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글방
서숙
학당
서재
한문서당
한문학교
d라이브러리
"
서당
"(으)로 총 26건 검색되었습니다.
풍속화 속 수학 김홍도 vs 신윤복
수학동아
l
201112
마방진! 그림에서 대각선에 위치한 사람의 수를 합하면 12가 되는 마방진이 들어 있다.
서당
훈장과 학동이 둥글게 원을 그리고 앉아 있고,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시점이 이동해 훈장 앞에서 울고 있는 소년에게 초점이 집중된다. 이 그림에서 눈여겨볼 것은 뒤에 있는 훈장의 모습이 앞에서 울고 있는 ... ...
우주까지 반백 년, 그리고 우주에 다다른 지 반백 년…
과학동아
l
201104
쓰던 곳이다.] 100년 전 우주
서당
훈장님찌알꼽스끼 선생님은 우리나라로 치면
서당
훈장님 같은 분이셨다. 그 곳에서 100여 년 전에 주변의 학생들을 모아 놓고 항공우주 관련 공학을 가르쳤다. 학생들과 함께 본인의 집 2층에서 직접 여러 가지 기구를 만들고 실험하고 공부했던 찌알꼽스끼 ... ...
조선 명가(名家) 자존심 지켰다
과학동아
l
200810
때문이다. 김 교수는 “대학의 가장 큰 목적은 교육”이라면서도 “교과서만 가르치는 ‘
서당
’이 아니라 기초 연구를 중시하는 연구중심 대학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요리에 비유하자면 맛있는 요리(선박)는 기업에서 만들고 이 요리에 필요한 밑재료(기초 연구)는 대학에서 준비하는 셈이다. ... ...
하회마을 금빛 모래톱 되살리려면?
과학동아
l
200704
물 따라 흐르는 모래의 역사하회마을 사람들의 상심은 더 애절하다. 유성룡이 옥연
서당
(玉淵書堂, 낙동강이 이곳에 이르러 옥같이 맑은 못을 이루었다는 뜻)에서 찬탄했다던 하회마을 금빛 모래톱은 이제 사라지고 그 자리에 강풀이 우거지고 있다. 개울에서 버들치를 잡다가 모래톱에 젖은 옷을 ... ...
썰렁홈즈가 보낸 마지막 편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0624
아래나 옆, 위에서처럼 다른 방향으로 볼 줄 알아야 해.” mission 2 지워져도 다시 한 번‘
서당
개 3년이면 풍월을 읊는다’는 속담처럼 탐정 개 3년이면 사건을 해결한다. 다무러는 썰렁홈즈처럼 첫 번째 문제를 간단하게 해결했다. 다음은‘○○군’을 맞히는 문제. 이번에도 뭔가 글자를 나타내는 ... ...
우리가 몰랐던 나무의 모든것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7
때문에 물푸레나무는 누군가를 때리는 운명을 타고난 나무다. 우리나라에서는 예로부터
서당
의 회초리로 많이 쓰였으며 죄인에게 곤장을 칠 때도 단골손님이었다. 또 농부들은 타작할 때 휘두르는 도리깨를 만들었다. 서양에서도 창이나 도끼의 손잡이에 물푸레나무를 이용했다고 한다.나무 ... ...
한반도 기후의 숨은 실세 극진동
과학동아
l
200506
0년 뒤 ‘과학천자문’을 배우는
서당
안.훈장 : ‘颱風南極 霖雨北極’(태풍남극 임우북극). 태풍은 남극에서 오고 장마는 북극에서 오느니라.학생 : 스승님, 태풍은 적도에서 만들어지고 장마도 열대성 저기압 때문 아닙니까.훈장 : 공부를 안 하니 생뚱맞은 소리를 하지 않느냐. 외워라.‘韓國氣候 ... ...
우두머리 조달호, 곰바우를 인정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422
곰바우를 따로 불러서 이야기 했답니다. 원숭이와 어떻게 이야기를 하냐고요?
서당
개 삼년이면 풍월을 읊는다고 하잖아요? 열정을 갖고 시작했던 교장선생님은 지금 원숭이 언어 중 10종류를 이해할 수 있다고 해요. 언어를 이해한다면 혹시 교장선생님도 원숭이로 진화(?)하는 것 은 아닐까 ... ...
왜 물리학자는 암흑 속으로 파고들까
과학동아
l
200110
모습은 이 영롱한 결정 속에서반짝이는 빛으로 다가올 것만 같습니다.우주의 한 언저리에
서당
신을 찾아 나선 어린 소년이.청평 양수발전처 : 밤에 남는 유휴 전력을 이용해 물을 높은 곳으로 끌어 올려 저장해 놨다가 낮에 전기가 많이 필요할 때는 역으로 발전을 하는 발전소를 말한다. 청평 ... ...
화담 서경덕
과학동아
l
200004
朞三百六十有六日)로 시작되는 구절에 이르게 됐다. 그런데 이 구절에 대해
서당
의 선생님은 원리를 제대로 설명하지 못했다. 그러자 서경덕은 보름동안 골똘히 사색한 끝에 1년의 길이가 365와 4분의 1일이고, 윤년이 됐을 때 ‘1년은 366일’이라는 원리를 스스로 터득했다고 한다. 또한 열 여덟 살 ... ...
이전
1
2
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