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르포
실화
실록물
다큐멘터리
d라이브러리
"
실록
"(으)로 총 106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➌ 한국의 수학 세계를 놀라게 하다!
수학동아
l
201408
호조에 산학이 뛰어난 사람을 뽑아 30명 이상 배치했다. 세종 25년 11월 17일에 기록된
실록
내용을 보면 세종이 얼마나 수학을 강조했는지 알 수 있다.“산학은 비록 한낱 기술에 지나지 않는다고 하지만, 국가의 행정을 위해서는 필수적이다.… (중략)… 최근 농지를 등급별로 측량하는 데 있어서 ... ...
운석은 진주에만 떨어졌을까
과학동아
l
201405
선조들의 천문기록을 보면 유성과 운석 기록이 풍부하다. 삼국사기, 고려사, 조선왕조
실록
등에 기록된 밝은 유성의 관측기록은 무려 4000건에 달한다. ‘운석이 발견됐다’는 기사도 50건이 넘는다. 우리 현대천문학의 역량이 수백 년 전 선조들에게도 미치지 못하고 있으니 정말 부끄러운 일이다.Q ... ...
Part ∥. 우리는 왜 입으로 딴짓을 할까
과학동아
l
201311
키스는 최근에야 생겨난 애정 행위가 아니다. 성경에도 키스가 나온다. 조선왕조
실록
세종 75권에 실린 “낮에도 목을 맞대고 혓바닥을 빨았습니다”라는 기록을 보면 우리 조상들도 혀를 깊숙이 넣는 ‘프렌치 키스’를 즐겼음을 알 수 있다.많은 학자들은 키스가 어미가 입으로 새끼에게 먹이를 ... ...
조선초기 호랑이는 물가에 살았다
과학동아
l
201308
무엇일까. 농지개간으로 서식지가 감소한 것이 가장 중요한 이유다. 예로 조선왕조
실록
을 보면, 농업 개발은 15세기에 본격화됐다. 그 이전까지, 강가는 사람들이 가끔 시초(땔나무로 쓰던 풀)를 채취하거나 사냥을 하던 곳이 었다. 하지만 개간이 이뤄지고 나서는 일상적으로 생산 활동을 하는 ... ...
녹색기술의 선두주자, 초임계유체공학
과학동아
l
201307
수 있습니다. 이를 이용해 서울대 초임계유체연구실에서는 훼손된 규장각의 조선왕조
실록
을 복원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어떤 학생을 원하나요?초임계유체를 연구하기 위해서는 열역학과 반응공학에 대한 깊은 이해가 필요합니다. 화학공학을 다루는 과에서 열역학, 유체역학, ... ...
알록달록 숭례문, 무슨 일이 있었나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211
소나무 나이테 패턴과 비교해 연대를 측정했어요. 박 교수팀이 분석한 자료는 ‘조선왕조
실록
’ 등 역사책에 기록되어 있는 내용과도 거의 일치해요. 초음파 쏘아 돌의 나이 알아낸다숭례문의 아랫부분에 사용한 돌은 단단한 화강암이에요. 쉽게 손상되는 돌은 아니지만 두 차례 큰 전쟁을 겪으며 ... ...
반구대암각화에 맹수가 날뛰는 이유?
과학동아
l
201208
천재지변이 왕의 실덕으로 간주될 우려 때문에 생략해 버리는 경우가 많았지만 조선의
실록
은 비공개였기 때문에 반영도가 아주 높았다.사람의 잘못에 대한 하늘의 경고라는 재이관은 천재지변이 그치지 않으면 누구의 잘못인가를 따지기 마련이다. 자연 이상에 대한 책임론이 정쟁의 소재였다. ... ...
용을 찾아서 무無 용龍 담談
어린이과학동아
l
201201
’그런데 갑자기 비바람이 불면서 천둥 번개가 치기 시작 하는 거야. 그러더니 조선왕조
실록
에서 쓰여 있는 것처럼 용이 승천하는 모습이 보였어. ‘용이다 용!’ 하고 나도 모르게 소리쳤지. 그런데 알고 보니 용오름이라는 기상현상이지 뭐야! 용이 승천하기 때문에 용오름이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 ...
지리산이 감싼 1500년의 눈물
과학동아
l
201112
있다. 임진왜란에도 조선왕조
실록
을 지켰던 곳이다. 경기전이 없었다면 임란 이전의
실록
이 모두 사라졌을 것이다. 부안 구암리를 하늘에서 보면 선사시대 조상들의 흔적인 고인돌이 독특하게 배치된 모습을 한눈에 볼 수 있다. 변산반도 줄포리에 가면 제2대 부통령인 인촌 김성수가 살던 김상만 ... ...
‘월하정인’에 뜬 눈썹 달의 비밀
과학동아
l
201109
관측하지 못했을 수 있다. 구름에 가려졌을 때 말이다. 이 교수는 ‘조선왕조
실록
’과 ‘ 승정원일기 ’ 등의 기록을 토대로 실제로 이 시기에 서울에서 월식이 관측됐는지 알아봤다. 그는 ‘승정원일기’ 제1719책에서 “정조 18년(1793년) 7월 병오(15)일 밤 이경에서 사경까지(밤 9시~새벽 3시) 월식이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