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삭제
말소
취소
캔슬
소거
제거
살인
d라이브러리
"
말살
"(으)로 총 28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인 과학자 게놈프로젝트에 기여
과학동아
l
200103
정신분열증, 우울증 등과 관련된다고 보이는 유전자를 이식하거나 유전자의 기능을
말살
시킨 뒤 이들의 행동을 관찰함으로써 관련 유전자를 찾아내는 연구가 활기를 띄고 있다"고 말했다 ... ...
멋진 신세계
과학동아
l
200001
끼칠 정도다. 그러나 '멋진 신세계'에 사는 사람들은 과학의 이름으로 자행되는 인간성의
말살
을 합리와 이성이라며 찬양하고 신봉한다. 이 작품에 등장하는 미래의 여러 기술들 중에서 특히 관심을 끄는 것은 '필리'(feelie)라고 부르는 극장이다. 이곳에서 상영되는 영화는 시각과 청각뿐 아니라 ... ...
과연 인류의 앞날은?
과학동아
l
199804
디스토피아 문학의 걸작으로 일컬어진다. 과학기술이 통제하는 사회가 개인의 정신까지
말살
해버리는 미래의 전체주의 관료체제를 묘사한 작품이었다. 나중에 오웰의 ‘1984’(1949)나 헉슬리의 ‘멋진 신세계’(1932)를 낳는 단초가 됐다.‘1984’는 과학기술이 발달함으로써 개개인에 대한 ‘밀착 ... ...
잔인한 노예 획득 전쟁
과학동아
l
199611
최근에 있었던 보스니아나 르완다의 전쟁에서 보듯이 인간은 때로 상대 종족의 씨를
말살
하기 위하여 엄청난 규모의 대량 학살도 서슴지 않는다. 인간의 특성 중 아직 동물세계에서 발견되지 않은 것이 바로 종교인데, 얼마나 다행스런 일인지 모르겠다.개미들이 전쟁을 하는 가장 큰 이유 중의 ... ...
과학을 선도하는 SF 상상력
과학동아
l
199605
잃어버린 나약한 인간으로 전락한다. 비인간적인 과학의 적용으로 개인의 자유의지가
말살
돼가는 미래사회를 가상한 이 영화는 과학적인 이론이 중심으로 자리잡은 영화의 대표적인 예이다.이렇게 SF를 만드는 데는 많은 과학적인 지식이 필요하기 때문에, 실제로 과학자가 SF를 만드는 경우도 ... ...
지구환경문제의 새 시각 '가이아'
과학동아
l
199411
그는 스스로 봉급이 좋은 자리를 박차고 나왔다. 편한 연구소 생활이 창조성을
말살
하게 될 것을 두려워했기 때문이다. 그가 지구가 살아있다는 생각을 처음 품기 시작한 시기는 직장생활을 마감한 50대 초반무렵이었다. 그는 "50년 이상의 생애를 보내고 나서 얻을 수 있는 여러 좋은 보상들 중에서 ... ...
태즈메이니아의 비극
과학동아
l
199410
서인도제도의 인디언 몰살(1492-1600)과 중남미의 인디언 살해(1498-1824), 미국인의 인디언
말살
(1620-1890), 1915년 터키 사람에 의해 자행된 아르메니아 사람 학살, 방글라데시가 독립한 1971년에 있은 파키스탄 군대의 벵골인 대량학살, 그리고 크메르 루즈의 캄보디아인 정적 숙청(1975-1979)등 여섯 건을 꼽을 . ...
이동 컴퓨팅의 세계
과학동아
l
199404
비판자들은 멀티미디어 기능에 음성인식 화상대화가 가능한 PDA의 출현을 인간성
말살
의 신호라고 경고하고 있다.그 이유는 쉽게 공감할 수 있는 것들이다. 상상해 보라. 당신이 언제 어디에 있든 주민등록번호로 등록돼 있는 당신의 PDA는 끊임없이 당신의 소재를 파악해낼 것이다. 사무실에 있든 ... ...
멸종 천연두바이러스 보존결정
과학동아
l
199403
지구상에서 영원히
말살
한 것인가, 보존할 것인가 하는 논쟁이 일단 막을 내렸다. 천연두바이러스 일부가 연구용으로서 보존되게 된 것.현재 지구상에 남아있는 천연두바이러스는 미국 애틀란타 질병센터에 보관된 4백 50주와 모스크바의 바이러스연구소에 보관된 1백50주뿐. 1980년에 세계보건기구 ... ...
유전공학자 하지홍교수
과학동아
l
199401
선조의 사랑을 받아온 토종개란 사실을 알게 됐다.그는 강의시간에 일제의 우리 문화
말살
정책의 일환으로 사라져버린 삽살개를 되찾아야 한다고 되풀이해서 강조했다. 그러면서 제자이자 대학에 함께 재직하던 탁연빈 교수 등과 함께 60년대 중반 수년 동안 전국각지를 돌며 탐문한 끝에 삽살개 30여 ... ...
이전
1
2
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