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외관"(으)로 총 202건 검색되었습니다.
- [생활] 디자인 놀이터에서 즐기는 수학데이트수학동아 l201508
- 형식이 정해지지 않은 건축물.]DDP에 숨어있는 삼각형의 힘어울림 광장에 서서 DDP 건물 외관을 쓰윽 한번 훑어보세요. 가장 먼저 기둥없이 튀어나온 벽면이 그대로 지붕으로 이어진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어요. 분명 기둥이 없는데도 건물이 안정감있고 튼튼해 보여요. 어떻게 가능할까요?비밀은 ... ...
- 한옥에 살어리랏다수학동아 l201506
- 지을 수도 있다. ‘부산 코모도 호텔’은 조선시대 왕궁을 그대로 재현한 독특한 외관을 자랑하며, 각 층마다 화려한 단청으로 단장돼 있다. 지난 5월에는 인천 송도에 국내 최대 한옥 호텔인 ‘경원재 앰배서더 인천’이 문을 열기도 했다. 최기영 대목장을 비롯해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장인들이 ... ...
- [Knowledge] 불완전한 자연미인 다이아몬드과학동아 l201505
- 지르코니아라는 재료에 크롬이나 니켈을 합성해 만든 ‘인조 다이아몬드’다. 외관만 비슷한 가짜 다이아몬드다. 반면 합성 다이아몬드는 탄소를 이용해 인공적으로 빠르게 성장시킨 다이아몬드다. 천연 다이아몬드와 화학적 성분과 구조가 동일하고 겉보기나 경도, 굴절률 등 물리적 성질이 ... ...
- PART3. 4D 프린팅의 마술과학동아 l201503
- 수 있다. 자동차 차체를 프로그래밍 가능 재료로 제작하면 운전자의 취향과 기분에 따라 외관을 자유롭게 바꿀 날이 올 것이다. 교량이나 도로가 파손됐을 때 스스로 복구되는 재료로 만들 수도 있다. 국방 분야에서는 위장막이나 위장복에 활용될 자가변형 천이 가장 각광받고 있다. 가령, 물만 ... ...
- [Knowledge] 지상에서 운용되는 우주기술과학동아 l201503
- 멀리서 항공우주연구소의 새로운 건물이 눈에 들어 왔다. 우주선 모양의 수려한 외관에, 표면은 우주선에서 사용되는 낯익은 태양광 전지 패널로 둘러싸여 있었다. 건물에서 사용되는 모든 에너지를 태양광으로 공급받는 친환경 빌딩이었다. 태양광 전지의 표면은 우주 기술로 개발된 처리기술 ... ...
- [매스투어] 불교문화 속 띠군을 찾아~ 태국으로!수학동아 l201501
- 있습니다.에메랄드 부다는 1434년 치앙라이에서 처음 발견되었습니다. 발견 당시에는 외관의 색깔이 회반죽색이어서 평범한 부처처럼 보였는데, 어느 날 코 부분이 벗겨지면서 천연의 옥색이 드러났습니다. 그런데 맨 처음 옥색의 몸체를 발견한 스님은 그 보석이 에메랄드인 줄 알았다고 합니다. ... ...
- [생활] 이슬람의 기하학 패턴을 찾아, 말레이시아로!수학동아 l201411
- 수 있었어요. 술탄 미잔 자이날 아비딘 모스크는 푸트라자야의 제2 모스크로, 전체적인 외관을 철로 만들었다고 해서 ‘철의 모스크’라고도 불려요. 그래서인지 지금까지 둘러본 다른 모스크와 달리 매우 현대적이고 세련된 느낌입니다. 특히 은빛으로 빛나는 거대한 철제 돔과 기하학 패턴, ... ...
- [체험] 잘록한 허리를 가진 일엽쌍곡면 만들기수학동아 l201409
- ‘일엽쌍곡면’을 찾을 수 있다는 점이다.일본 고베 포트타워와 중국 광저우타워는 그 외관에, 사그라다 파밀리아는 창문과 천장에 일엽쌍곡면이 나타난다. 그렇다면 이들 건축물은 왜 일엽쌍곡면으로 지은 걸까? 그 이유는 타워를 일엽쌍곡면으로 지으면 적은 재료로 튼튼하게 설계할 수 있을 뿐만 ... ...
- Part 1. 오늘 밤에도 동대문에 은빛 우주선이 내려온다과학동아 l201405
- 작업했고, 결국 1m 차이로 한쪽 팀이 이겼다고 한다.코어를 만드는 동안 건축가들은 외관을 디자인했다. 앞뒤로 볼록 튀어나온 부분이 불안하지 않도록 하중은 고강도 기둥을 통해 코어까지 전해지도록 했다. 1mm의 오차도 없이 마치 스위스 시계처럼 정교하게 작업했다. 우여곡절 끝에 2만5000장의 ... ...
- 배낭여행 프로젝트 꽃보다 할배 in Spain 좌충우돌 수학여행수학동아 l201404
- 현수선과 마방진 등의 수학적인 요소를 곳곳에서 발견할 수 있는 걸작이다.우선 성당의 외관을 보자. 밖에서 본 성당은 마치 원기둥 위에 원뿔을 얹어놓은 듯한 네 개의 커다란 기둥이 눈에 들어온다. 가우디는 이 기둥의 모양을 ‘현수선’을 이용해서 설계했다. 현수선은 양쪽 끝이 고정된 선을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