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가짜지폐
위폐
뇌물
위조수표
가짜돈
위조화폐
d라이브러리
"
위조지폐
"(으)로 총 34건 검색되었습니다.
2mm 속에서 질병·가짜 찾아낸다
과학동아
l
201003
돼 있다”며 “종이와 잉크, 숨은 은선, 홀로그램의 위치를 깊이에 따라 OCT로 구분해서
위조지폐
를 찾아냈다”고 설명했다.OCT는 진주의 품질을 구분하는 데도 사용된다. 조개에 진주의 핵을 심어서 바닷물에서 키운 해수진주는 모양이 완벽한 구에 가까운 반면, 핵이 없이 저수지나 호수에서 키운 ... ...
마법 같은 제2의 양자혁명
과학동아
l
200810
찰스 베넷 박사는 대학생 시절 기숙사 룸메이트인 스티븐 위스너에게 이런 방식으로
위조지폐
를 방지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들었는데, 1984년 길레스 브라사드와 함께 양자암호를 발명하는 데 이 아이디어를 활용했다. 1989년에는 세계 최초로 양자암호 실험장치도 만들었다.그리고 1993년 마침내 베넷 ... ...
필요에 따라 썼다 지우는 워터마크
과학동아
l
200810
‘따라라라라랄라~♪♪’백화점에서 흘러나오는 경쾌한 음악이나 커피 광고에 쓰인 감미로운 팝송이 무엇인지 궁금하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음악을 잘 아는 사람에게 물어보는 방법 외에는 뾰족한 수가 없다. 그러나 1~2년 뒤에는 컴퓨터에 노래의 일부를 들려주거나 선율을 따라 흥얼거리는 것만 ... ...
썰렁홈즈의 만우절 가짜 대소동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7
탐정 생활을 접고 농부가 된 썰렁홈즈 앞으로 편지 한 통이 배달됐다.“썰렁홈즈! 지금 한가로이 농사나 짓고 있을 땐가? 세계는 지금 가짜들의 물결에 휩싸여 있다네. 우리 탐정들이 진짜와 가짜를 구별하지 못할 정도로 진짜 같은 가짜가 판을 치고 있단 말일세. 게다가 곧만우절이라네. 가짜들이 ... ...
자외선과 형광안료가 빚어낸 색채의 향연
과학동아
l
200802
양의 수백만 분의 1에 불과하므로 인체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예전에 블랙라이트는
위조지폐
를 가려내거나 기계의 연료탱크에 새는 곳이 있는지 알아내는 데 많이 쓰였다. 형광 잉크로 표시해둔 지폐나 형광체 분말을 넣은 연료탱크를 블랙라이트로 비춰보면 눈에 보이지 않는 부분을 볼 수 ... ...
사이언스 시간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715
과거 속으로 1744년 8월 1일용불용설을 주장한 라마르크 출생프랑스 과학자 라마르크는 진화의 원리에 대해‘용불용설’을 주장했다. 용불용설은 자주 쓰는 기관은 발달하고 안 쓰는 기관은 퇴화한다는 것이다. 그는 목이 짧은 기린이 높은 곳에 있는 나뭇잎을 먹으려고 자꾸 목을 늘이다 보니 기린 ... ...
만원지폐에 담긴 물리학
과학동아
l
200705
아주 작은 글씨를 집어넣기도 했다.변화무쌍한 ‘몰포’ 나비 날개의 비밀여러 가지
위조지폐
를 막는 장치 중 가장 강력한 방법은 보는 각도에 따라 색깔이 달라지는‘색변환잉크’를 사용하는 방법이다. 새 만원권의 뒷면 오른쪽 아랫부분에는‘10000’이라고 찍힌 부분이 있는데 위에서 보면 ... ...
우리가 몰랐던 돈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3
처한다’라는 경고성 문구가 적혀 있답니다.
위조지폐
범들 이 이 문구를 보면 감히
위조지폐
만들 생각을 못 하겠지요? 북한의 돈에도 문구가 적혀 있습니다. 1979년 발행되어 지금도 쓰이고 있는 일 원권에는‘세상에 부럼 없어라’라는 특이한 문구가 적혀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나라 지폐에는 이런 ... ...
이래도 위조할래?
과학동아
l
200602
한국은행이 1월 들어 새 5000원을 발행하고 1000원권 신권을 선보였다.특히 23년만에 새 돈으로 태어난 5000원권은 세뱃돈과 소장용으로 큰인기를 끌며 한국은행이 추가 발행까지 했다. 한국은행의 영문 표기, 디자인, 지폐 일련번호 등이 논란을 일으켰고, ATM 기기에서 쓸 수 없다는 불편함이 있지만 빠 ... ...
'외계인' 섬유 나왔다
과학동아
l
200510
‘짝퉁’ 의류를 가려낼 수 있는 나노 입자가 들어간 섬유가 개발됐다.노스캐롤라이나 주립대 후안 하인스트로자 교수와 푸에르토리코대 카를로스 히나우디 교수팀은 전자 바코드 정보가 기록된 나노 입자가 들어 있는 ‘외계인 나노섬유’를 개발했다.지름 150나노미터(nm)인 이 섬유는 현미경으 ... ...
이전
1
2
3
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