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뒤편
뒤편짝
후편
d라이브러리
"
뒷편
"(으)로 총 20건 검색되었습니다.
서독「막스 플랑크」분말야금 연구소를 보고
과학동아
l
198809
대지위에 지상 2층 지하 1층의 연구동과 설비동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사진에서 보듯이
뒷편
에는 아름드리 전나무 숲과 호수를 끼고 있을 뿐 아니라, '유럽의 벨 연구소'라 불리는 지상 6층 지하 2층, 연건평 1만 5천평의 막스 플랑크 물리연구소와 불과 50m 거리를 두고 위치하고 있어서 연구소 ... ...
동독(東獨)스포츠의 비밀
과학동아
l
198808
있는듯한 열의를 느낄수 있었다.|제약술 뒤떨어진 나라에서 기적의 약을?연구소 구내
뒷편
에는 의문의 눈초리에 휩싸인 스포츠의학센터가 있다. '바이드너'박사는 "스포츠과학자는 인간의 육체적 기능에 대해 철저한 지식을 가져야 한다. 솔직히 말해 오늘의 동독스포츠 이 의학센터를 떼어놓고 ... ...
훌륭한 천체관측시설갖춘 경기도 학생과학관
과학동아
l
198805
수표본관건물 바깥에 있는 야외전시장도 빼놓을 수 없는 구경거리다. 학생과학관
뒷편
으로 경기과학고교와 연결되는 길목에 연못이 있고, 여기에는 물레방아를 돌려 전기를 일으킬 수 있도록 해놓았다. 이밖에 곡식을 가공하는 기구인 연자매 절구맷돌 등이 전시돼 있고 변성암 화성암 퇴적암 등 ... ...
시계의 발달②
과학동아
l
198804
것들은 또다른 문제를 드러내보이면서 이어져온 역사가 자리잡고 있다. 엄청난 발전의
뒷편
에도 다른 많은 한계가 있었던 것이다. 아니 어쩌면 발전은 다른 한편의 의미로 하나의 발전을 낳음으로 인해 이제까지 숨겨져온 새로운 한계를 발견하게 해주는 계기였던 것이리라. 이러한 발명의 축적 ... ...
가야와 진주성싸움유물을 전시한 국립 진주 박물관
과학동아
l
198803
길이 51.6cm, 높이 10cm, 너비 24.4cm이고 볼가리개는 길이 31.5cm, 너비 16.4cm이다.
뒷편
에 곧추선 귀가리개로 챙이 붙어있는 말얼굴가리개와 볼가리개로 구성되어 있다. 말얼굴가리개는 쇠판 16장을 못으로 박아 조립하여 만들었다. 말얼굴가리개와 볼가리개의 테두리에는 작은 못이 부착되어 있어 서로 ... ...
중앙기상대장 손 형 진
과학동아
l
198707
것 외에 시카고대학에서 기상학을 전공한 우리나라의 대표적 기상인이다. 중앙기상대
뒷편
의 백엽상에서 사진촬영을 요청하자 "백엽상이 기상업무의 심볼로 되던 때는 지났다"며 위성사진을 수신하는 방으로 안내를 했다 ... ...
별의 탄생과 죽음 PART1 아기별은 어떻게 태어나는가
과학동아
l
198707
10~30˚Κ이다. 성간운을 관찰하면 말머리 성운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성간가스가
뒷편
의 별빛을 가려 검게 보이는 암흑성운이나, 가까이 있는 밝은 별빛을 반사해 희뿌옇게 보이는 산광성운(散光星雲)으로 보인다. 별이 태어나는 네가지 계기 성간운의 밀도가 비교적 높다고 하더라도 태양의 ... ...
화학 기본 개념과 원리를 철저히 이해하자
과학동아
l
198704
정확히 알아둔다.●교과서에 포함된 실험 내용을 철저히 이해하도록 노력한다.●교과서
뒷편
의 찾아보기 용어들에 대해 카드에 간단히 정리하여 수시로 외워두자. 용어를 바르게 정의하는 일은 대단히 중요하다.●화학 발전에 공을 세운 역대 화학자들의 업적을 적은 화학사도 가끔 읽어두자. ... ...
세균의 온상, 전화기의 위생대책
과학동아
l
198611
12mm까지 넓게 작용하여 강력한 살균작용을 한다.둘째, 약재가공된 원단의 통기구(通気口)
뒷편
에 멸균된 고품질의 폴리에틸렌망이 형성돼 있어 통화시의 침이라든가 오염물질을 완전히 차단시켜 준다. 이것은 통기공의 기포가 2중으로 되어 있으므로 2중효과를 볼 수 있고 또한 그 기포가 미세하게 ... ...
해안
과학동아
l
198602
얼마 되지 않았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서·남해안 일대에는 이러한 간석지
뒷편
의 지형적으로 적당한 곳에 해안사구가 형성되어 있다. 소규모의 해안사구는 이미 경작지가 되어서 없어졌지만 대규모의 사구는 아직도 그대로 남아 있으니 그중 대표적인 것은 서산군 북부태안에 발달된 ... ...
이전
1
2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