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문빗장
볼트
걸쇠
벼락
벽력
빚쟁이
빗쟁
d라이브러리
"
빗장
"(으)로 총 23건 검색되었습니다.
서울대 물리학부 국양
과학동아
l
200406
됐다. 바로 서울 종로의 과학사에서 구입한 도르래와 줄을 연결해 집안에서도 대문의
빗장
을 열 수 있게 되면서부터다.호기심은 과학자 최고의 덕목1981년 국교수가 미국에 있을 때 처음으로 개인용 컴퓨터(PC)가 등장했다. 국교수가 가장 먼저 한 일은 드라이버를 들고 본체 뒷부분을 뜯어본 것. 이 ... ...
내 몸속에 넥타이가 있다고? 복장뼈
과학동아
l
200404
아니다.복장뼈는 가슴우리 앞벽의 가운데에 있는 납작뼈다. 복장뼈의 양쪽 옆으로는
빗장
뼈와 갈비뼈가 이어진다. 복장뼈자루(복장뼈 윗부분)와 복장뼈몸통(복장뼈 아랫부분)이 만나는 곳을 복장뼈각이라고 한다. 복장뼈각은 앞으로 튀어나와 있으며 외부에서 만질 수 있다. 복장뼈의 맨 아랫부분인 ... ...
PART5 나노머신 찍어내는 프린터
과학동아
l
200207
현실화되려면 인프라인 각종 나노장비가 필수적이다. 나노장비는 나노세계로 가는 문의
빗장
을 여는 역할을 한다.뛰어난 손재주를 지닌 장인이라도 아무런 장비 없이 뭔가를 만들어내라고 한다면 어떨까. 아예 못만들거나 제대로 된 제품을 완성하기가 무척 어려울 것이다. 어떤 기술이든 실제 ... ...
깃털공룡이 말하는 조류 진화의 비밀
과학동아
l
200205
공룡과 매우 유사하다는 것은 인정하지만 공룡에게는 차골(叉骨)로 진화될 수 있는 쇄골(
빗장
뼈, 鎖骨)이 이미 퇴화돼 없어졌기 때문에 공룡이 새로 진화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차골은 한쌍의 쇄골이 V형으로 변한 것으로 시조새를 포함해 새에서만 나타나는 특징이다. 새의 차골이 쇄골이 없는 ... ...
1. 인간은 고기 좋아하는 잡식성 동물
과학동아
l
200203
따먹기 시작하면서 이들의 몸에 해부학적 변화가 일어났다. 몸에
빗장
뼈가 생겼다.
빗장
뼈는 흉곽을 크게 만들어, 팔의 길이가 길어졌다. 나무 줄기를 붙잡고 올라가 과일을 따먹기가 더 좋게 된 것이다.번성한 영장류들은 기후가 따뜻한 아프리카의 울창한 숲에서 과일을 따먹으면서 수천만년 동안 ... ...
1. 사이버 공간에서 탄생한 무령왕릉
과학동아
l
200202
나올 수 있었던 낭만이 존재했건만, 지금은 왕릉 앞에 이르면 굳게 닫힌 자물쇠의 굳은
빗장
만 보게 된다. 보존을 위한 어쩔 수 없는 조치였다. 이제 다시는 무령왕릉 안을 볼 수 없게 된 것이다. 하지만 무령왕릉의 발견은 백제 문화의 높은 수준과 그 확실한 연대를 증명하는 역사적 전환점이 됐다. ... ...
2. 히딩크호 세계 장벽 넘는 법
과학동아
l
200201
포메이션이 바뀌었다. 특히 4명의 수비라인 뒤쪽에 최종스위퍼를 두는 이탈리아의
빗장
수비가 대표적이다.최근에는 지난 프랑스월드컵에서 프랑스가 채택해 우승한 4-4-2 포메이션이 유행하고 있다. 우리와 한조가 된 포르투갈, 폴란드, 미국도 4-4-2 포메이션이 주축인 것으로 알려졌다. 2002년 ... ...
침팬치는 진화해도 인간이 될 수 없다
과학동아
l
199912
위팔뼈와 허벅지뼈 길이가 거의 같은데 비해, 유인원은 위팔뼈가 더 길다. 유인원의
빗장
뼈는 사람에 비해 더 크며 어깨쪽이 사람보다 올라가 있다.사람과 유인원은 엉덩이힘살에서도 큰 차이가 있다. 사람은 넙적하고 휘어져 있는 엉덩뼈에 두개의 힘살이 붙어 있다. 이 힘살들은 다리를 밖에서 ... ...
1. 러시아 현지취재 우주왕국은 무너진 것인가
과학동아
l
199710
미국의 첩보위성에 의해 겨우 우주시설의 위치 등이 확인될 뿐이었다. 러시아가 쇄국의
빗장
을 푼 것은 1978년. 옛체코슬로바키아의 우주비행사인 블라디미르 레메크가 처음으로 살류트 6호를 방문하면서부터다. 그 이후 폴란드, 옛동독, 불가리아 등의 우주비행사들이 가가린 우주비행사훈련센터 ... ...
'공룡→새'친자설 뒤엎은 '새→공룡'이론 등장
과학동아
l
199410
중간 형태가 분명했다. 그러나 시조새를 비롯, 모든 새가 공통으로 갖고 있는 V자형 쇄골(
빗장
뼈가 서로 붙어 만든 뼈)이 육식공룡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 육식공룡에는 쇄골조차도 없었다. 이 결과 새가 공룡의 자손이라는 '친자설'은 '형제설'로 바뀌었다.1960년대 들어 이른바 '공룡 르네상스' ... ...
이전
1
2
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