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환경오염"(으)로 총 1,25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저렴하게 에너지와 물을 만들어 드립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08
- 촛불로 LED 램프를 켠다?밤이 돼도 환한 도시와 달리, 전세계 15억 명은 여전히 조명 기구 없이 생활하고 있어요. 어둠 속에서 밤을 보내거나 작은 양초, 등유 램프 같은 약한 불빛에 의지하지요. 하지만 이런 빛으로는 집안일이나 공부를 하기가 어려워요. 이보다 사정이 나은 개발도상국에서도 발전 ... ...
- [Origin] ‘지질조사 어벤져스’의 한라산 비밀의 숲 탐험기과학동아 l201708
- 한라산을 찾는 탐방객은 연간 125만 명에 이른다(2015년 기준). 하지만 일부 탐방로를 제외하면 대부분 사람의 손길이 닿지 않은 ‘비밀의 숲’이다. 지난 6월 22일, 기자는 그 비밀의 숲 속으로 들어갔다.각도가 40°는 돼 보이는 가파른 오름에는 허리춤까지 올라오는 조릿대가 빼곡했다. 한라산 학술 ... ...
- [Issue] 바다에 자일렌이 유출되면?과학동아 l201707
- “유출사고 발생! 대피! 대피!”6월 8일 목요일 오후 2시, 화학회사의 로고가 적힌 거대한 시멘트 건물과 노란 페인트를 칠한 크레인이 빼곡한 인천 남항. 바다 쪽 100m 밖에 설치한, 화물을 하역하는 돌핀부두에서 오렌지색 연막탄이 피어 올랐다. 짙은 연기 속에서 누군가 팔을 내저으며 뛰쳐나왔다. ... ...
- [Issue] 편리한 현대의 딜레마, 포장지 속 과불화화합물과학동아 l201707
- 과불화화합물. 이름은 낯설지만 방수제와 윤활제, 페인트와 잉크, 종이, 섬유, 카페트, 조리도구, 반도체 세정제, 소화약제까지 안 쓰이는 곳이 없다. 특히 반질반질하게 코팅된 종이 음식 포장지에는 두세 개 중 하나에 과불화화합물이 쓰였다. 과불화화합물은 다른 물질은 따라올 수 없는 발수력( ... ...
- [Origin] 프랑스 원자력 및 대체에너지청과학동아 l201707
- 6월 19일 우리나라의 첫 상업용 원자력발전소인 고리1호기가 영구정지 됐습니다. 노후한 원자력발전소를 해체하는 것은 우리나라에서 처음 있는 일인데요. 전세계적으로는 오래 전부터 뜨거운 이슈였습니다. 원자력발전소의 대부분이 1960~1970년대 세워져 수명이 다해가고 있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 ...
- [과학뉴스] 자동차 배기가스에 어린이 DNA 손상과학동아 l201707
- 배기가스 등 교통수단에 의한 대기오염이 심할 경우 어린이와 청소년의 유전자가 변형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UC버클리 공중보건학부 존 발메스 교수팀은 배기가스 오염이 어린이와 청소년의 천식과 텔로미어 유전자 길이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를 ‘직업환경의학’ 5월호에 ... ...
- [Future] 새롭게 주목 받는 ‘환경 곤충’, 플라스틱 먹는 애벌레과학동아 l201706
- 사람들은 매년 1조 개의 폴리에틸렌(PE) 비닐봉지를 사용한다. 영국 시장조사 기관인 아이에이치에스마킷은 올해 전세계 PE 사용량을 9200만t으로 추산했다. PE 비닐봉지는 자외선이나 열에 의해 조금씩 분해되기는 하지만 완전히 분해되기 위해서는 최소 20년에서 길게는 수백 년이 걸린다. 그런데 최 ... ...
- [Issue] 짭조름한 천덕꾸러기? 소금의 반전과학동아 l201706
- 소금 논란이 뜨겁다.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5g 이하로 섭취량을 줄이라고 권고하는데, 최근 반대로 저염식(低鹽食)이 건강에 해롭다는 연구 결과가 잇따르고 있다. 어떤 소금을 먹는지도 중요하다는데, 과연 몸에 좋은 소금이 뭘까.“미국 국립의학학술원(NAM)에서 2013년에 보고서를 발표했을 때 소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서울대 다이로스 연구실어린이과학동아 l201706
- 지난 해 TV에 방영된 한 라면 광고를 기억하나요? 구슬땀을 흘리며 로봇을 개발하는 연구팀이 출연해 화제가 됐지요. 이번에 기자단 친구들은 광고의 주인공인 서울대학교 융합과학기술대학원 다이로스 연구실로 취재를 다녀왔어요. 휴머노이드부터 무인자율주행 자동차까지 함께 만나 봐요!최악 ... ...
- [과학뉴스] 방사성 물질에 오염된 물 미생물로 깨끗하게과학동아 l201706
- 전종호 한국원자력연구원 생명공학연구부 박사와 최용준 서울시립대 환경공학부 교수 공동연구팀이 금 나노입자가 포함된 미생물을 활용해 방사성 요오드 폐기물을 제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방사성 요오드가 잘 들러붙는 금 나노입자를 방사능에 강한 데이노코쿠스 라디오두란스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