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해부학"(으)로 총 378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길들여지지 않는 새, 이클립스 깃털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701
- 것으로 판명났다. 앤드루 롤러의 책 ‘치킨로드’에 따르면, 독일 뮌헨대 인류학및고고해부학과 요리스 페터르스 교수는 당시 “그들이 지층의 연대를 파악하고 정작 닭뼈의 연대는 측정하지 않았다”며 “그들이 주장한 닭뼈는 실제로 약 2000년 전의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동남아시아나 ... ...
- [과학뉴스] 원숭이가 말 못하는 진짜 이유과학동아 l201701
- 주파수 스펙트럼이 거의 일치했다.가잔파르 교수는 “원숭이가 말을 하지 못하는 이유는 해부학적 요인이 아니라 말을 하는 데 필요한 뇌의 신경회로가 다르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2016년 12월 15일자에 실렸다 ... ...
- [가상 인터뷰] 우리의 먼~ 친척, 안경원숭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21
- 우리 집에 놀러가지 않을래? 사실 연구팀은 우리 안경원숭이들만의 독특한 생리와 해부학적인 특징, 수유 행동에 대해 알고 싶어 연구를 시작했어요. 열심히 연구를 하던 중에 우리가 원숭이보다 인간에 더 가깝다는 사실을 새롭게 발견해 냈다고 해요.아직 박사님들이 우리 안경원숭이에 대해 ... ...
- [Knowledge] 뒤섞인 시체들의 신원 파악은?과학동아 l201612
- 있기 때문이다.특히 시체가 땅 속에 묻힌 뒤에 백골화된 경우라면 더욱 그렇다. 뼈들이 해부학적인 연관성을 잃지 않고 제 위치에서 고스란히 발견될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장에서 뼈를 수습할 땐 충분한 시간을 갖고 각 뼈의 연관성을 신중히 판단해야 한다. 만약 현장을 급히 수습해야 ... ...
- PART 1. 현실보다 더 현실같은 가상현실수학동아 l201609
- 이용한다. 의과대학 학생들은 3차원 가상영상으로 생리학 원리를 배운다. 시신을 이용한 해부학 실습을 가상현실로 대신할 수도 있다. 작년 12월 폴란드에서는 가상현실 장치를 이용해 실제 심장 수술도 했다.그 외에도 가상현실의 응용 분야는 무궁무진하다. 건물을 짓기 전에 설계도면에 따라 미리 ... ...
- [Knowledge] 뼈의 말에 귀 기울이는 사람들(上)과학동아 l201609
- 등을 대고 누운 사람처럼 하늘을 향해 팔다리를 편 자세로 뼈를 펼쳐 놓는데, 이 자세를 해부학적 자세라 한다. 본즈(Bones)와 같은 범죄수사 드라마 팬이라면 익숙한 장면일 것이다. 이렇게 뼈를 늘어 놓는 이유는 어떤 뼈가 남아 있는지 한눈에 파악하고 뼈 목록을 작성하기 위해서다.뼈 목록에는 ... ...
- [Knowledge] 내 손이… 옛날엔 물고기 지느러미?과학동아 l201609
- 쓰임, 즉 발생 과정이 달라서일 뿐이다. 이 사실을 밝히려면 해부학적 형태를 비교하거나(해부학자와 고생물학자들이 연구한다), 그 유전자를 제거해가며 발생 과정을 비교해야 한다(생명과학자가 한다). 물론 두 방법을 다 쓸 수도 있다(슈빈 교수).슈빈 교수는 어류의 지느러미 가시와 네발동물의 ... ...
- [과학뉴스] 심근세포로 움직이는 가오리로봇 탄생과학동아 l201608
- 가오리를 해부해 근육의 배열과 근육이 움직이는 메커니즘을 분석했다. 그리고 가오리의 해부학적 구조를 본뜬 수많은 소프트로봇을 만들어 실험했다. 최종적으로 두 개의 평평한 실리콘 층 사이에 금으로 만든 골격을 넣은 샌드위치 형태의 로봇을 선택했다. 이렇게 만든 로봇은 길이가 16mm, ... ...
- [Knowledge] ‘죽음의 손가락’ 지닌 기이한 원숭이과학동아 l201607
- 공급을 적게 해 에너지를 아끼는 것이다. 경이로운 진화의 산물아이아이만의 독특한 해부학적 구조와 그로 인해 얻는 이득은, 다른 영장류와 비교해 확실히 독보적이다. 수천만 년 동안 진화를 거듭하면서 사냥에 필요한 복잡한 먹이잡이 도구를 스스로 몸에 장착했다.이들은 소리와 진동의 ... ...
- [News & Issue] 어서와, 이런 알바는 처음이지?과학동아 l201605
- 한두 시간이면 너끈히 털을 구분할 수 있다”며 “실력을 지켜보겠다”는 말을 남기곤 해부학 실습 수업을 하러 유유히 떠났다.그렇게 한 시간을 현미경 앞에 매달려 있었지만 50가닥 중 절반밖에 구분하지 못했다. 밝은 현미경 빛 때문에 눈도 침침했다. 마지막으로, 구분한 털을 종류별로 현미경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