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시작
최초
서두
초기
머리말
개시
스페셜
"
처음
"(으)로 총 287건 검색되었습니다.
“신약개발에 1조원 든다는 얘기는 과장”
동아사이언스
l
2009.09.12
과정을 잘 알고 있고, 어떤 단계에 들어가서 무엇을 할지도 알기 때문이다. 신약개발을
처음
부터 끝까지 다 하겠다고 목표를 세우는 것은 무리가 있다. 전체 연구개발 단계 중 어느 단계를 지향할지 목표를 정하고 전략적으로 접근하면 적은 투자로 성공확률을 높일 수 있다. ▽이상준 본부장=한국과 ... ...
“바이오는 기다림의 산업…글로벌 네트워크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09.07.07
주장했다. 이같은 시각에서 한국노바티스는 지난해 ‘노바티스 벤처펀드’를 국내에
처음
으로 도입했다. 1996년 만들어진 이 펀드는 독창적인 신약 연구를 하는 비상장 바이오 벤처기업을 발굴해 투자하는 기금이다. 재정 투자 외에 기술, 경영 등에 대한 자문도 제공하며, 투자에서 나온 수익금은 ... ...
“바이오는 ‘타이밍’… 산업 흐름 알아야 성공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09.05.14
회장은 “바이오산업은 과거 전자산업을 키웠던 방식으로 성장시켜야 한다”며 “
처음
부터 맨바닥에서 기술개발을 하고 그걸 통해 선진국을 따라잡고 하는 방식으로는 힘들다”고 주장했다. 앞서가는 나라의 기술과 제도 등을 적극 도입한 뒤 그 토대 위에 ‘빠른 산업화’를 이루는 것은 한국이 ... ...
“생명공학 산업화, 포스코·삼성같은 일류기업 나서야”
동아사이언스
l
2009.04.14
통해 국내 바이오산업의 현황과 문제점을 가감 없이 전달했다. 김 부사장은 "10년 전
처음
한국의 투자자들을 만났을 때와 비교하면 지금은 바이오산업의 가능성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진 것을 느낄 수 있지만 여전히 산업 인프라 구축이 미비하다"며 "제품화 과정에서 간단한 테스트나 아주 작은 ... ...
“융합형 뇌 연구는 시대의 흐름…대형 연구소 세워야”
동아사이언스
l
2009.03.25
주가를 높이고 있지만 국내 사정은 지지부진하다. 한국뇌연구원설립추진기획단장을
처음
맡아 중국과 일본을 바쁘게 오가던 서유헌(61 사진) 서울대 의대 교수의 발걸음도 유난히 무거워졌다. ● “새 술은 새 부대에…새로운 뇌 연구 위해 새로운 연구소 모델 필요” “뇌 연구는 미래의 가장 큰 ... ...
“유전체 연구분야 국가위상 높여야…통합조정기관 설립 필수”
동아사이언스
l
2009.03.10
말 한국인의 유전체(게놈) 지도가
처음
으로 완성됐다. 피 검사 한번으로 앞으로 자신에게 발생할지 모를 질병을 예측하는 시대가 오게 됐다고 당시 떠들썩했다. 개인별 맞춤의학 시대를 열 수 있는 유전체 연구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지금, 연구를 주도한 김성진 가천의대 이길여암당뇨연구원장의 ... ...
현장의 목소리로 들어본 한국 생명공학의 미래
동아사이언스
l
2009.02.17
공동으로 취재하고 저술 활동을 벌이고 결과를 정책 연구에 반영하는 모델은 이번이
처음
있는 일입니다. 이를 위해 앞으로 더사이언스는 현장의 과학자들과 정책 입안자, 정책 결정자 등 생명공학계는 물론 사회 각계 인사들을 만나 이들의 솔직하고 명쾌한 생각과 견해를 들어볼 계획입니다. ... ...
이전
25
26
27
28
29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