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벼랑
낭떠러지
급경사면
고대
절애
급사면
가파른 비탈
d라이브러리
"
절벽
"(으)로 총 222건 검색되었습니다.
[Tech & Fun] 미국 국립대기연구센터(NCAR)
과학동아
l
201608
볼더 시의 남쪽 산등성이에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이 랩은 주위 산세를 본떠 깎아지른 암석
절벽
모양인데요, 현지의 자재를 이용해 주위 자연과 완벽한 조화를 이루는 것으로 유명합니다. 사슴 무리들이 풀을 뜯는 광경도 이곳에선 그다지 놀라운 일이 아닙니다(가끔은 퓨마나 곰도 나타나니까요!) ... ...
[게임카페] 리듬 맞춰 폴짝폴짝 달려라, 웃기는 박스!
수학동아
l
201607
삐죽삐죽한 장애물에 부딪치거나,
절벽
으로 뚝 떨어지면 게임이 끝나요. 장애물이나
절벽
이 가까워지면 스크린을 터치해보세요. 그럼 박스가 폴짝 뛰면서 안전한 곳에 착지한답니다. 혹시 장애물이 다른 것보다 더 높다면 스크린을 두번 터치해서 좀 더 높이 뛰면 돼요.하지만 딱 한 번이라도 터치할 ... ...
[Knowledge] 생명과학의 성배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606
아니라!)를 최대화하는 방향으로 작용함을 입증했다. 눈의 시력을 좋게 해서 야밤에
절벽
에서 추락하지 않게 해주는 형질처럼, 사회적 행동과 상관 없이 당사자의 적합도에만 영향을 끼치는 유전자의 경우는 상대방과 유전자를 공유할 확률이 0인 특수한 상황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이로써 ... ...
[소프트웨어] 눈 더미보다 더 빨리~ 날아라, 스키
수학동아
l
201606
속도를 높여서 도망가야겠어요. 지금보다 낮은 곳으로 떨어지면 속도가 빨라지거든요.
절벽
에서 더 빨라지는 비결은 에너지 보존법칙‘스키 사파리’ 세계에는 물리엔진을 기반으로 한 2차원 좌표가 펼쳐져 있어요. 1990년대 초반만 하더라도 캐릭터는 일정한 속도로 뛰어올랐다가 다시 일정한 ... ...
[과학뉴스] 가상현실과 외골격 로봇을 결합하면?
과학동아
l
201606
‘액손스테이션(AxonStation)’이라는 외골격로봇은 팔다리를 상하좌우로 움직일 수 있어,
절벽
을 오르는 등 3차원 공간에서 움직이는 느낌을 줄 수 있다. HMD 영상과 연동도 가능해 가상현실을 더욱 실감나게 지원할 것으로 예상된다. 액손브이알은 홈페이지를 통해 “개발 중인 제품이 완성되면 ... ...
[수학동아클리닉] 제주 올레에서 만나는 수학이야기
수학동아
l
201604
부딪치는
절벽
은 대개 거대한 암석 덩어리입니다. 하지만 중문 해안가에 서 있는 이
절벽
은 마치 누군가 다각형 기둥을 조각해 나란히 붙여놓은 것 같은 모양입니다. 이런 암석 구조를 ‘주상절리’라고 합니다.절리는 온도가 약 1100℃인 용암이 화구로부터 흘러나와 빠르게 식으면서 부피가 수축한 ... ...
[재미] 양손잡이 위상수학자
수학동아
l
201603
바닥에 있는 막대기를 들어
절벽
에 숫자 64를 쓰자 공간이 흔들리며 거대한 파도가 밀려들어왔다.“조심해요!”멀리서 오던 파도는 해안선에 가까이 올수록 더욱 거세졌다. 무섭게 달려오던 파도는 결국 눈꽃송이처럼 뾰족뾰족한 프랙탈 구조의 해안선을 집어 삼켜버렸다. 해안선은 감쪽같이 사라져 ... ...
[Knowledge] 파충류의 속사정2 하늘의 거인 케찰코아틀루스
과학동아
l
201602
뒷다리로 뛰어서 날아오르기에는 무거운 수치다. 그래서 한동안 많은 과학자들은 이들이
절벽
과 같은 높은 곳에서 뛰어내려 활공을 했을 거라 생각했다.하지만 이런 생각은 2008년 완전히 바뀌었다. 미국 존스홉킨스대의 생체역학자 마이클 하비브 박사는 익룡의 윗팔뼈가 다른 뼈 부위에 비해 내부 ... ...
[재미] 수학 소설
수학동아
l
201602
눈앞에는 믿지 못할 광경이 벌어졌다. 깊고 넓은 바다와 해안선을 따라 거칠고 가파른
절벽
이 보였다. 그런데 해안선 모양이 조금 특이했다.“어디서 많이 본 모양인데….”한참 동안 해안선 모양을 보고 있던 단의 눈에 곰살궂게 생긴 남자가 해안선을 따라 단을 향해 걸어오는 모습이 보였다. 단을 ... ...
10년의 대탐험 뉴호라이즌호, 명왕성을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16
카론의 사진에서 눈에 띄는 지형은 1000km 길이의
절벽
과 5~10km의 깊이의 협곡이에요.
절벽
과 협곡은 땅이 솟아오르는 지질활동의 결과로 생겨요. 따라서 카론에서도 지질활동이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어요.뉴호라이즌호는 닉스와 히드라 사진도 찍었어요. 가로 42km, 세로 36km의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