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컴퍼스
나침의
나침판
로지
수정기
d라이브러리
"
나침반
"(으)로 총 177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상인터뷰] 강아지 눈에
나침반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07
있는 거죠.크립토크롬 단백질을 가진 동물들은 눈으로 자기장을 직접 볼 수 있기 때문에
나침반
보다 훨씬 정확하게 방향을 감지할 수 있어요. 철새들이 수천km나 되는 거리를 정확하게 날아가거나, 개가 어둠속에서 길을 잘 찾는 것도 이 때문이랍니다.이제 길을 알았으니 얼른 여행을 떠나자!새가 ... ...
그땐 그랬지! 1988 VS 2016
어린이과학동아
l
201601
쓰면 마치 게임 세상 속에 들어가 있는 느낌이 든답니다. 여기에 센서와 가속도계,
나침반
이 게임기를 착용한 사람의 위치를 정밀하게 파악해 움직이는 방향이나 시선에 따라 렌즈에 보이는 화면을 맞춰 보여 준답니다.어때? 28년이라는 시간 동안 이렇게 큰 변화가 있었다니 참 신기하지? 이번에 본 ... ...
영화를 더욱 생생하게! 비주얼 미디어랩을 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23
나니아 연대기>, , 등 이름만 대면 알만한 미국헐리우드 영화 속 캐릭터들은 이 분이 없었다면 탄생하기 어려웠을 거예요. 바로 카이스트 노준용 교수님! 노준용 교수님은 세계 3대 특수효과 전문회사인 ‘리듬앤휴즈 스튜디오’에서 영화에 쓰이는 여러 컴퓨터 그래픽 ... ...
숫자 세 개가 만나는 곳에 보물이 있다!
수학동아
l
201509
콜럼버스도 인도를 찾아갈 때 같은 위도선을 따라 평행으로 항해했다. 아니면 별과
나침반
, 모래시계 등으로 경도를 어림짐작하기도 했다.현상금 걸린 경도바다에서 길을 헤맬수록 피해는 커졌다. 선원들은 갈증과 비타민 결핍으로 인한 괴혈병에 시달리고, 다들 알고 있는 몇몇 항로로 수많은 배가 ... ...
[knowledge] 생명의 양자도약
과학동아
l
201411
따라서 A와 B의 생성 비율을 보면 지구자기장 방향을 알 수 있다. 철새의 눈에 양자
나침반
이 들어있는 셈이다. 하지만 살아있는 새에서 이뤄진 실험이 아니기에 아직 논란이 있다. 인류는 양자생명체로 진화할까1989년 로저 펜로즈는 ‘황제의 새마음’이란 책에서 양자역학이 인간의 의식을 ... ...
[과학뉴스] 지구 자기장 역전 100년 안에도 일어난다
과학동아
l
201411
이용해 지층의 연대와 자기장 방향을 정밀하게 조사했다. 그 결과, 현재의 자북극(
나침반
이 북쪽을 가리키는 방향)이 78만6000년 전 남쪽에 있다가 78만6100년 전 지금의 위치로 갑자기 이동했다는 것을 밝혀냈다. 렌네 교수는 “자기역전이 일어나는 동안에는 지구의 자기장 세기가 약해져 우주에서 ... ...
EPILOGUE 이그노벨상
과학동아
l
201411
연구팀은 “지구자기장이 안정돼 있을 때만 남북방향으로 몸을 둔다”고 답했다. 사람도
나침반
이 흔들거리면 방향을 잘 못 잡지 않던가. 문제는 지구자기장이 안정돼 있을 때가 낮 시간의 20%밖에 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그런데 왜 개들이 동서방향은 피하고 하필 남북방향으로 몸을 두는 걸까. ... ...
닥터 그랜마, 전자파에 가로막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411
붙잡고 있는 사람들 때문에 ‘길치’가 되어버렸답니다. 나 같은 철새들은 몸속에
나침반
처럼 지구의 자기장을 이용해 방향을 알 수 있는 감각기관이 들어 있어요. 그런데 사람들이 휴대전화를 많이 사용하면서 어디가 동쪽이고, 어디가 서쪽인지 방향을 도무지 알 수 없게 되어버렸어요. 그 이유를 ... ...
김주황의 악당예찬1 - 배터리가 된 인간 일렉트로
과학동아
l
201405
손을 잡아야 한다! 전기와 자기장은 서로 완벽하게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사이다.
나침반
주변에 전선을 감고 전류를 흘리면 자기장이 만들어진다. 또 발전기는 자석을 이용해 유도 전류를 만드는 발명품이다. 일렉트로와 매그니토 둘이 만나서 세계를 정복하는 영화도 한 편쯤은 만들어도 좋지 ... ...
과학동아천문대 서울의 중심에서 별을 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323
보이는 위치가 거의 변하지 않아요. 그래서 북쪽을 알려고 할 때 기준이 된답니다.
나침반
을 이용하기 전에 사람들은 방향을 알 수 없는 바다에서 북극성을 이용해 밤에 항해를 했어요. 그런데 놀라운 사실이 있어요. 북극성도 아주 조금씩 위치가 변한답니다. 앞으로 몇 백 년까지는 거의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