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주빛"(으)로 총 16건 검색되었습니다.
- 앵초 큰앵초 깽깽이풀과학동아 l199303
- 통꽃이고 꽃부리통의 길이가 12~14mm이며 수술은 5개로 꽃부리통보다 짧다. 5~6월에 붉은 자주빛의 꽃이 핀다. 열매는 삭과인데, 알모양의 긴 타원형이며 꽃받침보다 길다. 꽃은 관상용으로 심어 가꿀 수 있다. 깽깽이풀(Plagiorhegma dubium Maxim)은 매자나무과(Berberidaceae)에 속하는 식물로 우리나라 중부 ... ...
- 농업기상학과학동아 l198911
- 흰 안개로 묘사되었다. 또 붉은 불꽃, 밤에 비치는 햇빛, 뱀 같은 화살, 누각과 같은 푸른 자주빛 구름 등으로 나타냈다.1519년(중종 14) 6월에 경주에서 관측된 극광을 묘사한 '중종실록'의 기사는 아주 재미있다. 그글의 일부를 옮겨 보자."이날 밤 경상도 경주부에는 천변(天変)이 일어났다. 이른 ... ...
- 나무는 왜 푸를까과학동아 l198805
- 그것들은 아마 지배적인 생명 형태가 되었을 것이다. 그와 같은 시절에는 바다가 자주빛이었음도 지당한 사실이다. 아무리 성공적이었다 할지라도, 할로박테리움과 같은 자주색 박테리아는 궁극적으로 그것들을 몰락시킨 심각한 결점을 가지고 있었다. 곧 그것들은 이산화탄소를 고정시킬 수 ... ...
- 백두산의 희귀식물과학동아 l198609
- 고산지대에서 자란다. 잎의 윗면은 짙은 녹색이며 꽃은 밀생하면서 타원형을 이룬다.자주빛이 돋는 붉은색으로 매달리는 꽃이 방울종을 연상케 하는 게 가솔송이다. 가솔송은 상록의 작은 관목으로 높은 산에 자라는 아름다운 철쭉과 식물, 일본의 고산지대, 만주 북유럽과 북아메리카의 높은 ... ...
- 특산식물과 사라져가는 희귀식물들과학동아 l198604
- 흔히 일반인이 말하는 오동은 참오동이란 것이고 오동나무란 우리나라 특산종으로 꽃에 자주빛점선이 없는 것이 특색이다. 충무 근처에서는 참오동과 오동 사이에서 생긴 충무오동이 자라고 있다.구름떡쑥:한라산에서 자라는 특산종이다. 많은 개체가 여기 저기서 자라고 있으므로 아직은 위기에 ... ...
- 꽃은 언제 어떻게 피고 있나과학동아 l198604
- 8월 초순경에 찾아볼 수 있는 종류와 비슷한 것들도 목격할 수 있다.가을철에는 자주빛 돋는 용담꽃, 그늘돌쩌귀꽃, 그리고 구절초 무리가 우리나라의 산골짜기를 수놓는 것을 볼 수가 있다. 또 억새꽃이 장관을 이루고 있는 산지와, 강가에 피는 갈대꽃들이 바람에 파도치는 장관도 빼놓을 수 없다 ... ...
이전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