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한민국
코리아
korea
대한
남한
Korea
대한 민국
스페셜
"
한국
"(으)로 총 679건 검색되었습니다.
게임 좋아하던 학생에서 게임 만드는 박사로
KAIST
l
2014.05.14
게임에 끌려간다면 당장 중단해야 한다. 잘 생각해보기를 바란다. *본 콘텐츠는
한국
과학기술원에서 발행한 KAIST 비전 2014 봄호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 ...
복잡한 세상을 풀어주는 수학, 매듭론
IBS
l
2014.05.14
발표된 것 중 중요한 사례로는 땋임군을 이용한 암호이론이 있다. 이는 세계에서 최초로
한국
의 연구자가 개발한 독자적인 암호체계로 후속 연구가 계속 진행 중이다. 물리학의 최전선인 양자장 이론에서도 매듭론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 활용범위가 넓은 만큼 매듭이론은 현대 수학에서 중요한 ... ...
'우주의 미스터리' 암흑물질 액시온을 찾아서
IBS
l
2014.05.14
입자 발견 성과와 비교하기 힘들겠지만, 액시온을 발견하는 데 성공한다면, 그 업적은
한국
과학계의 위상을 높이기에 충분히 큰 업적이 될 것입니다." 인플레이션에 휘말리나? 현대 우주론에 따르면 우주가 빅뱅이라는 대폭발로 탄생한 지 1초도 안 되는 순간에 인플레이션(inflation)이라는 ... ...
IBS 미녀들의 수다
IBS
l
2014.05.14
싶다는 켈리 씨는 단순 통‧번역보다는 전문 리포터나 에디터의 꿈을 꾸고 있다. "
한국
에는 새로운 변화와 도전을 위해 왔습니다. 그동안의 일을 돌이켜보면 어느 정도 만족스럽다고 할 수 있겠네요. 특히 IBS에는 긍정적이며 활기찬 사람들이 많아 좋습니다." 켈리 씨는 현재 IBS를 알리는 리포터 ... ...
[기술이 바꾼 미래] 밤을 낮으로 바꾼 전등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4.04.29
밤을 낮으로 만들어 세계를 바꾼 백열전등은 불행하게도 조만간 세계에서 사라진다.
한국
의 경우에도 백열전등은 2014년부터 본격적으로 사라지고 있는데 건청궁에 불을 밝힌 지 127년 만의 소등(消燈)이다. 백열전구의 퇴장은 형광등이나 발광다이오드(LED) 램프 같은 새로운 조명기기보다 전력을 ... ...
수중건설의 신기원, 국산 로봇이 연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4.21
값인데, 1대를 1달간 빌리는 데 개발비와 비슷한 비용을 요청하기도 한다”며 “하지만
한국
에서 수중건설로봇을 개발하고 있다는 사실만 알려져도 그 비용이 반값으로 떨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그만큼 우리나라가 수중건설로봇 개발기술을 갖고 있는 것이 중요하다는 뜻이다. 또 ... ...
수족관 안의 돌고래가 위험하다
KISTI
l
2014.04.17
금지하는 국가가 늘자 동물복지 인식이 낮은 국가 중심으로 수출이 이뤄지고 있다”며 “
한국
처럼 수요가 있는 한 타이지의 무분별한 포획은 계속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 생태관광으로 전환해야 수족관을 운영하는 측은 돌고래를 보호하면서 교육ㆍ관광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항변한다. ... ...
꽃은 봄이 온 걸 어떻게 알까?
KISTI
l
2014.04.10
때문이다. 하지만 왠지 설레는 마음에 야외로 소풍가고 싶은 마음이 솔솔 생긴다면
한국
관광공사에서 공개한 봄꽃 지도를 참고할 만하겠다. 집과 먼 곳에서 화려하게 핀 꽃을 볼 때나 동네 길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꽃들을 만날 때도 개화 메커니즘, FT단백질에 대해 생각하며 감상한다면 즐거움과 ... ...
[이달의 역사]프리스틀리, 과학을 위해 살고 과학을 위해 죽다
KISTI
l
2014.04.10
과거에 많은
한국
사람들을 죽음으로 몰아간 일명 연탄가스이다. 연탄가스는
한국
의 자랑이기도 한 구공탄의 부산물이기도 하며 현재 야외용으로 많이 사용하는 착화탄(일명 번개탄)에서도 많이 나온다. 그가 평생 화학을 위해 바친 희생이 그를 특별히 빛나는 존재로 만들었다는데 의의가 있지만 ... ...
[기술이 바꾼 미래] 증기기관의 시대를 열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4.10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외국의 경우 발명가가 자본가보다 많은 분배율을 받는데 반해
한국
에서는 이와 반대이다. 많은 경으 10% 정도가 보통인데 이것이 어느 나라보다 발명의 실용화가 늦어지는 이유 중 하나다. 로벅의 자본 투자는 와트에게 날개를 달아주어, 1769년 증기기관에 관한 최초의 ... ...
이전
25
26
27
28
29
30
31
32
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