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영화"(으)로 총 2,524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09
- 나옵니다. 두 번째는 분출된 이후에 한 곳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널리 퍼집니다. 영화가 끝난 직후 상영관에서 관객들이 우르르 쏟아져 나오는 모습을 상상하면 이해가 쉽겠네요. 마지막 특징은 형태형성물질이 농도에 따라 세포에 서로 다른 반응을 일으킨다는 점입니다(위 그래프 참고) ... ...
- [Culture] 센서티브과학동아 l201709
- 1930년대에 만들어진 영화부터, 투명인간이 주제기만 하면 닥치는 대로 영화를 모아댔잖아. 남자 애들이 어릴 때 공룡이나 괴수에 빠지는 경우야 많다고 하지만 투명인간에 빠져서 하루종일 투명인간만 보는 애는 적어도 한국에서는 네가 유일할 거다. 아니, 투명인간이니까 뭘 볼 수도 ... ...
- Part 2. 두 유 노우 ‘김치’?수학동아 l201709
- 다양해지는 것은 반가운 일이에요. 수학자나 수학적인 내용을 담은 소설이나 만화, 영화 등이 계속해서 나오면 좋겠어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알아두면 쓸모 있는 신비한 수학사전 알쓸신수!Part 1. 택시가 낸 수학 문제Part 2. 두 유 노우 ‘김치’?Part 3. 런웨이에 선 ... ...
- [Culture] 과학동아가 선정하는 이달의 책과학동아 l201708
- 줄이는 인공지능?”인공지능이 없는 내일을 꿈꿀 수 있을까. 소소하게는 ‘취향저격’ 영화를 추천 받아 시간 낭비를 줄이고 즐거움을 극대화하며, 갑작스레 찾아오는 질병이나 지진을 예측해 더 많은 생명을 구하기도 한다. 인공지능은 이렇게 세상의 ‘불확실성’을 줄이고 있다.정작 인공지능이 ... ...
- Part 2. 미생물은 모든 것을 알고 있다과학동아 l201708
- 것은 그 집에 살고 있는 구성원이다. ‘성인 남성과 여성이 한 명, 아이들이 두 명’. 이 영화에서 가장 소름 끼치는 명장면이었다. 사실 과학적으로는 그 집의 먼지 한 조각만 구할 수 있다면, 구성원을 바로 알 수 있다.노아 피어러 교수는 청소를 잘 하지 않는 창문이나 문틈에서 발견되는 미생물로 ... ...
- [DJ CHO의 롤링수톤] NASA를 꿈꾸던 소녀, 우주를 노래하다!수학동아 l201708
- 살린 시를 읊조리는 것만 같습니다. 뮤직비디오는 또 어떻게요? 우주를 소재로 만든 SF영화를 보고 있는 기분이 듭니다. 아쉽게도 뮤직비디오는 또 다른 이야기를 할 듯 하더니 끝나버립니다. 이제 곡의 탄생 배경과 내용을 말씀드릴게요. 하워드는 개인 스튜디오에서 우주선처럼 보이는 세트를 ... ...
- Part 3. 생명을 지키는 착한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1708
- D 프린터로 팔을 만든다? 전자의수지난 2015년, 영화 ‘아이언맨’의 주인공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가 팔이 없는 소년에게 로봇팔을 선물하는 영상이 공개돼 큰 감동을 줬어요. 그런데 사실 이 로봇팔을 만든 주인공은 미국 센트럴 플로리다대학교 공과대 학생들이에요.이들은 선천적이거나 사고로 ... ...
- [Origin] 인도 산림연구소대학교과학동아 l201708
- 본격적인 휴가철입니다. 이번 화는 여름에 맞게 특별히 시원하고 자연을 즐길 수 있는 곳으로 준비했습니다. 바로 인도 데라둔에 있는 산림연구소대학교(FRI)입 ... Cottage)’, 삼각관계 로맨스 영화 ‘네 마음 깊이 머물고 싶어(Rehnaa Hai Terre Dil Mein)’등 다수의 영화를 연구소에서 찍었습니다 ... ...
- 본 色(색)을 드러내다수학동아 l201708
- 지금까지 가장 대중적으로 쓰고 있던 색공간과 비교해 25% 더 넓어요. 그동안은 영화관에서만 쓰이다가 최근에 와서 최신 디스플레이에 적용되기 시작했어요.하지만 디스플레이에 적용하는 과정에 문제가 있었어요. 기존에 널리 쓰였던 색공간은 8비트를 기준으로 쪼개서 색을 나타냈는데, P3처럼 ... ...
- [Issue] 수능 100일 전 뇌과학자가 들려주는 공부 비법 10과학동아 l201708
- 즐겁고 웃긴 장면이 나오거나 슬픈 장면이 나올 때 웃거나 울지 못하게 감정을 억제하면 영화에 대한 기억력이 떨어졌죠. 감정이 중요한 이유는 감정중추가 기억중추인 해마와 붙어있기 때문입니다(92쪽 아래 그림). 감정을 부자연스럽게 억제하면 소수의 신경세포만이 기억 과정에 참여하기 때문에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