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고"(으)로 총 173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내 몸을 이루는 미생물에 관심을 가져보세요과학동아 l201604
- 연구자인 카를로 로벨리가 이탈리아 일간지 ‘솔레 24 오레’의 부록에 시리즈로 발표한 기고문을 엮은 책이다. 상대성이론, 양자역학, 양자중력 등 20세기 물리학을 바꾼 거대한 혁명의 가장 매력적인 특징과 새로운 문제를 다뤘다. 현대 과학을 아예 모르는 사람도 쉽게 접근할 수 있다.‘교토대 ... ...
- [Tech & Fun] 세상에서 가장 값비싼 책?과학동아 l201603
- 물리학의 황금시대, 기라성 같은 과학자들의 대화에 동참해 보는 건 어떨까. 강연문, 기고문, 대화문, 인터뷰 등 가지각색의 방법으로 저자들을 만날수 있다. 영국의 수학자이자, 가장 뛰어난 수학 저술가로 꼽히는 이언 스튜어트의 책 두 권이 동시에 나왔다. 그의 글을 읽으면, 사려 깊다는 느낌이 ... ...
- [Knowledge] 최초로 ‘빵’ 터진 그들에게 무슨 일이?ㅋㅋ과학동아 l201603
- 2005년 4월 1일 학술지 ‘사이언스’에 동물의 웃음에 대한 연구 결과를 종합한 짧은 기고문을 통해 “침팬지, 쥐, 개가 웃는다는 최근의 연구 결과는 즐기며 웃는 동물이 인간뿐이 아니라는 점을 시사한다”며 “웃음과 관련된 뇌 회로는 아주 오래된 뇌 영역에 존재하며, 인간이 웃기 훨씬 전부터 ... ...
- [Life & Tech] 바이오 기업 ‘테라노스’ 논란과학동아 l201512
- 4월 학술지 ‘임상화학과 실험실약물’에 이런 간편한 진단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글을 기고했다. 그는 글에서 간편한 절차가 잘못된 해석으로 이어질 확률이 높다고 지적했다. 예를 들어 신부전증 의심 환자가 신장 건강의 기준인 혈청크레아틴의 농도를 검사했다고 가정해보자. 테라노스 검사결과 ... ...
- [Knowledge] 꿈틀대는 강속구의 비밀과학동아 l201511
- 145km에 불과하다. 데이는 미국의 야구 통계 웹사이트인 ‘베이스볼 프로스펙터스’에 기고한 글에서 우에하라가 구속은 느리지만 회전수가 높은 공으로 타자들의 헛스윙을 유도한다고 설명했다.그렇다면 회전수가 적을수록 나쁜 직구일까. 그렇지는 않다. 회전수가 적은 직구는 회전수가 많은 ... ...
- [상대성이론 100년사 ➓ 마지막화] 일반상대성이론의 과거, 현재, 미래과학동아 l201511
- 상대성이론이 무엇인지, 그리고 아인슈타인이 누구인지 소개하는 글을 써서 신문에 기고한 것이었다. 황진남은 이런 것을 아는 것이 일제 식민지 상태의 조선 대중들에게 매우 큰 의미를 갖는다고 믿었다.➊ 1922년 11월 18일자 동아일보 1면. 황진남이 ‘아인스타인은 누구인가’라는 제목으로 글을 ... ...
- [손바닥 인터뷰] 김형수 작가, 몽골의 슈바이처, 독립운동가 이태준을 좇는 소설가과학동아 l201509
- 몽골에 들른 적이 있는데 몽골 사람들이 모두 ‘미스터 리’를 외쳐서 놀랐다고 신문에 기고한 적이 있다.Q 이태준 선생이 몽골에서 어떤 일을 했나A 이태준이 세브란스의학교를 다닐 당시 안창호 선생을 치료했는데, 이때 영향을 받고 독립운동을 위해 1912년 중국으로 망명했다. 1914년에는 몽골로 ... ...
- 쉬운 일을 어렵게 하는 매력, ‘골드버그’과학동아 l201508
- 사람들을 매료시켰다. 루브골드버그는 세계적인 언론사 뉴욕타임스에 지속적으로 기고를 했을 정도로 인기를 얻었고, 퍼듀대는 여기에서 영감을 얻어 ‘골드버그 장치 대회’를 개최하기 시작했다.대회는 1987년 처음 개최됐는데, 첫 임무는 ‘칫솔에 치약 짜기’였다. 사소한 일상을 거창하고 ... ...
- '기쁨'과 '슬픔'은 정말 뇌 안에 있을까과학동아 l201508
-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하는 건 사실이다. 세계적인 심리학자 폴 에크만은 뉴욕타임스에 기고한 글에서 “감정은 현재 상황에서 내가 가장 효과적인 반응을 할 수 있게 해 준다”고 밝혔다. 부당한 상황에 맞닥뜨렸을 때 일어나는 ‘분노’는 부당함을 고치는 행동을 촉발시키기도 한다. 라일리가 ... ...
- Part 1. MERS 진실 혹은 거짓과학동아 l201507
- 수치다. 하지만 천병철 고려대 의대 예방의학교실 교수는 2003년 월간 ‘복지동향’ 기고에서 “환자의 수와 사망자 수의 단순 비율로 치명률(치사율)을 계산하는 건 적절치 않다”고 밝혔다. 실제로 메르스나 사스 등 호흡기질환은 기존에 질환이 있었던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 간 사망률 차이가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