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색인"(으)로 총 119건 검색되었습니다.
- [화보] 열매의 아찔한 유혹수학동아 l201410
- 골라 입혔습니다. 제가 열매의 색상에 관해 가장 많이 받는 질문은 ‘실제 색인지 가상의 색인지’입니다. 엄밀히 말하자면, 사진에서 보이는 색상은 열매의 실제 색은 아닙니다. 하지만 완전히 가상의 색도 아니죠. 본래의 색을 바탕으로 열매의 구조와 기능적인 특징을 부각시키기 위해 색을 ... ...
- [음료와 컵의 밀당] 와인 잔에 든 맥주가 더 맛있다과학동아 l201406
- 다리가 떠받치고 있는 모양이다. 얇고 투명한 재질로 되어있어 안에 담 긴 와인이 어떤 색인지도 감상할 수 있는 1석 2조의 효과가 있다. 와인글라스의 모양은 차가운 음료를 마시기에 더없이 완벽하다. 우선 입구가 좁아 냄새 분자가 잘 날아가지 않 는다. 얇고 투명해 내용물도 잘 보인다. 자주빛 ... ...
- LED 밑에서 잠 못 드는 닭과학동아 l201402
- 빔각은 140° 이상, 밝기 조절 기능이 필수 사양으로 추가됐다. 또한 빛의 파장 범위를 전구색인 색온도 2600K~3150K로 제한하던 항목은 폐지했다(146쪽 inside 참조). 국내의 ‘젬’사 등은 지난해 양계장 전용 LED 상품을 내놓기도 했다. LED 파장과 조도 등을 양계 농가에 최적화했다고 한다. 반응이 좋아 ... ...
- 남들이 하지 않은 길을 찾아 희열 느낀다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현택환 교수)과학동아 l201311
- 현택환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를 꼽는다. 실제로 현 교수의 논문은 과학논문인용색인(SCI)을 발행하는 미 톰슨사에서 선정하는 ‘뉴핫페이퍼(New Hot Paper)’에 뽑히기도 했다. 뉴핫페이퍼는 최근 2년간 인용횟수가 상위 0.1%에 드는 논문을 말한다. 현 교수가 지금 연구하고 있는 분야는 나노과학. ... ...
- PART 1. 검색은 김수현(작가, 탤런트)을 구분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304
- 수학적 연산 방법이 바로 페이지랭크다. 이렇게 수집된 웹문서를 색인처럼 만들고 각 색인이 포함된 문서를 200여 개 기준으로 다시 컴퓨터 연산과정을 거친다. 콘텐츠의 최신성, 웹문서에 포함된 키워드, 연결된 사용자가 추천한 검색결과 등이 그 기준이다. 검색 결과는 다시 인터넷 회선을 타고 ... ...
- 톡톡! 개그수학콘서트 여는 국가과학기술위원회 김도연위원장님수학동아 l201212
- 말로, 미국의 톰슨사이언티픽사가 매년 학술적 기여도가 높은 학술지를 엄선하여 논문 색인을 만들고 있다. 여기에 오른다는 것은 그만큼 연구 성과를 인정받았다는 뜻이다.키다리아저씨 어록"수학을 모르는 것은 그 옛날 미신을 믿는 것과 같다. “ 젊은이가 도전하지 않는 건 권리를 행사하지 않는 ... ...
- 이팔청춘의 숫자,16수학동아 l201209
- 그 이유는 무엇일까? 스스로 생각해 보며 답을 찾아보자. RGB 색을 품은 16RGB란 빛의 3원색인 빨강(RED), 초록(GREEN), 파랑(BLUE) 세 종류의 광원을 혼합해 색을 표현하는 방식이다. 컬러 TV나 컴퓨터 모니터 등 빛을 이용하는 표시 장치에서 사용되고 있다.RGB 방식은 색을 섞을수록 밝아지기 때문에 ... ...
- 스스로 빛나고 휘어지는 화면과학동아 l201208
- 수 있고 응답 속도가 빨라 잔상이 남지 않는다. 특히 빛을 내는 물질 스스로 빛의 3원색인 적녹청(RGB)을 발하기 때문에 컬러 필터도 필요없다. 부품이 줄어드니까 당연히 화면 두께도 줄어든다. TV 두께를 4mm까지 얇게 만들 수 있다. 올해 말 대형 TV가 출시될 예정이다.AM OLED는 또다른 무엇?AM은 ... ...
- 미션 임파서블! 월-E의 큐브 대작전수학동아 l201202
- 뭐가 이상한데….아하! 이 큐브는 초록색 모서리 큐브가 5개나 있잖아. 원래 같은 색인 모서리 큐브는 4개밖에 없는데 말야. 그러니까 이 큐브는 원래 나올 수 없는 모양이라구!뭐야? 방금 온 이 메시지는? 악! 이브~, 진작 좀 말해 주지 그랬니? 응 ... ...
- 창의적 연구, 즐거운 성취감!과학동아 l201202
- 신체 변화’를 연구한 하안상, 이민찬, 고기선 학생 조는 축구 우승팀 중 유니폼이 붉은 색인 팀이 많다는 것에 의문을 품었다. 그래서 실험 대상이 특정한 색을 보게 하고 자체 제작한 악력 측정기로 힘을 측정했다. 혈기 왕성한 10대 청소년인 만큼 이 실험은 자연스럽게 힘 겨루기 대결이 됐다.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