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취
자국
발자취
자욱
상처
얼룩
징후
스페셜
"
흔적
"(으)로 총 334건 검색되었습니다.
4000년 전 중국 대홍수 유적 찾았다!
2016.08.08
하나라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황하 중류 일대를 발굴하는 과정에서 지진의
흔적
을 발견하고 이를 토대로 당시의 상황을 재구성했다. 이에 따르면 한 해에 지진이 일어났고 그 결과 티벳 고원 가장자리인 황하 상류 지스 협곡에서 산사태가 일어나 바위 무더기가 쌓이며 현재 강 수위보다 240미터 ... ...
케톤음료, 도핑검사 걱정없는 에너지원?
2016.08.01
않을까 하는 생각이 문득 든다. (금지약물도 아닐뿐더러 몸속에서 케톤체로 바뀌므로
흔적
도 남지 않는다.) 물론 글 앞에 인용한 테리 그레이엄의 말처럼 “다른 사람에 비해 우위를 차지하겠다는 뚜렷한 의도를 갖고 주요 영양소가 아닌 물질을 섭취한다면 도핑”이라고 보면 좀 반칙 같다는 생각이 ... ...
그레고르 멘델을 변호하다
2016.07.04
사망한 뒤 유품을 정리하다가 서류 더미에서 멘델의 논문이 발견됐는데 다윈이 읽은
흔적
이 없었다고 한다. 만일 다윈이 1866년 멘델의 논문을 읽고 그 중요성을 파악했다면 멘델이 생전에 유명세를 탔을까. 아무튼 멘델은 1868년 대수도원장이 되면서 사실상 과학실험을 접었고 1884년 62세로 영면했다 ... ...
스티븐 호킹 “블랙홀에도 빠져나올 구멍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6.06.12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스트로밍거 교수는 이렇게 물체의 정보가 사라지는 과정이 담긴
흔적
을 ‘소프트 헤어(Soft Hair)’라고 정의했다. 당시에는 개념적인 주장에 불과했지만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 호킹 박사는 수식으로 자신의 주장을 증명했다. 중력을 중심으로 한 고전역학과 입자를 ... ...
인류는 언제부터 전쟁을 했을까?
2016.05.02
오지에서 이런 대규모 전투가 벌어진 것일까. 발굴 과정에서 나무와 돌로 만든 다리의
흔적
이 나왔는데, 아마도 이 지역이 교통의 요지였던 것 같다. 즉 두 부족이 교두보를 확보하기 위해 전투를 준비했고 이 과정에서 유럽 각지의 용병을 고용했을지도 모른다는 시나리오다. 톨렌제 계곡 유적은 ... ...
현생인류 Y염색체에 네안데르탈인의
흔적
없다
2016.04.11
모르는 흥미로운 연구결과가 실렸다. 즉 현생인류의 Y염색체에는 네안데르탈인의
흔적
이 없을 가능성이 높고 그 원인은 다른 상염색체의 유전자들과 궁합이 맞지 않아서일 것이라는 주장을 담은 논문이다. 미토콘드리아 게놈이 모계를 통해서만 전달된다면 Y염색체는 부계를 통해서만 전달된다. ... ...
[석기(石器)의 재조명] 인간을 인간답게 만든 것은 정말 ‘도구일까’
2016.03.21
330만 년 전 인류가 만든 석기가 공개돼 화제가 됐다. 발굴된 몸돌로 박편을 떼어낸
흔적
이 선명하다. - MPK-WTAP 제공 ● 돌도끼 제대로 만들려면 300시간 연습해야 그런데 최근 도구, 즉 석기의 사용이 인류진화의 원동력이었음을 보여주는 글이 미국의 과학월간지 ‘사이언티픽 아메리칸’ 4월호에 ... ...
리포솜 화장품, 깊숙이는 커녕 각질도 못 뚫는다
2016.03.15
stratum corneum)을 통과하는 모습을 묘사하고 있다. - ‘Soft Matter’ 제공 ● 5㎛ 너머서는
흔적
안 보여 학술지 ‘플로스원’ 1월 11일자에는 젊은 시절 5년 반을 화장품 회사 연구원으로 있으면서 리포솜의 피부 침투 메커니즘을 철석같이 믿고 있었던 필자에게 충격적인 연구결과가 실렸다. 즉 ... ...
네안데르탈인에게도 현생인류 피가 흘러들어갔다
2016.03.07
연대가 8만~12만 년 전으로 추정됐다. 그때까지 중국에서 발굴된 가장 오래된 현생인류의
흔적
은 4만 년 전 것이었다. 참고로 유럽은 4만~4만5000년 전의 현생인류 증거가 가장 오래됐다. 따라서 일찌감치 아프리카를 떠난 현생인류가 새로 도착한 지역에 살고 있던 다른 인류와 혼혈됐을 가능성이 ... ...
영국 과학, 스타일이 살아있네~
2016.02.23
‘유전자 가위’로 불리기도 한다. 게놈편집이 이렇게 높이 평가되는 이유는 게놈에 ‘
흔적
’을 남기지 않기 때문이다. 즉 작물이나 가축의 특정 유전자를 바꿔 특성을 변화시키면서도 GMO 논란을 피해갈 수 있고 부모의 유전자에 결함이 있을 경우 배아 상태에서 정상 유전자로 편집할 수도 있기 ... ...
이전
25
26
27
28
29
30
31
32
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