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stern
sterne
배의 후미
선미
d라이브러리
"
스턴
"(으)로 총 31건 검색되었습니다.
명왕성 퇴출! 행성이 뭐길래?
과학동아
l
200610
중에는 올해 1월 명왕성을 탐사하러 떠난 ‘뉴호라이즌스’ 프로젝트팀을 이끄는 앨런
스턴
박사도 포함돼 있다. 뉴호라이즌스가 온갖 우여곡절 속에 명왕성이 ‘태양계에서 유일하게 탐사되지 않은 행성’이라는 명분을 내걸어 가까스로 발사될 수 있었던 점을 감안하면 이해가 간다. 이들은 거의 ... ...
3. 디자인이 매뉴얼
과학동아
l
200503
그것을 세분화해 해결하다보면 답을 찾을 수 있다고 믿는다”고 말했다.일본 브리지
스턴
사이클사의 자전거 역시 소비자가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였던 불편함을 없앤 제품이다. 다리의 회전운동은 체인을 통해 뒷바퀴에 전달된다. 따라서 자전거 체인이 벗겨지고 기름이 묻어도 ‘필수부품’이므로 ... ...
“대중 없이는 의학도 없다”
과학동아
l
200502
미국에서 꽤 높은 홍보 효과를 거두고 있다.NIH 전체 홍보 업무를 총괄하고 있는 마크
스턴
씨는 “연구 결과가 나오는 즉시 공개하는 것을 최우선 목표로 삼고 있다”며 “많은 사람들이 질병에 관한 기초적 교양을 쌓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NIH의 사명”이라고 설명한다.700만건 자료 모두 일반에 ... ...
다이어트에는 저탄수화물 식단이 정답
과학동아
l
200406
뒤부터 체중이 정체했기 때문이다.이번 연구결과에 대해 재향군인회의학센터의 린다
스턴
박사는 “과식의 대부분은 탄수화물 과잉섭취가 원인이므로 저탄수화물 다이어트가 좋은 선택이라고 본다”며 “다만 신뢰도를 높이려면 좀더 장기간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미 ... ...
물리학으로 풀어낸 물수제비
과학동아
l
200402
것이었다.물수제비에 대한 과학적 연구는 1968년 미국 애머스트대 화학과에 다니던 크리
스턴
코스에 의해 시작됐다. 코스는 던진 돌이 모래를 칠 때와 담요가 깔린 책상 위를 칠 때, 그리고 물을 치고 나갈 때를 사진으로 찍어 비교했다. 그 결과 모래나 책상 위에 던진 돌은 뒷부분이 먼저 바닥에 ... ...
공항 검색대 X선이 찾아낸 독극물
과학동아
l
200303
할 만한 독극물에 의한 살인을 홈즈가 명쾌하게 풀어냈기 때문이다.영국 로리
스턴
가든 3번지의 커다란 방에서 40대 남자 한명이 살해된 채 발견된다. 방에선 여기저기 곰팡이가 매캐한 냄새를 풍기고 있었고, 창문은 더럽기 짝이 없었으며, 한쪽 구석에는 타다 남은 빨간 양초가 놓여 있었다. 보통 ... ...
2002 생리·의학상 - 세포의 자살프로그램 규명
과학동아
l
200211
노벨 생리·의학상의 수상자로 시드니 브레너와 로버트 호비츠, 존 설
스턴
등 3명을 선정해 발표했다. 이들은 ‘장기발달과정에서 나타나는 세포사멸프로그램(cell death program)에 관여하는 새로운 유전자의 조절 메커니즘’을 규명해 수상의 영예를 차지했다. 이들의 업적은 시기가 문제이지 언젠가 ... ...
Ⅱ. 본격적인 유전자 시대 개막 알린 영광의 주역들 : 3 현장취재 영국 런던 다국적팀 기자회견장
과학동아
l
200103
연구 성과를 수렴하고, 필요하면 공동연구도 수행해야 하지 않은가라는 기자의 질문에 설
스턴
박사는 “과학연구에도 다양성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짧게 답했다. 여기서 당분간 다국적팀과 셀레라의 공동연구는 힘들 것임을 알 수 있었다.기자 회견장은 다국적팀의 연구성과를 발표하는 ... ...
저절로 박자 맞추는 박수의 비밀
과학동아
l
200009
떠들썩하게 했던 유명한 실험이 있다. 시카고대학의 생물학자 마사 맥클린톡과 캐서린
스턴
박사는 우연히 ‘여자들끼리 방을 같이 쓰면 생리주기가 비슷해진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들의 생리주기를 일치하게 만든 매개체는 무엇이었을까? 그들은 여성들로부터 풍겨지는 무언가가 매개체로 ... ...
쥐라기공원으로의 여행
과학동아
l
199908
발굴에 앞장섰으며 오늘날 공룡화석 연구의 기초를 다진 개척자들이었다.후에 윌리
스턴
박사는 시카고대학에서 새로운 척추고생물학 프로그램을 시작했고, 릭스는 미국 3대 자연사박물관 중의 하나인 시카고 필드박물관에 척추고생물학실을 창설했고, 역사상 가장 많은 공룡화석들을 사냥한 ... ...
이전
1
2
3
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