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짐승
동물체
축생
생물
사람
피부양자
동물기관
스페셜
"
동물
"(으)로 총 1,465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19 가볍게 앓는 사람은 무엇이 다를까
연합뉴스
l
2021.12.21
티핑 포인트(tipping pointㆍ한계점)를 찾기가 어렵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동물
의 면역 반응이 인간과 다르기 때문이다. 플라벨 교수팀이 유전자 조작 생쥐를 실험 모델로 쓴 이유가 여기에 있다. 논문의 수석저자인 플라벨 교수는 "평범한 실험실 생쥐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 ...
저명학자들 “전 세계 퍼진 코로나바이러스 전수 검사하고 범용 백신 개발에 힘 합쳐야”
동아사이언스
l
2021.12.20
코로나바이러스의 실체에 한걸음 더 접근하는 데 도움이 되는 박쥐를 포함한 야생
동물
에 존재하는 코로나바이러스 샘플을 광범위하게 얻기 위한 국제적 협력이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이를 통해 인간에게 잠재적인 위협이 될 수 있는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조기 경고를 할 수 있다는 것이다. ... ...
식물체 기반 돼지열병 백신 세계 최초 출시…안전성 높아
연합뉴스
l
2021.12.20
구축했다. 손은주 바이오앱 대표는 "순수 국내 기술로 개발한 세계 최초
동물
용 그린마커백신의 국내시장 출시와 더불어 캐나다 등 세계시장 수출을 위한 첫걸음을 시작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RNA 치료제의 부상과 우연한 인본주의
2021.12.16
시절부터 꿀벌, 개미 등에 관심이 많았다. 생물학과에 진학했지만 간절히 원하던
동물
행동학자의 길을 자의 반 타의 반으로 포기하고 바이러스학을 전공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박사후연구원으로 미국에서 초파리의 행동유전학을 연구했다. 초파리 수컷의 교미시간이 환경에 따라 어떻게 ... ...
머크 먹는 코로나 치료제 왜 '게임체인저' 기대감 꺼졌나
동아사이언스
l
2021.12.14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 의대 연구팀은 몰누피라비르가 DNA 돌연변이를 일으킬 수 있음을
동물
실험으로 확인해 그 결과를 지난 5월 국제학술지 '감염병저널'에 냈다. 햄스터 세포를 몰누피라비르 주요 성분에 32일간 노출했더니 숙주의 DNA에도 돌연변이가 일어난 것이다. 로널드 스완스트롬 ... ...
"초미세플라스틱, 모유 통해 자손 뇌로 전달된다"…발달 이상 유발
동아사이언스
l
2021.12.14
분석이다. 이다용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희귀난치질환연구센터 선임연구원팀은
동물
모델인 생쥐를 활용해 이 같은 분석을 얻었다고 14일 밝혔다. 초미세플라스틱은 통상 1μm(마이크로미터·100만분의 1m)~5mm의 플라스틱을 일컫는다. 마모되거나 태양광 분해 등에 의해 잘게 부서지며 생성된다. 크기가 ... ...
인류 건강과 지구 환경 지킬 궁극의 밥상 '인류세 식단'
동아사이언스
l
2021.12.10
지구환경에 큰 변화가 나타나는 시기를 분리하기 위해 제안된 개념이다. 인간과
동물
의 건강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를 지원하는 재단 ‘웰컴’의 지원을 받은 이트 랜싯 위원회는 탄소 배출과 생물다양성 손실, 담수·토지의 활용, 비료나 사료로 쓰이는 질소·인 활용 등 다양한 환경 변수와 인간에게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백신 불평등과 오미크론, 그리고 과학의 희망
2021.12.03
시절부터 꿀벌, 개미 등에 관심이 많았다. 생물학과에 진학했지만 간절히 원하던
동물
행동학자의 길을 자의 반 타의 반으로 포기하고 바이러스학을 전공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박사후연구원으로 미국에서 초파리의 행동유전학을 연구했다. 초파리 수컷의 교미시간이 환경에 따라 어떻게 ... ...
모더나CEO도 걱정하는 오미크론 변이…백신 회사들은 왜 걱정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1.12.01
단언하기는 이르다. 바이러스 진화 연구자인 아리스 카츠라키스 영국 옥스포드대
동물
학과 교수는 "델타 변이가 널리 퍼져 있는 곳에서 오미크론 변이가 어떤 전파양상을 보일지, 델타 변이 대신 우점종으로 확산할지 여부를 봐야 한다"고 말했다 ... ...
남미서 초식
동물
사라지자 역대급 산불 잦아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1.29
전지구적 모델은 거의 없는 상황”이라며 “대규모 산불 활동 관측 데이터와 초식
동물
개체수의 영향을 결합한 모델링을 통해 기후변화 위기에서 산불을 예측하고 감시하는 작업이 필요할 것”이라고 밝혔다 ... ...
이전
25
26
27
28
29
30
31
32
33
다음
공지사항