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짧은시간"(으)로 총 370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내 기억력의 품질, 관리하기 나름2017.12.19
- 망각은 대체로 좋은 일이다. 우리의 경험은 대부분 잊어도 좋은 것이다. 우리는 적어도 헤아릴 수 없이 많은 매일의 경험을 평생토록 기억하지 않아도 된다... 부정확한 기억, 실패한 망각은 인간에게 괴로움의 근원이 되기도 한다. - 제임스 맥고 우리는 지난 30분, 어제 오후, 과거 10년, 또는 평생토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파란빛의 두 얼굴2017.11.14
- 책(과학에세이집)을 몇 권 내다보니 가끔 대중강연 요청이 들어온다. 워낙 말주변이 없어서인지 청중들이 지루해하는 모습을 본 뒤에는 되도록 안 하려고 하지만 “그래도 괜찮다”고 거듭 부탁하면 거절할 명분이 없어 하게 된다. 필자는 특정 분야 전문가가 아니다보니 보통 ‘일상의 과학’이라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017 노벨상 발표를 지켜보며 떠오른 두 명의 로널드2017.10.10
- 체스 대회에서 가장 주목받는 게임은 첫 게임과 마지막 게임이다. - 시드니 브레너와 J.D. 버널 그(로널드 코놉카)는 지도교수인 시모어 벤저와 함께 일주리듬 분야에서 가장 영향력이 큰 논문(1971년 ‘미국립과학원회보’ 68권 2112쪽)을 발표했다. 이 분야는 이어지는 45년의 많은 부분을 이 로제타석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진드기, 성가신 게 아니라 두려운 존재!2017.09.19
- 예전에는 추석을 앞두고 뉴스에서 벌초나 성묘를 할 때 말벌을 조심하라고 당부했던 것 같은데 며칠 전 TV에서 본 뉴스에서는 말벌 대신 진드기를 언급했다. 그 자체로만 보면 진드기는 말벌에 비교도 되지 않을 정도로 그저 성가신 존재일 뿐이지만 진드기가 옮기는 바이러스 때문이다. 이 바이러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객성과 신성과 초신성2017.09.05
- 객성(客星)이 처음에 미성(尾星)의 둘째 별과 셋째 별 사이에 나타났는데, 셋째 별에 가깝기가 반 자 간격쯤 되었다. 무릇 14일 동안이나 나타났다. - ‘세종실록’ 세종 19년 2월 5일 (1437년 3월 11일) 예전에 책(잡지)인가 TV인가에서 인상적인 인터뷰를 봤다. 1970년대 서방 기자로는 처음 북한 땅을 밟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플라스틱을 분해하는 애벌레가 있다고?2017.08.15
- 지난달 TV를 보다 걱정스런 뉴스를 접했다. 서해의 한 작은 섬 얘기인데 바닷가가 쓰레기로 덮여 주민들이 골치라는 얘기다. 물론 섬 주민들이 버린 쓰레기는 아니고 해류를 따라 중국에서 온 것이라고 한다. 화면을 보니 대부분 플라스틱이다. 사실 해양 쓰레기가 어제 오늘 얘기는 아니다. 매년 1200 ... ...
- 스트레스에는 ‘잠’이 보약인 이유2017.08.06
- 스트레스 슬리퍼(stress sleeper)라는 말이 있다. 스트레스를 받으면 잠을 자버리는 사람들이라는 뜻인데, 실제로 좋은 일보다는 나쁜 일들이 사람들의 잠을 늘리는 경향이 있다고 한다. 물론 극심한 스트레스는 잠을 방해하곤 한다. 하지만 일반적인 스트레스는 잠을 늘리는 경향이 나타난다고 한다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운동만 해서는 절대 살 못 뺀다!2017.06.13
- 운동은 건강과 활력을 유지하기 위해서 하는 것이고 체중을 관리하려면 식습관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 허먼 폰처 굶주림(허기)에 맞서 싸울 생각은 말아야 한다. 대신 체중관리에 성공하기 위한 열쇠는 애초에 허기와 식욕이 일어나지 않게 하는 것이다. - 수전 로버츠 & 사이 크루파 다스 “도대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나이가 들수록 잠의 질이 떨어지는 이유2017.04.11
- 산업혁명 이전의 잠에 대한 현대의 개념에는, 우리 선조들이 가난한 삶 속에서 잠만은 평온하게 잤으리라는 안타까운 믿음이 깔려 있다. - 로저 에커치, ‘잃어버린 밤에 대하여’ 얼마 전 동네 도서관을 어슬렁거리다 제목이 눈길을 끄는 책을 발견했다. 미국 버지니아공대의 사학자 로저 에커치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박테리아도 튜링테스트 받았다2017.02.14
- 영국 수학자 앨런 튜링이 자살로 생을 마감한지 60년이 되는 2014년 개봉된 영화 ‘이미테이션 게임’은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군 암호체계 ‘에니그마’를 해독하는 활약을 중심으로 튜링의 삶을 그린 영화다. 그런데 사실 이미테이션 게임은 에니그마가 아니라 오늘날 ‘튜링 테스트(Turing test) ... ...
이전2526272829303132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