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거짓"(으)로 총 24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3진법 소자, 하드웨어 인공지능을 꿈꾼다과학동아 l201701
- 예컨대 현재의 컴퓨터는 주어진 논리대로 전류 신호를 연산한 뒤 결과를 참 아니면 거짓으로 출력한다. 연산 결과가 0이거나 1일 때만 답을 내릴 수 있다. 0.5나 0.7은 답을 내릴 수 없는 계산 오류다. 하지만 컴퓨터가 이해하는 논리적인 상태가 늘어나면 컴퓨터가 내릴 수 있는 판단이 다양해질 수 ... ...
- Part 2. 3진법 시대, 회로 인프라가 필요하다과학동아 l201701
- 명제가 있다면 나는 아직 집에 가지않았으니 참이라고 할 수 없지만, 곧 갈 수도 있으니 거짓이라고 할 수도 없다. 이런 명제는 ‘가능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진릿값이 두 개가 아닌 세 개가 된 것이다.이런 바람은 컴퓨터 분야로까지 퍼졌다(수학과 컴퓨터는 뗄래야 뗄 수 없는 사이다). 마침 ... ...
- [Tech & Fun] 고요한 시대과학동아 l201612
- 속에 숨겨진 잠재심상, 선지자, 예지자, 구원자, 구도자, 새 시대, 희망, 빛, 변화, 진실, 거짓 없는 시대, 하나 된 마음. 좋은 심상은 저쪽에 두고 부정적인 심상은 이쪽에 둔다. 몰락, 위기, 부패, 무너진다. 사라진다. 악기를 배치한다. 화음을 듣는다. 오케스트라 지휘자처럼 연주한다.언급하고, ... ...
- Part 1. 비밀 조직의 존재를 눈치채다!수학동아 l201612
- 22일, 23일에 받는 경우도 있습니다.그래서 수학동아는 북미항공우주방위사령부의 말이 거짓이며, 실제로는 선물을 배달하는 조직이 따로 있다고 보고, 12월에만 움직인다는 비밀 조직 ‘S’를 찾아나섰습니다. 수학적 지식을 동원해 우리 나라의 어린이에게 크리스마스 선물을 배달하는 이 조직의 ... ...
- [News & Issue] 대통령 담화문에서 배우는 올바른 사과 비법과학동아 l201612
- 심리학과 엘리엇 애런슨 교수와 미국의 사회심리학박사 캐럴 태브리스는 저서 ‘거짓말의 진화 : 자기정당화의 심리학’에서 “자기합리화에 빠지면 사람들은 자신의 행동이 최선이었고 그 외에는 선택권이 없었다고 왜곡해 받아들이게 된다”고 밝혔다. 미국 애리조나주립대 심리학과 로버트 ... ...
- [수학 뉴스] 갈대 같은 내 마음 수학이 더 잘 안다수학동아 l201612
- 전쟁도 옳지 않다고 믿게 됩니다. 인간은 일관적이려고 노력하기 때문에, 하나만 거짓으로 드러나도 그와 관련된 모든 믿음을 다시 살펴본다는 거지요.인간이 스스로 논리적 일관성을 가지려고 한다는 건 이미 알려져 있었지만, 이를 행렬식으로 나타낸 건 처음입니다. 프리드킨 교수는 “이 새로운 ... ...
- [매스미디어] 무한대를 본 남자, 라마누잔수학동아 l201611
- 폭풍우가 몰아치자 하디는 리만 가설을 해결했다고 전보를 보냈다. 만약 신이 존재하면 거짓을 용납하지 못해 배를 침몰시키지 않을 것이라는 논리였다. 하디는 무사히 돌아왔다. 하디와 라마누잔의 아름다운 연구하디가 없었으면 라마누잔도 없었다. 하디만이 유일하게 역사를 바꿀 천재 수학자를 ... ...
- Part 2. 친구가 사라졌다면?수학동아 l201611
- 위해서 트위터와 이메일로 피해 복구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받았어요. 중재자가 정보가 거짓인지 아닌지 따져 도움이 되는 정보라고 판단하면 ‘sinsai.info’라는 사이트에 바로 공개했어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소중한 나를 지키는 수학 안전 수첩Part 1. 쇼핑몰에서 지진이 났다면?Part 2. ... ...
- [Tech & Fun] 센서스 코무니스과학동아 l201611
- 돈을 받지 않아도 말이죠. 사람은 기본적으로 속내를 드러내길 꺼리고, 창피한 마음에 거짓 대답을 하기도 하고, 때로는 스스로를 속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늘 여론조사에서 오차가 발생합니다. 하지만 뇌파를 속일 수 있는 사람은 없습니다. 우리는 어떤 사람의 생각을 그 사람보다 더 정확히 ... ...
- [새 책] “너 내가 그럴 줄 알았다!” “REALLY?”과학동아 l201608
- 자세한 통계와 확률이 담겨 있다. 그러나 이들이 얼마나 위험한지 밝히거나, 혹은 통계가 거짓일 뿐이라고 폭로하는 내용은 아니다. 그보다는 위험에 대한 가능성을 대하는 우리의 심리를 파헤친 책이다. 위험의 두 세계관 중 어느 편에 설 것인가.세계관의 충돌을 보여주기 위해 저자는 가상의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