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필름
감광막
d라이브러리
"
건판
"(으)로 총 38건 검색되었습니다.
2002년은 말머리성운의 해?
과학동아
l
200201
정말 말머리를 닮은 모습이 신기하기만 하다. 이 특이한 모습은 1800년대 후반 사진
건판
에서 최초로 발견됐다.말머리성운은 오리온자리의 어디에 있을까. 오리온자리는 허리띠에 보석처럼 박힌 세개의 별 때문에 겨울밤하늘에서 쉽게 찾을 수 있다. 말머리성운은 세별 중 왼쪽 별(제타별)의 남쪽에 ... ...
2. 지구 위협하는 블랙리스트 300
과학동아
l
200101
2개(**)는 예보 직후 이뤄진 관측만으로는 그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었으나, 과거 사진
건판
을 분석한 결과, 가능성이 없다고 판명된 천체들이다. 물론 아직도 충돌 가능성이 배제되지 않은 소행성도 있다. 소행성 명명법소행성 발견자는 새로 찾은 소행성에 임시이름을 붙인 다음, 그것을 소행성센터 ... ...
3. 정보의 홍수로부터 해방 인간게놈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009
0억분의 1m)밖에 안 되는 매우 정밀한 망원경으로 허블 우주 망원경을 능가할 정도다. 사진
건판
처럼 빛을 감지하는 망원경의 아랫부분에 설치되는 전하결합소자(CCD)는 1억개의 픽셀로 구성된다. 일반 망원경이 수십억 광년을 관찰할 수 있는데 비해 스바루는 1백50억 광년 떨어진 물체를 볼 수 있다 ... ...
우주의 등대 변광성
과학동아
l
200009
나이 19살 때인 1784년에 발견했다. 그뒤 하버드대학 천문대에서 남천 하늘을 찍은 사진
건판
에서 변광성을 골라내는 작업을 하던 여성 천문학자 헨리에타 리비트가 1908-1912년에 걸쳐 소마젤란 성운속에서 약 2천4백개의 세페이드형 변광성을 더 찾아냈다. 그녀는 이들의 평균밝기와 변광주기 사이에 ... ...
혜성을 어떻게 찾을까
과학동아
l
200006
떨어졌던 슈메이커-레비 제9혜성이었다. 또 같은 천문대에 있는 1.2m 슈미트 카메라의
건판
조사 작업을 하는 여성 관측자 진 뮬러는 지금까지 역사상 가장 많은 30개 이상의 혜성을 찾아내고 있다. 하지만 이들 혜성들의 대부분은 16-19등급으로 매우 어두워 대부분 주목받지 못하고 사라진다 ... ...
2. 모두가 제각각 은하의 모습
과학동아
l
200005
파장에서의 관측 결과가 쏟아져 나오고 있다. 지금까지 은하의 형태학적 분류는 사진
건판
에 나타난 은하의 모양을 보고 눈으로 하나 하나 분류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왔다. 그런데 우리은하를 여러 파장에서 관측한 결과에서 잘 나타나는 것처럼 한 은하가 다른 파장에서는 다른 형태로 보이는 ... ...
왕가의 가족회의 세페우스자리
과학동아
l
199908
2년 뒤인 1886년 21살에 죽고 만다. 그 후 하버드 대학 천문대에서 남쪽하늘을 찍은 사진
건판
에서 변광성을 골라내는 단조로운 일을 하던 여성 헨리에타 리비트(1821-1921)는 1908-1912년에 걸쳐 소마젤란 성운 속에서 약 2천4백개의 세페이드 변광성을 더 찾아냈다. 또한 이 과정에서 별들의 광도-주기 ... ...
Ⅲ. 재미있는 행성이야기5
과학동아
l
199906
두장의 사진을 얻었고 이들을 비교함으로써 명왕성을 찾아냈다. 톰보가 수백장의 비교
건판
을 가지고 수백만개의 별을 동정한 결과였다. 이로써 행성 X에 대한 탐색은 끝나는 듯했다.그러나 명왕성은 실망스럽게도 질량이 너무 작았다. 당시 계산으로는 크게 잡아도 지구의 10분의 1밖에 되지 않았다 ... ...
우주가 팽창한다
과학동아
l
199904
스원 리빗(1868-1921)이 찾아냈다. 그녀는 평생동안 남성 천문학자들이 찍어놓은 사진
건판
을 검토하면서 별들의 상대밝기를 연구해 2만4천개의 변광성 목록을 만들어냈다. 리빗은 1912년 세페이드변광성의 변광주기를 이용해 별의 고유 밝기를 알아내는 방법도 발견했다.허블은 새로 발견한 변광성의 ... ...
순간의 역사를 담은 창 필름
과학동아
l
199904
필름 여러장을 감은 롤형식의 필름을 개발했다. 필름은 종이에 젤라틴 감광제를 바른
건판
이었다. 필름 한장의 길이는 6.35cm였는데, 자그마치 1백장을 찍을 수 있는 두루마리 형태였다. 이로써 사진 장비의 무게와 부피가 획기적으로 줄어들어 사람들은 손으로 카메라를 들고 다닐 수 있게 됐다 ... ...
이전
1
2
3
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