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경사
기울기
사면
경사로
언덕길
비탈길
비탈면
d라이브러리
"
비탈
"(으)로 총 66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으로 그린 비밀의 정원
어린이과학동아
l
201213
섬백리향이나 은쑥 같은 식물은 원래 살던 곳이 춥고 바람이 많이 부는 고산지대라 산
비탈
바위틈에 기르기 안성맞춤이거든요. 과학 정원 STEP ❹보존하기자연을 이해하고, 생물의 필요에 맞게 환경을 다듬은 뒤 가장 어울리는 곳으로 보내 주는 과정이 정말 한 편의 그림을 그리는 것 같아요~. ... ...
“지금 안 막으면 사방이 가시박 천지가 됩니다!”
과학동아
l
201201
거의 보지 못하기 때문에 제대로 자라지 못하고 결국 죽게 된다. 하늘공원에서 남향
비탈
이 특히 가시박의 피해가 큰 이유다.“잘 모르는 분들은 여름에 푸른 융단처럼 숲을 뒤덮은 가시박 덩굴이 보기 좋다고 말합니다. 하지만 가시박 때문에 식물의 종 다양성이 급격히 무너지고 있어요.”특히 ... ...
엘리베이터는 언제 올까?
수학동아
l
201111
해서 비용이 많이 든다. 에스컬레이터를 놓자니 경사가 높아 굴러 떨어질염려가 있다. 산
비탈
을 따라 레일을 깔고 로프와 도르래를 연결해 엘리베이터로 만들면 경제적이면서도 안전하게 운행할 수 있다. 서울 지하철 버티고개역과 이대역에도 바닥에서 30°만큼 기울어진 엘리베이터가 설치돼 있다 ... ...
남미의 뿌리, 안데스 산맥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105
부족의 침략을 피해 호수로 쫓겨나야 했던 우로 족의 가슴 아픈 역사에서 비롯됐다.][산
비탈
에 만든 모라이(잉카의 계단식 밭)의 모습. 열대지역 농작물을 선선한 기후에 적응시키기 위해 고안된 형태다.][해발 3812m의 고지대에 있는 티티카카 호수는 면적이 매우 커서 끝이 보이지 않는다.][페루에서 ... ...
어느 6 · 25 참전군인의 60년 만의 귀향
과학동아
l
201006
한국전 당시 유골이 거의 지면에 노출된 상태로 발견됐다. 성 상병을 따라 산
비탈
을 내려가니 긴 교통호 흔적 위로 희끗희끗 유골을 덮은 한지가 보인다. 처참했던 전투의 아픔을 고스란히 전해주고 있었다. 땅 위에 살짝 깔려있는 부엽토(나뭇잎이 썩어서 생긴 흙)를 조심스레 치웠더니 금세 유골 ... ...
거꾸로 오르는 경사로가 있다? 없다!
수학동아
l
201006
비탈
길을 거꾸로 오르는 공이 있다면 믿어지나요? 지난 5월 10일 미국에서 열린 ‘2010 세계 최고 착시현상 콘테스트’에서 일본 메이지 연구소의 코키치 수지하라 교수는 거꾸로 오르는 경사로 조형물을 선보여 1위를 차지했습니다.이 조형물은 공이 사방의 경사로를 따라 자석에 이끌리듯 거꾸로 ... ...
동북아 철새의 쉼터 홍도, 흑산도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005
커다란 망원렌즈가 달린 카메라를 집어 들고 분주히 나선다. 그는 발을 딛기에도 좁은 산
비탈
을 성큼성큼 걸어 오른다. 그러더니 갑자기 걸음을 멈추고 밭 주변 숲 한쪽을 뚫어지게 쳐다본다.철새 팀은 하루 최소 2번 이상 섬 곳곳으로 정찰을 나간다. 철새 모니터링은 센터가 하는 가장 주요한 업무 ... ...
지구의 붉은 눈물
수학동아
l
201003
뜨거운 화산 가스가 화산재나 파편을 공중에 떠받친 채로 화산의 경사진
비탈
을 내려오기 때문에 속도가 시속 160km까지 이르지요. 이탈리아의 고대 도시 폼페이가 베수비오 화산이 폭발적으로 분화할 때 순식간에 죽음의 도시가 된 것도 엄청난 속도의 화산재 때문이랍니다. 뜨거운 화산분출물이 ... ...
Part 2. 뼈대있는 스키 가족
수학동아
l
201001
산이 높고 험한 알프스 지역에서 시작했다고 해서 이름의 뜻도 ‘알프스의 스키’야. 산
비탈
에 꽂아놓은 깃대나 깃발로 만든 기문을 지나며 내려오는 경기를 말하지.알파인 스키는 속도가 중요한 활강경기와 여러 기문을 효과적으로 통과하는 회전경기로 나눌 수 있어. 활강경기는 800m가 넘는 ... ...
로드킬, 환경 오염 없는 경춘고속도로
과학동아
l
200909
민들레, 질경이, 강아지풀 같은 자생초본식물과 향나무, 소나무 등 목본식물을 절단면과
비탈
면에 심었다”며 “녹화공법으로비가 오거나 바람이 불 때 절단면의 토양이 침식되거나 유실되는 일을 막고 야생동물의 서식지로 이용돼 종 다양성을 높이는 데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