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배양"(으)로 총 659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새롭게 주목 받는 ‘환경 곤충’, 플라스틱 먹는 애벌레과학동아 l201706
- 2015년 9월 ‘환경과학기술’에 공개했다. 갈색거저리 애벌레의 장에서 분리한 박테리아 배양액은 60일 동안 100mg의 PS 조각을 7.4mg 분해했다(doi:10.1021/acs.est.5b02663). 꿀벌부채명나방 애벌레에 비하면 매우 적은 양이다. 하지만 이 연구들은 다양한 종류의 플라스틱을 분해하는 다양한 곤충이 존재할 수 ... ...
- [Issue] 짭조름한 천덕꾸러기? 소금의 반전과학동아 l201706
- 위해 세포실험과 동물실험을 했다. 먼저 몸에 침입한 세균을 파괴하는 대식세포를 배양하는 배지에 대장균을 넣은 뒤 한쪽에만 소금을 첨가했다. 그 결과 소금을 첨가한 배지에서 자란 대식세포가 훨씬 빠르게 대장균을 파괴했다. 동물실험도 마찬가지였다. 두 그룹의 실험쥐에게 먹이는 소금량을 ... ...
- [과학뉴스] 인공 자궁내막 탄생과학동아 l201705
- 살아 있는 자궁내막 조직을 만든 것이다.연구팀은 이 오가노이드를 여러 달 동안 배양하면서 몸속에 있는 실제 자궁내막과 비슷한 기능을 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에스트로겐 같은 여성호르몬에 반응했고, 월경 주기에 따라 다르게 변화했다. 자궁에서 수정란이 착상되는 시점에 나오는 자궁유를 ... ...
- [Origin] 원시지구, 생명의 색은 RED과학동아 l201705
- 통째로 분석하는 방법이다. 우리가 미처 분리해내지 못한 세균, 극한 환경에 살고 있어 배양하지 못하는 세균을 연구팀은 한꺼번에 분석했다. 그 결과 다양한 분류군에 있는 남세균 41종의 게놈 데이터를 뽑고, 세포호흡(산소로 당을 산화해 에너지를 얻는 과정)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기준으로 ... ...
- [Issue] 전통 막걸리, ‘ 미생물 배합’으로 부활할까과학동아 l201704
- 미생물이 존재하는 음식이 유난히 많다”며 “이런 음식들을 표준화하기 위해서는 복합 배양 기술이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에, 많은 과학자들이 지속적으로 이 분야를 연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더 읽을거리Whole-genome de novo sequencing, combined with RNASeq analysis, reveals unique gen ...
- [Future] 집 나간 국민생선이 돌아왔다! 명태의 귀환과학동아 l201703
- 낮췄다. 그리고 차가운 물에서도 활력이 좋은 로티퍼만 고른 뒤 따로 배양했다. 이렇게 배양한 로티퍼는 약 10℃ 정도의 물에서 10% 이상 증식했다. 저온성 로티퍼는 명태뿐만 아니라 대구나 다른 냉수성 품종을 사육하는 데에도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연구팀은 고도불포화지방산(EPA, DHA) 같은 ... ...
- [포커스 뉴스] 돼지의 수정란에서 자란 인간세포, 키메라 연구 불 붙나과학동아 l201703
- 이스피수아 벨몬테 교수팀은 돼지의 수정란에 인간의 줄기세포를 주입한 ‘키메라’를 배양해 인간의 조직 혹은 기관으로 자라나는 모습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크리스퍼-캐스9 (CRISPR-Cas9)을 이용해 돼지의 수정란에서 췌장, 심장, 눈과 같은 기관 발달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잘라냈다. 이후 사람의 ... ...
- Part 2. 살아 있는 연구실, 닭어린이과학동아 l201702
- 차질이 생겼지요. 그래서 2010년대 들어 미국, 한국 등에서 동물의 세포에 바이러스를 배양해 만드는 ‘달걀 없는 백신’이만들어지고 있답니다.●무정란 : 난자와 정자가 만나는 수정이 이뤄지지 않은 달걀로, 병아리로 부화하지 않는다.●유정란 : 암탉과 수탉이 짝짓기해서 낳은 달걀 ... ...
- Part 4. ‘키메라 백신’으로 인플루엔자 예방한다과학동아 l201702
- 사백신) 조각조각 분리한(분할백신) 백신이다. 최근에는 세포에서 인플루엔자바이러스를 배양하는 기술이 개발, 적용돼 유정란의 불안정한 공급이나 계란의 알레르기 유발 등의 문제로부터 자유로워졌다.인플루엔자 백신은 바이러스 표면에 있는 헤마글루티닌(HA 단백질)을 방해하는 원리다. 이 ... ...
- [Career] 줄기세포 배달하는 초소형 로봇 탄생과학동아 l201701
- 일어나고 있는지 신속하게 알아야 빠르게 대처할 수 있다. 예컨대 최 교수팀이 준 로봇이 배양액 속을 떠다녀서 줄기세포를 넣기 어려운 상황을 유 교수팀에서 빨리 공유하지 않았다면, 최 교수팀은 그 사실을 놓친 채 다음 단계 연구를 하고 있었을 수 있다. 유 교수는 “연구 진행 상황과 의견을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