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장
d라이브러리
"
작은창자
"(으)로 총 42건 검색되었습니다.
겨울 별미로 거듭난 꽁치
과학동아
l
200902
값싸고 맛있는 생선을 말할 때 빼놓을 수 없는 것 중 하나가 바로 꽁치다. 석쇠에 올려놓고 지글지글 굽다 보면 입안에 절로 침이 고이고, 밥상 위에 오르기가 무섭게 너 나 할 것 없는 젓가락질 공세로 어느새 뼈만 남기 일쑤다. 꽁치는 최고의 찌갯거리이기도 하다. 등산이나 낚시를 갈 때 김치와 ... ...
빨간 피의 진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23
노란색을 띤다. 혈장은 대부분 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단백질이 약간 섞여 있다. 혈장은
작은창자
에서 흡수한 영양소를 운반하며 세포에서 생긴 이산화탄소와 노폐물을 운반한다.백혈구는 우리 몸을 보호한다. 세균이나 이물질이 몸 속 으로 침입하면 백혈구가 잡아먹는다.혈소판은 큰 세포에서 ... ...
내 뱃속에서는 무슨일이 벌어지고 있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622
돌기로 빼곡히 덮여 있다. 소화 효소에 의해 분해된 영양소는 융털에서 흡수된다.
작은창자
의 길이는 7미터나 되고 주름과 융털을 모두 펼치면 테니스장의 넓이와 맞먹는다. 대장소화가 마무리된 음식물은 이제 큰창자(대장)로 이동한다. 큰 창자는 수분을 흡수하여 대변을 만든다. 큰창자에 이상이 ... ...
똥의 향기에 취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20
몰라.★내 똥이 포도잼 같다면~?보랏빛으로 질려 버린 똥을 그냥 무시하면 큰일나.
작은창자
가 위험하다고!★선홍빛을 띠는 똥큰창자 끝부분에 출혈이 있어서 똥에 피가 섞여 나오는 거야.제 3단계 킁킁, 똥냄새를 맡아요!혹시 주위에‘내 똥은 나 닮아서 얼마나 향기로운지 몰라’라고 말하는 ... ...
삼각뿔 모양 영양 창고 간
과학동아
l
200510
와 돌창자(회장)에서 흡수된다.
작은창자
에서 흡수되지 않은 음식물은 큰창자로 간다.
작은창자
와 큰창자에서 흡수된 음식물은 문맥을 통해서 간으로 이동한다. 간은 음식물을 몸의 각 부분에 알맞는 영양물질로 바꾼다. 이 과정에서 음식물에 들어있는 독소성분도 해독된다. 술도 간으로 가 ... ...
01 참살이 약품 찍어내는 식물공장
과학동아
l
200504
먹으면 일부 바이러스 단백질이 소화되지 않고
작은창자
까지 내려온다. 이 단백질은
작은창자
의 점막에 닿는데 그곳에서 면역 반응이 일어난다. 바이러스를 공격하는 항체 단백질이 만들어지는 것이다.“먹는 백신은 1990년대 초반 미국 과학자 찰스 안첸이 아프리카에서 백신 바나나를 연구하면서 ... ...
몸속에 숨은 아코디언 가로막
과학동아
l
200410
고깃집에서 갈매기살이나 안창살이 어느 부위인지를 모르고 먹는 경우가 많다. 갈매기살과 안창살은 기름기가 적고 질기지 않아 구워먹기 적당하다. 갈매기살은 돼지의 가로막이고, 안창살은 소의 가로막이다. 사람의 흉부 X선 사진을 보면 가로막이 마치 갈매기처럼 보인다. 가로막은 근육으로 이 ... ...
3 21세기 미라 냉동인간
과학동아
l
200308
저온생물학에서는 저온보존 기술로 생명활동을 일시적으로 중단시킨다. 저온보존으로 겨냥하는 대표적인 미래기술은 인공동면과 냉동보존이다.겨울잠 자며 우주여행한다먼저 인공동면의 경우 사람도 일부 동물처럼 동면을 즐길 가능성이 없지 않다. 곰과 다람쥐, 햄스터, 박쥐 등은 외부 온도에 ... ...
우주 연못에서 뛰쳐나온 올챙이
과학동아
l
200304
겨우내 땅속에 잠들어 있던 개구리가 따스한 봄기운에 놀라 뛰쳐나온다는 경칩이 한참 지났다. 겨울잠에서 깨어난 개구리는 종류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3월 하순부터 물웅덩이에 알을 낳기 시작한다. 그후 알을 깨고 올챙이가 되는데는 대개 보름 정도가 걸린다. 때문에 이르면 4월 중순부터는 연못 ... ...
1. 인간은 고기 좋아하는 잡식성 동물
과학동아
l
200203
가장 최근 인간과 갈라선 침팬지도 고기 섭취 비율이 4%에 불과하다. 또한 인간은
작은창자
가 다른 어떤 유인원보다 길다. 분해된 단백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흡수하기 위해 작은 창자가 진화한 것이다. ‘인류학의 보고’로 불리는 아프리카 보츠와나의 쿵족 사회는 40%의 시간을 사냥과 사냥 얘기로 ... ...
이전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