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종기
종창
부럼
블로
검버섯
발진
곪음
d라이브러리
"
부스럼
"(으)로 총 22건 검색되었습니다.
1. 천연두가 지구상에서 사라진 이유
과학동아
l
200003
12%) 훨씬 적게 나타났다.하지만 문제가 있었다. 천연두 바이러스는 독성이 강해 비록
부스럼
딱지라 해도 다른 사람에게 접종시켰을 때 오히려 멀쩡한 사람도 병에 걸리게 만든 사례가 종종 발생한 것이다. 병균의 기능을 약하게 만드는 합리적인 기술이 없던 당시로서는 당연한 일이었다.소젖 짜는 ... ...
Ⅰ. 생명의 국경선 생체막
과학동아
l
199903
지표가 되는 것이 또한 피부다. 소화가 되지 않거나 내장에 이상이 있으면 얼굴에
부스럼
이나 종기가 생긴다. 또 피부는 영양 상태에 민감한 반응을 나타내며, 작은 피로나 스트레스에도 예민한 반응을 일으킨다. 이처럼 몸 전체를 둘러싸고 있는 피부막의 역할은 다양하다 ... ...
혈액형 발견한 외과의학의 구세주
과학동아
l
199810
중엽 이전의 외과는 오늘날과는 전혀 달랐다. 즉 ‘외과’(外科)라는 이름이 말하듯이
부스럼
과 종기 등 신체 표면(外)의 문제만을 주로 치료할 수 있을 뿐이었다.세가지 장벽그러한 외과가 오늘날의 모습으로 탈바꿈하고 크게 발전한 데에는 해부학적, 생리학적, 병리학적 지식의 향상과 거기에 ... ...
(2) 인종에 맞는 제품 따로 있다
과학동아
l
199206
의 양이 증가한다. 아울러 탄소수가 16개인 불포화지방산이 많아지게 되므로 여드름
부스럼
과 같은 피부염증반응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그렇다면 외국의 수입화장품은 한국인의 피부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한국인 특유의 피부상태와 전통적인 미에 대한 의식, 피부의 생리를 결부시켜 생각할 때 ... ...
「운동선수의 발」 무좀
과학동아
l
199108
오용하는 사례다.국어대사전에서 보면 무좀은 '손, 발가락 사이나 발바닥에 물이 잡히는
부스럼
'이라고 기록돼 있다. 무좀이란 병명은 물좀에서 유래됐다. 여기서 좀이란 좀벌레, 즉 옷 종이 등 풀기있는 물건 갉아 먹는 벌레를 뜻하며, 물은 이때 피부에는 물집이 잡히고 진물이 난다는 의미를 갖고 ... ...
멀고도 험한 상품화의 길
과학동아
l
199105
모았던 김완주 박사의 경우도 아직 이렇다할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KR10664는 방광염
부스럼
자궁내막염 등에 잘듣는 '제2세대 항생제'다. KR10664를 개발했을 당시 "독성실험 특허보호 대사연구 약효연구 등 할 일이 산적해 있는데, 주변에서는 마치 모든 것이 끝나 제품으로 나와있는 것처럼 ... ...
무더위의 독기를 다스린다
과학동아
l
199007
맛이 달며 독이 없다. 갈증을 멎게 하고 번열(煩熱)을 없애며 소변이 잘 통하고 입 코의
부스럼
을 다스린다. 많이 먹으면 냉병이 통하고 속을 해치며 수족이 무기력해진다. 습열(濕熱)로 생기는 병과 기허(氣虛)한 사람은 더욱 꺼려야 한다"라고 기록돼 있다.또한 "참외 꼭지는 전신부종을 치료하는데 ... ...
항생제 KR 10664 개발한 김완주 박사
과학동아
l
198905
다시 제3세대 퀴놀렌계 약제가 나올 것입니다."김박사의 신약은 자궁내막염 방광염
부스럼
등에 잘 듣는 항생제다. 항생제는 세균을 죽이는 게 주임무이므로 살균력이 '우열'을 판가름한다. 하지만 살균력 못지 않게 중요한 것이 있다. 독성이 적고 내성균이 등장하지 않아야 한다는 점이다.이 신약을 ... ...
생꿀은 화상·베인상처·
부스럼
에 좋아
과학동아
l
198809
에펨' '칼라바' 의과대학교수등 나이제리아 외과의사들은 칼로 베인 상처나 화상 또는
부스럼
등에 생꿀을 발라 상처를 쉽게 아물게하고 흉터를 없애는데 성공적이었다고 발표했다. 이들은 모두 59명의 환자를 치료했는데 항생제로 효과를 거두지 못한 경우에도 좋은 효과가 있었다고 말했다.꿀은 ... ...
PART3 골치아픈 피부질환들
과학동아
l
198805
기생하여 번식함으로써 표재성 병변을 일으킨다. 이중 피부 사상균증(백선증, 도장
부스럼
)이 가장 흔하다. 완선(Tinea curis)은 젊은 남자의 음고부(음낭과 허벅지가 겹쳐지는 부위)에 작은 습진 모양의 병변이 생긴 후 곧 허벅지로 확대되면서 경계가 선명하고 가장자리가 융기된 원형 또는 반월형의 ... ...
이전
1
2
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