획] 아직 젊은 당신이 혈당을 관리해야 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중요한 이유다. 바로 ‘오래 건강하게 살기 위해서’다. 당뇨병은 췌도 속 베타세포의
기능
이 저하되며 혈당 조절 능력이 떨어지는 질병이다. 이는 베타세포를 많이 사용하면 나타나는 현상이다. 그동안 당뇨가 중장년층에서 많이 발병한 이유다. 하지만 요즘은 사정이 다르다. 탄수화물 위주의 ... ...
상어의 무한재생 이빨 인간도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데 성공했습니다. doi:10.1016/j.jare.2023.08.012 하지만 아직 이 세포들을 가지고 모양과
기능
을 갖춘 치아로 만드는 방법은 찾지 못했습니다. 정 교수는 “치아의 구조와 모양을 모사할 수 있는 스캐폴드(지지대) 개발 연구와 치아 발생 연구가 둘 다 완성 단계에 이르고, 두 연구가 완벽히 융합돼야만 치아 ... ...
OUTRO 탈출 도파민 중독! 도파민 디톡스 앱 사용기
과학동아
l
2024년 03호
벗어나지 않습니다. 저는 그보다 상호작용 디자인으로 소셜 미디어 자체에 디톡스적
기능
을 추가할 수 있을지 연구 중입니다. 소셜 미디어에는 밤낮이 없습니다. 반면 게임 ‘동물의 숲’은 시간적 측면에서 일상생활의 리듬이 있죠. 사용자의 시간에 따라 밤이 되면 숲이 어두워지고 가게도 닫아요. ... ...
[4컷 만화] 겨울철 변비주의보!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3호
어린이와 노인에게서 자주 발생합니다. 어린이는 식습관의 변화 때문에, 노인은 장
기능
의 저하로 발생하기 쉽지요. 변비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배변을 참지 말고, 자주 물을 마셔야 해요. 섬유질이 풍부한 채소와 과일을 자주 먹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답니다. 섬유질은 수분을 흡수해 대변을 ... ...
[특집] 청소년 뇌가 중독에 취약한 이유
과학동아
l
2024년 03호
뇌세포들이 활성화되는 것을 막는다. 이에 따라 편도체의 주요
기능
인 충동 행위 억제
기능
이 줄며 중독을 일으키는 자극적 행위에 쉽게 빠져들 수 있다.해당 연구를 함께 살펴본 김주현 선임연구원은 “비록 동물 실험 결과지만 특징적인 뇌 회로의 발달이 청소년의 행동을 설명하는 하나의 예가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