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쟁기
뇌물
d라이브러리
"
뇌사
"(으)로 총 48건 검색되었습니다.
Does SNS Make Your Brain Bigger?
과학동아
l
201112
이들은 페이스북에서 평균 300명 이상의 친구를 가진 활동적인 학생이었다. 이 학생들의
뇌사
진을 동료들과 비교했더니 편도체 등 위에 언급된 네 영역에서 뇌가 확대돼 있었다. 이 연구를 한 과학자는 “뇌의 이 영역은 우리가 다른 인간과 어떻게 행동하는지와 관련 있는 부위입니다”라고 말했다. ... ...
사람도 죽어서 가죽을 남긴다
과학동아
l
201112
극저온의 냉동고에 보관한다.]채취한 조직은 극저온에서 냉동보관장기기증은 대개
뇌사
상태에서 진행된다. 그러나 조직기증은 심장이 멈춘 뒤 24시간 내에 이뤄진다. 하지만 기증 희망자가 결핵이나 매독, 에이즈 같은 전염성 질병이나 알츠하이머 등 퇴행성 신경질환을 앓고 있었다면 기증을 할 수 ... ...
사람은 죽어서 ‘불멸의 업적’을 남긴다
과학동아
l
201006
의대생들이 시신을 해부해 머리끝부터 발끝까지 어떤 기관이 들어 있는지 관찰하거나,
뇌사
자의 몸에서 살아 있는 기관들을 떼 내어 다른 사람을 살리는 일 정도다. 하지만 시신을 활용하는 사례는 이뿐이 아니다. 머리만 잘라내 성형수술 실습용으로 이용하기도 하고 시신 부패를 연구하기 위해 ... ...
타이탄 거대한 신화 속 과학이 깨어난다
과학동아
l
201005
경험했다고 주장했다. 뇌파가 나오지 않는 것은 대뇌피질이 기능하지 않는 완전한
뇌사
상태를 의미한다.임사체험에 대한 연구는 현재 진행형이다. 영국 사우샘프턴대 샘 파니아 박사팀은 2008년 9월부터 유체이탈을 경험한 150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연구팀은 임사체험자들의 ... ...
품위 있게 죽을 권리 무엇이 문제인가
과학동아
l
200908
존엄사 가이드라인은 3단계로 구분된다. 1단계는 회생이 불가능한 사망 임박 단계.
뇌사
환자나 여러 부위의 장기가 손상된 환자가 해당된다. 2단계는 인공호흡이 필요한 식물인간 상태로 뇌가 심각하게 손상돼 인공호흡기에 의존하고 있으며 주요 질환의 회복이 불가능한 환자다. 3단계는 식물인간 ... ...
엑스파일 나는 믿고 싶다
과학동아
l
200810
2개가 있는 신장은 생체이식을 할 수 있지만 나머지 장기는 한 개밖에 없어 카데바나
뇌사
자이식만 가능하다.장기를 이식받은 뒤에는 항상 생체거부반응이라는 현상이 뒤따른다. 장기를 받은 사람의 면역체계에서 이식된 장기를 ‘적’으로 간주해 파괴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장기를 이식받은 ... ...
감금증후군에 걸린 남자
과학동아
l
200804
당장은 심장이 뛰고 있지만 이미 뇌와 말단 기관 사이의 연결이 끊겼기 때문에 대개
뇌사
판정을 받으면 2주 안에 환자가 사망한다.영화에서 주인공이 앓는 감금증후군은 대뇌와 소뇌는 정상이고 뇌간의 일부가 손상된 상태로 식물인간과 정상인의 중간이라고 보면 된다.한 가지 옥에 티를 ... ...
켁! 기절 시키는 게 놀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0715
기능에 손상을 입게 돼요. 자칫 10~20분 정도 기절상태가 계속되면 뇌의 기능이 정지되는
뇌사
상태에 빠질 수도 있어요. 뇌세포는 한번 파괴되면 되살릴 수 없답니다.”“뇌세포가 파괴되면 머리가 나빠지나요?”이제야 슬슬 걱정이 되는 기절놀이 어린이들. 떨리는 눈빛으로 닥터고글을 바라본다 ... ...
화학나라 참살이시의 시장은 바로 나!
어린이과학동아
l
200610
공급이 안 되어도 뇌 세포는 파괴되기 시작해 2〜3분 정도면 식물인간, 더심각한 경우
뇌사
에 이르기도 합니다.저는 인체의 질환에도 좋은 작용을 합니다. 고혈압이나 당뇨병, 암등에 제가 지속적으로 공급되면, 혈당을 떨어뜨리고 헤모글로빈의 움직임을 활발하게 해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만들어 ... ...
장기이식 어디까지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0406
면역거부반응이다. 이 중 장기 확보는 의학기술만으로 해결할 수 있는 영역이 아니다.
뇌사
자 장기기증 운동 등 사회적 관념의 변화가 열쇠이기 때문이다.따라서 필자를 비롯한 의료진이 할 일은 두번째 문제인 면역거부반응을 적절히 억제해 신체가 외부장기를 자신의 조직 일부로 받아들이게 ... ...
이전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