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분야"(으)로 총 575건 검색되었습니다.
- 미래부, 제2회 핵융합에너지 홍보 콘텐츠 공모전 개최동아사이언스 l2013.07.23
- 8월 31일까지 이메일 (nfri_contest@naver.com)로 작품과 함께 제출하면 된다. 공모전 시상은 분야에 관계없이 대상(300만원) 1편, 금상(100만원) 2편, 은상(50만원) 3편 등 총 15편을 선정하여 수상자에게 상장과 상금을 수여하고, 선정된 수상작은 핵융합에너지를 알리는데 활용 하게 된다. 국가핵융합연구소 ... ...
- [표준연] 대덕에 학연간 벽허물기 시동동아사이언스 l2013.07.19
- 가지는 초정밀 측정기술로서 전자강상관계 및 스핀상호작용계 등 기초과학 및 측정표준 분야에 세계를 선도할 수 있는 원천기술이다. KRISS 강대임 원장은 “본 사업은 대덕연구개발특구 내 출연연과 대학의 장기적인 연구협력 프로그램으로 모범적인 협업 모델이 될 것”이라며 “기초연구의 ... ...
- 2013년 국제물리올림피아드(IPhO), 한국 종합 1위 쾌거동아사이언스 l2013.07.16
- 종합 1위를 달성하였다. 미래창조과학부는 국제물리올림피아드를 통해 기초과학 분야에 잠재력과 가능성을 갖춘 과학영재를 지속적으로 발굴·육성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 위의 내용은 미래창조과학부의 보도자료입니다. ... ...
- 세계 최대 중성자 산란 국제학회 (ICNS) 2017년 한국에서 열린다동아사이언스 l2013.07.15
- 가동을 시작한 냉중성자 연구시설을 이용해서 중성자 이용 연구 분야를 나노와 바이오 분야까지 확장해 국내외 산학연 이용자들의 연구에 활용되고 있다. 현재 원자로를 이용한 냉중성자 연구시설을 가동하고 있는 나라는 프랑스, 미국, 독일, 호주, 일본, 러시아, 헝가리, 한국 등 8개국으로, ... ...
- "나노 연구자들 자신만의 강점을 확보해라"동아사이언스 l2013.07.12
- 모델링을 토대로 관찰과 분석, 즉 나노 과학의 '분석과 예측' 연구를 합니다. 서로 다른 분야의 강점을 갖고 교환 연구도 하고 학생 교류도 하면서 아이디어를 주고 받을 수 있습니다" 강 교수는 "국제협력은 서로의 강점이 명확할 때만 가능한 것"이라며 "단순히 겉모습만의 국제협력을 강조하기 ... ...
- 제올라이트 합성과정에서의 결정변형 원인규명 동아사이언스 l2013.07.12
-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중견연구자지원사업(핵심)의 지원을 받았으며 재료분야 권위지 네이처 머티리얼즈(Nature Materials)지 7월 7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되었다. 포항방사광가속기와 미국 아르곤국립연구소 방사광가속기가 이용된 이번 연구에는 서강대 화학과 윤경병 교수팀과 생명과학과 김정호 ... ...
- 천상에서 지상으로, 태양전지의 승리KOITA l2013.07.11
- 효율이 40%를 넘어 50%를 넘나드는 수준에 이르렀으며 유기태양전지 기술의 발전으로 적용분야도 다양해졌다. 지상에서도 충분히 실용적인 사용이 가능한 수준에 이른 것이다. 이미 유기태양전지를 겉면에 씌워 별도의 전력이 필요하지 않은 텐트나 전원공급이 필요없는 태양전지 가로등이 시판되는 ... ...
- SW분야 대학-중소기업간 산학협력 창의연구과정 지원동아사이언스 l2013.07.11
- 모바일SW, SNS, 빅데이터, 클라우드 서비스 등 창의성이 글로벌 경쟁력의 원천이 되는 SW분야에 집중 지원함으로써 참여대학과 중소기업의 SW기술혁신 및 실무형 SW인력양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기술개발형 과정은 선정된 컨소시엄을 대상으로 프로젝트(12개월) 수행경비 75백만원이 지원되며, ... ...
- 딱딱한 세상을 부드러움으로 바꾼다과학기술인공제회 l2013.07.11
- 것"이라고 강조했다. 미래를 이끌 청소년들에게도 "세상을 넓게 보고 자신이 원하는 분야를 찾아 최선을 다할 때 최고의 경지에 오를 수 있다"며 "이때 타인과 소통하고 서로의 장점을 보완해 갈 때 세상을 바꿀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 본 콘텐츠는 과학기술인공제회의 온라인 뉴스레터 ... ...
- '현실'이 있어야 하는 '증강'현실KOITA l2013.07.10
- 현대적 의미의 웨어러블 개념이 등장할 여지는 별로 없었다. 그러나 거대기술 분야라면 사정이 다르다. 브레게가 처음 손목시계를 만들었을 때, 그저 별난 패션 아이템 정도로 생각했겠지만 독일 수병들에게 손목시계는 업무에 실질적으로 큰 도움을 주는 기계였다. 마찬가지로 생사가 ... ...
이전2526272829303132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