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리드"(으)로 총 124건 검색되었습니다.
- 부르르르~, 자석으로 켜는 진동 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601
- 물건의 남은 양을 감지하는 등 다양한 센서에 사용되고 있어요. 자석을 가까이 해서 리드스위치가 켜지면 진동 모터가 부르르르~ 진동을 만들어 내요. 사진 속 진동 모터의 끝부분을 자세히 보세요. 반원 모양의 회전자가 보이나요? 진동 모터에는 이렇게 무게 중심이 한쪽으로 치우치는 회전자가 ... ...
- 방화범과 소방관 사이의 마무리 투수과학동아 l201512
- 확인한다. 이때 등장하는 것이 귀납적으로 계산한 기대승률이다. 예컨대 9회말 1점 리드 중인 팀이 승리할 확률은 86%다. 이때 마무리 투수가 등판해 경기를 무사히 마친다면 이 선수는 팀의 승리에 14% 기여한 셈이다. 반대로 마무리 투수가 1점을 줘 동점이 된다면 기대 승률이 50%로 뚝 떨어지게 된다. ... ...
- 리드하는 팀의 승리는 따 놓은 당상?수학동아 l201512
- 확률 분포로 나타냈을 때도 비슷한 모양의 확률 분포를 따른다는 사실을 밝혀냈습니다. 리드하고 있는 팀이 바뀔 확률은 경기의 가장 초반, 또는 경기가 끝날 때쯤 가장 높다는 결과도 얻었습니다. 경기 중반까지 18점이 앞선 경우에는 승리를가져갈 확률이 약 90%에 이르렀습니다.연구팀은 이 연구를 ... ...
- 야구는 수학 놀음수학동아 l201511
- 측정될 것이다. 또 불펜이 강한 팀에서도 실제 승률이 높게 나올 가능성이 많은데, 일단 리드하면 득점이 적어도 실점을 하지 않으면서 승리를 지킬 수 있기 때문이다.데이터가 더 필요해!미국 메이저리그는 피타고리안 승률이 실제 승률과 거의 비슷하다는 평가도 있다. 야구통계를 다루는 학회 ... ...
- [Knowledge] 옛 지구의 속살을 보다과학동아 l201507
- 최초로 올라온 사건이다. 4억~5억 년 전 바닷속에 살았던 일명 바다 전갈, ‘에우립테리드(Eurypterid)’가 그 주인공이다. 큰 놈은 2m가 넘게 자랐는데, 바닷속 먹이사슬의 가장 위에 있었다. 그런데 이 중 일부가 육지로 올라오면서 여기에 발자국을 남긴 것이다. 이들은 비록 우리의 직계 조상은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하다] 노래 짓고 그림 그리는 소프트웨어과학동아 l201505
- 악기 살 돈이 없었더라도 작곡할 수 있었을 것이다. 악기는 프로그램 안에 다 들어있다. 리드․베이스 기타, 드럼, 피아노, 바이올린, 색소폰 등 원하는 악기를 골라 음의 세기와 멜로디, 리듬을 마음대로 조절할 수 있다. 발라드, 힙합, 팝 등 마음에 드는 장르도 선택 가능하다. 큐베이스뿐 아니라 ... ...
- PART 1. 감춰진 미싱 링크 찾는 신종헌터과학동아 l201410
- 귀뚜라미는 100만 년에 4.17종을 새롭게 만들 정도로 빠 르게 진화하고 있다. 아프리카 치칠리드 어류 다음으로 세계에 서 가장 진화속도가 빠르며, 일반적인 무척추동물보다 10배나 빠르다. LTE급 진화의 비밀은 암컷의 '절대음감'이었다. '히든 싱어'에서 관중들이 미묘하게 다른 음을 내는 가수를 ... ...
- ❷ 일반상대성이론 - 절친 수학자가 열어준 아인슈타인의 기적과학동아 l201408
- 않다는 생각은 당시로서는 혁명적인 발상 이었습니다. 먼 옛날 그리스 수학자 유클 리드가 기하학을 정립한 뒤 2000년 가까이 ‘평평한 공간’ 개념이 수학과 물리학을 지배하고 있었으니까요. 그런데 우리가 살고 있는 공간 자체가 휘어있다니, 상식적으로 이해하기 어렵지요.아인슈타인 역시 ... ...
- PART 1 - 과학기자가 예측한 브라질 월드컵과학동아 l201406
- 아르헨티나 공, 후반에는 우루과이 공을 사용하게 됐다. 전반에는 아르헨티나가 2-1로 리드하다가 후반에 우루과이가 4-2로 역전했다. 묘하게도 자기 공을 사용할 때 더 많은 골을 얻었다.1970년 멕시코 월드컵부터는 FIFA가 공인구를 지정했다. 최초의 공인구는 가죽조각 32개(검정색 오각형 12개·흰색 ... ...
- “절친의 양 평생 불변의 법칙”어린이과학동아 l201402
- 수는 평생 거의 일정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어요.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펠릭스리드-쏘카스 교수 연구팀은 대학생 18명에게 주변 사람들과의 친밀도를 등급으로 매기게 한 다음, 24개월 동안 모바일 기기 사용량을 분석했지요. 이들은 아무리 새로운 사람을 사귀더라도 절친 수준의 몇몇과만 계속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