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곤충"(으)로 총 1,193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먹이의 경로를 예측해서 사냥하는 잠자리!어린이과학동아 l201716
- 하루살이를 사냥한답니다. 연구에 참여한 스티븐 위더만 박사는 “이번 연구를 통해 곤충인 잠자리도 물체의 경로를 예측한다는 것을 알아냈다”며, “이번 연구 결과는 로봇의 시각이나 자율주행차 연구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 [지사탐 여름캠프] 국립생태원에서 펼쳐진 생물 탐사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716
- 참여해야겠다”고 말했지요. 지구를지키는왈랄라 팀의 노희제(대전 전민초 4) 대원은 “곤충이 인간보다 하등한 생물이라고 생각했는데, 에코리움에서 개미들이 협력해 살아가는 걸 보고 생각이 달라졌다”며 “우리 인간도 개미처럼 협력해서 살아가야 한다는 생각을 했다”고 말했어요. 숲과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5화] 액체를 고체로 변신시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14
- 되고, 이 액체를 냉동실에 1분만 넣어도 고체가 돼요. 액체 상태인 글리세린에 색소와 곤충 모형까지 쏙 넣고 굳히면 아름다운 호박보석을 만들 수 있답니다.‘끈적이 액체괴물 만들기’에서는 두 가지 용액이 만나 단단해지는 과정을 볼 수 있어요. 이 실험키트에서 준비된 용액은 염화칼슘 용액과 ... ...
- Part 1. 번번이 놓치는 모기, 잡기 어려운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714
- 만들지는 거예요.그런데 모기는 날개를 파닥거림과 동시에 회전시켜요. 보통 다른 곤충처럼 날개를 파닥이기만 하면 몸통 쪽에서 날개 끝쪽으로 갈수록 양력이 점점 작아져요. 하지만 모기처럼 회전 날갯짓을 하면 이전 날갯짓에서 발생한 공기의 흐름을 끌어들여 양력이 날개 끝까지 고르게 퍼져 ... ...
- [헷갈린 과학] 갑옷을 입은 포유류 아르마딜로 VS 천산갑어린이과학동아 l201714
- ‘아르마도(armado)’에서 이름이 유래됐지요. 피갑목에 속하는 포유류 동물로, 주로 작은 곤충이나 나무 뿌리, 죽은 동물의 고기를 먹고 살아요. 나쁜 시력 대신 뛰어난 후각과 청각을 이용해서 먹이를 찾는답니다.아르마딜로는 몸을 공처럼 동그랗게 말아서 자신을 보호하는 동물로 알려져 있어요.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홀로세생태보존연구소어린이과학동아 l201714
- 애벌레의 매력을 흠뻑 느낄 수 있었답니다. 친구들도 앞으로 곤충이나 애벌레 를 만나면 징그럽다고 괴롭히지 말고, 소중하게 다뤄 주세요~ ... ...
- Part 3. 유전자 변형 기술로 모기 박멸을 꿈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14
- 논의가 많이 부족하다”며, “곤충은 멀리까지 날아갈 수 있기 때문에 유전자 변형 곤충을 자연에 푸는 것은 좀 더 신중하게 결정해야 한다”고 말했어요. 찬성 vs 반대!유전자 변형 모기는 안전할까? 과학자들 사이에서는 유전자 변형 기술을 이용한 모기에 대해 찬반 논쟁이 뜨거워요.먼저 유전자 ... ...
- Part 4. 나무를 지켜라! 바다에서 온 종이?!어린이과학동아 l201714
- 만들었어요. 키틴은 셀룰로오스 다음으로 자연에서 가장 풍부한 섬유질로, 게, 새우, 곤충 등의 껍데기에 들어 있답니다. 연구팀은 다루기가 편한 오징어 뼈대를 이용했어요. 먼저 오징어 뼈대를 용매로 녹이고, 여기에 ‘알코겔’이라는 물질을 넣어 걸쭉하게 만들었지요. 이를 넙적한 틀에 넣고 ... ...
- Part 2. 시민과학과 드론으로 모기를 감시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14
- 모기를 유인하는 이산화 탄소를 배출해요. 덫에 곤충이 들어오면 적외선을 비춰 곤충의 행동과 형태를 분석해 모기인지 아닌지 알아내지요. 모기라고 판별되면 채집기는 자동으로 문을 닫아 모기를 잡아요. 이때 모기를 채집한 시간과 온도 등의 정보를 기록하면, 모기가 좋아하는 환경 등에 대해 ... ...
- [지사탐 우수 대원 소개] 곤충사업가를 꿈꿔요! 열혈 신규대원 ‘알럽곤충’팀어린이과학동아 l201713
- 무엇보다 미래 식량에 사용하는 곤충을 연구해서 사람들에게 유익한 일도 하고 싶어요. 곤충의 매력은 정말 끝이 없답니다~! 현장교육에 열심히 참여하는 이유가 있나요?지구사랑탐사대 활동의 장점이 현장교육이라고 생각해요. 저는 서울시에서 운영하는 생태탐사에 참석하고, 숲 유치원도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