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표"(으)로 총 1,119건 검색되었습니다.
- [Photo] 천연 내비게이션, 자철석과학동아 l201709
- 광물과 생명은 서로 영향을 미치면서 진화해 왔다. 생명체 자체가 광물로 이뤄진 지표와 물, 대기, 그리고 태양에너지에 바탕을 두고 있으니 어쩌면 당연한 얘기일 수도 있다. 이지섭_director@naturehistory.com광물 수집가이자 이야기꾼. 현재 희귀광물 3000여 점을 전시하는 ‘민 자연사연구소’를 ... ...
- [Issue] 미국 개기일식, 과학자들도 ‘스탠바이’과학동아 l201708
- 달과 지구 사이의 거리에 따라 지구상의 본그림자 크기도 달라진다. 달이 가까울 때는 지표면에서의 그림자 크기가 250km에 이르는 경우도 있지만, 달이 멀 때는 아예 본그림자가 지구에 닿지 않아 개기일식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처럼 개기일식이 일어날 때 달의 본 그림자가 지구를 가로지르는 ... ...
- [에디터 노트] 에디터 토크 6과학동아 l201708
- 있게 됐어. 발견된 DNA의 주인이 누구인지는 물론, 몸 어느 조직에서 나왔는지 후성유전학 지표로 추정할 수도 있어. 나이와 흡연 여부도 정확히 가릴 수 있지. DNA를 검출해도 단순히 손으로 만져서 묻은 DNA인지, 혹은 피해자를 끌고 가느라 남은 흔적인지 판별할 수 있어. 게다가 주변의 미생물의 ... ...
- [Issue] ‘알쓸신잡’ 자외선차단제 고르는 법3과학동아 l201708
- 라벨을 잘 봐주세요. 힌트는 *PA등급과 *SPF지수입니다. 각각 자외선 A, B와 관련 있는 지표지요. 만약 실내에서 주로 생활한다면 SPF지수가 15, PA등급이 +이상이면 충분합니다. 창문을 통해 자외선B, 자외선C가 대부분 걸러지고, 형광등에서 나오는 자외선도 형광등 안쪽에 코팅된 이산화티탄 성분이 ... ...
- 치킨은 행복이다 냠냠지수수학동아 l201706
- 스시 같은 다양한 음식으로 행복처럼 추상적인 개념부터 우리 생활과 밀접한 경제 지표까지 알아볼 수 있다는 게 신기하지 않나요? 음식이 우리 생활과 밀접하게 관련돼 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에요. 독자 여러분도 맛있는 음식에서 새로운 의미를 찾아 나만의 냠냠지수를 만들어 보는 건 ... ...
- Part 2. 수학, 음악을 만들다수학동아 l201706
- 것”이라고 말했다. 음악의 리듬과 멜로디, 화성과 같은 주요 특징을 새로움과 본보기 지표를 기준으로 분석하면 된다는 것이다. 예술에 점점 더 가까워지는 수학과 수학에 점점 더 가까워지는 음악의 미래가 기대된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딴따라 수학과 똑똑이 음악의 듀엣 타임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2화] 우주를 향해 로켓을 날려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06
- 뿜어져 나와 땅을 힘차게 밀어내요. 그럼 로켓은 가스가 땅을 밀어낸 힘의 반작용으로 지표면을 밀며 위로 올라갈 수 있는 거랍니다. 이 힘을 ‘추력’이라고 해요.100t이 넘는 로켓이 위로 오르기 위해선 엄청난 양의 가스가 한꺼번에 뿜어져 나와야 해요. 그래서 로켓 안에 있던 연료를 불로 태워 ... ...
- Part 1. 물 진짜 부족한 걸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06
- 않지요.더구나 물은 지역별로 균등하게 분포하고 있지 않아요. 나라마다 빙하나 지하수, 지표수를 보유하고 있는 양이 각각 다르거든요. 강우량과 증발량도 지역마다 달라서 어떤 나라는 쓸 수 있는 물의 양이 많은 반면, 어떤 나라는 부족하지요.각 나라의 경제 발전에 따라 이용할 수 있는 물의 ... ...
- Part 2. 지하 도시 도시 아래에 산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05
- 온도 등 수시로 변하는 외부환경에 지배받지 않아요. 바깥이 아무리 춥거나 더워도 지표에서 5m 아래만 내려가면 지열때문에 15℃ 정도의 일정한 온도가 유지되죠. 이 덕분에 에너지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답니다.또 지하의 흙은 소음 차단 기능이 뛰어나 도서관이나 공연장을 설치하는 데도 ... ...
- Part 3. [세 번째 실험] 가마가 생기지 않게 고양이 털 빗기수학동아 l201705
- 지표를 구해볼까요? 먼저 고양이의 표면 전체를 삼각형 여러 개로 덮은 다음, 오일러 지표를 구해 봐요. 표면을 덮는 데 삼각형을 몇 개 쓰든 항상 2가 나옵니다. 이 고양이는 가마가 생길 수밖에 없겠군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고무고무 박사의 위상수학 실험실Part 1. [첫 번째 실험]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